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직학습과 실제개선을 위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 Evaluation Models for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ractice Improve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9526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진희
연구수행기관 계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나치게 편협한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적용은 물론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프로그램 평가가 발달된 북미의 경우에도 책무성에 대한 요구와 규제로 초점이 옮겨가면서 이를 중심으로 한 평가와 교육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매우 복잡한 교육실제의 의미를 환원주의식으로 단순화시키고 정해진 하나의 정답, 외부에서 만들어 놓은 일련의 평가지표를 철저한 비판이나 재구성하는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따르게 할 때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보다는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실제를 운영하게 되는, 그리고 더 나아가 창의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들은 그 틀을 벗어나는 ‘틀린’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왜곡된 교육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구나 북미지역에서조차도 특히 유아교육 및 보육 분야에서는 프로그램 평가 분야의 다양화된 평가모형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다행히 최근 프로그램 평가 분야에서는 평가결과의 실질적 활용을 통한 실제의 개선(practice improvement) 방안과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을 통한 구체적 변화 기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학습’과 ‘실제개선’를 주요 연구 키워드로 삼고서,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와 운영자, 그리고 평가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유아교육 비전을 짚어보고 교육 실제를 검토하며 평가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최근 책무성과 성과모니터링을 강조하는 사회변화에 따라 집중적인 조명을 받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활발하게 현장에서 적용하여 정착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에서 정책적인 차원에서 도입되고 상당히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중요한 ‘고부담 의사결정(high-stake decision making)’으로 연계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가 여전히 제한적으로 이해, 적용되고 있는 현상을 극복함으로써 현대화되고 발전된 프로그램 평가이론들을 다양하게 반영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구체적 맥락 속에서 효율성과 활용성이 뛰어난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이론적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가장 최신의 프로그램 평가이론을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부 평가자와 정책전문가들의 제한적 적용에 머물렀던 프로그램 평가의 적용 및 확장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올바른 실행과 정착을 위한 이론적 토대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정부에서 주도하는 제한적인 프로그램 평가를 넘어서서 북미지역에서처럼 모든 사회분야에서 다양한 주체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그램 평가가 요구되고 실시된다면 전문적인 프로그램 평가자의 양성 및 교육이 점점 중시되고 이로 인한 노동시장의 확충이 가능해질 것이다.
    유아교육 및 보육의 측면에서 좋은 프로그램의 의미와 정의가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로 대표되면서 점점 표준화되고 획일화되어 온 현상에 대한 문제 제기와 대안 제시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적인 프로그램 평가가 담고 있는 객관주의적 인식론에 대한 문제의식은 ’좋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원성과 발현성 등의 유아교육의 특성을 재인식할 수 있는 학문적 재개념화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한적으로 이해, 적용되고 있는 현상을 극복함으로써 발전된 프로그램 평가이론들을 다양하게 반영함으로써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이라는 구체적 맥락 속에서 효율성과 활용성이 뛰어난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이론적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가장 최신의 프로그램 평가이론을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국가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어린이집 평가인증이나 유치원 평가를 현실화하여 최소한의 질적 수준을 보장받는 반면에 유아교사와 기관운영자들이 실천적으로 교육 실제를 점검하고 강점을 더욱 살리면서 더 좋은 유아교육과 보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전반적으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는 데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은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아들의 배움 및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는 시점에서 부모들이 특히 필요로 하는 믿을 수 있는 보육 및 유아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하는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될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모형은 현장의 교사 및 기관운영자들의 관점을 bottom-up 방식으로 평가모형에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전문가 위주의 top-down 방식 평가모형 개발에 비하여 보다 친현장적인 경향을 보일 것이다. 이는 학문적 이론과 실제 교육현장간의 유기적 연계와 상호피드백을 강조하는 현대의 학문적 경향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유아, 유아기, 유아교육 등에 대한 의미를 논하고 함께 만들어가면서 공동의 비전을 구축하고 함께 학습하는 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써 교육 실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혼합연구방법(mixed-methods approach)을 사용하고자 한다. 사회과학연구와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혼합연구방법은 사회현상에 대한 더 나은 이해라는 폭넓은 목적 지향, 다원적인 정신모형이라는 기반, 서로간의 다름에 의미 있게 관여하고자 하는 대화중심(dialogic) 가치관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메타분석, 양적 조사연구와 질적 면담연구, 실행연구의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먼저 프로그램 평가 이론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으며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바람직한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은 어떠한지에 대한 종합적인 문헌연구를 통하여 최신 프로그램 평가 이론을 반영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모형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이렇게 발전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이론이 유아교육 및 보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보고서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문서분석 과정을 통해서 최근에 활용되고 있는 평가이론 및 모형, 평가방법론, 결과 소통 및 보급방식 등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와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체적인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사례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어린이집 평가인증이나 유치원 평가 등의 프로그램 평가를 경험해온 유아교사 및 원장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육 실제의 개선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선행연구와 평가보고서 분석에서 추출한 평가모형 및 요소에 대한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프로그램 평가모형 개발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틀의 분석, 실제 평가사례 분석, 현장의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 평가모형(들)을 개발하고자 한다. 2차년도에는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적합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기 위한 델파이 연구와 유아교육 현장에의 실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모형을 검토하고 수정이 필요한 사항을 분석하여 반영하고자 한다. 요약하면 1) 1단계: 조직학습과 실제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평가 이론의 탐색, 2) 2단계: 2000년대 이후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보고서 분석, 3) 3단계: 프로그램 평가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유아교육 현장의 인식 및 요구조사, 4) 4단계: 조직학습과 실제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평가모형 개발, 5) 5단계: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모형 시안의 적합성에 대한 델파이 연구, 6) 6단계: 시안수정 및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한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적용, 7) 7단계: 실행연구 분석 및 프로그램 평가 최종모형 구성의 단계로 진행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 분야에서 최근 평가결과의 실질적 활용을 통한 실제의 개선과 조직학습을 통한 구체적 변화 기제를 제도적으로 마련하는 시도에 주목하여 AI 평가를 유아교육 기관평가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혼합연구방법의 틀을 사용하여 문헌연구, 메타분석, 조사연구, 면담연구, 실행연구를 단계적으로 활용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강점 탐구하기, 비전 그리기, 변화계획하기, 개혁 실천하기로 이루어진 4I 과정은 다시 새로운 탐구계획과 실천, 평가로 순환되도록 구성하였다. AI기반 평가에서 1)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참여, 2) 기관 강점에 기반한 비전 설정, 3) 학습하는 공동체 문화, 4) 비판적 친구로서의 평가자, 5) 참여자들의 경험을 성찰할 수 있는 평가자료 수집 및 반영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및 보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강점기반 평가가 조직학습 및 실제개선을 위해 유용한 기제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illuminating the potentials of the AI evaluatio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evaluation, as a way to innovate practices based on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and develop a system for meaningful changes. Using a mixed-method approach, I conducted literature review, meta-analysis of evaluation reports, survey, interviews, and action research,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an evalaution approach viab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participants Inquired institutional strengths, imagined a shared vision, innovated their practices, and implemented innovated ideas, which are 4 Is of the AI approach, and feed into another appreciative inquiry stage as a cycle. Components for a successful AI-based evaluation consisted of a) activ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b) a shared vision based on institutional strengths, c) a culture of learning community, d) evaluator as a critical friend, and e) process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to reflect upon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is strength-based evaluation can be a useful tool to facilitat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ractice improvement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in the center of these chang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 분야에서 최근 평가결과의 실질적 활용을 통한 실제의 개선 방안과 조직학습을 통한 의미 있는 변화 기제를 마련하는 시도에 주목하여 AI 평가를 유아교육 기관평가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혼합연구방법의 틀을 사용하여 문헌연구, 메타분석, 조사연구, 면담연구, 실행연구를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강점 탐구하기, 비전 그리기, 변화계획하기, 개혁 실천하기로 이루어진 4I 과정이 다시 새로운 탐구계획과 실천, 평가로 순환되도록 구성하였다. 강점기반 평가의 적용에서 1)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참여, 2) 기관 강점에 기반한 비전 설정, 3) 학습하는 공동체 문화, 4) 비판적 친구로서의 평가자, 5) 참여자들의 경험을 성찰할 수 있는 평가자료 수집 및 반영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및 보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강점기반 평가가 조직학습 및 실제개선을 위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한 내재적 평가와 전문적인 평가자의 역할이 가능한 외재적 평가를 결합하되, 구성원의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며 조직의 강점에 기반하여 조직문화 및 실제를 개선할 수 있는 평가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함을 목격할 수 있었다. 누리과정 운영의 능동적 주체인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유아교육 및 보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모형의 적용 확대를 통하여 기존의 지표중심 전문가평가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조직학습, AI(강점탐구)기반 평가, 참여적 평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