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사극의 판소리화: 서사극의 판소리화에서 수행성의 문제로 들어가기 전에, 『사천가』와 『억척가』에서 발생하는 수행성이 어떠한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되는지 알기 위해, 서사극과 판소리의 양식적 비교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서사극과 판소리가 양식적으로 수 ...
1. 서사극의 판소리화: 서사극의 판소리화에서 수행성의 문제로 들어가기 전에, 『사천가』와 『억척가』에서 발생하는 수행성이 어떠한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되는지 알기 위해, 서사극과 판소리의 양식적 비교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서사극과 판소리가 양식적으로 수렴하는 부위와 서로 어긋나는 부위, 그리고 두 연극양식의 창조적 융합 지점을 발굴할 것이다. 첫째, 판소리나 서사극이나 서사적, 극적 내용을 담은 이야기로, 화자가 관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둘째, 판소리나 서사극의 극 구성은 완결된 구조를 갖추지 않고, 각 대목, 장면을 확장하면서 부분의 독자성을 추구한다. 셋째, 두 장르의 유사성으로 서사적 진행과 서사적 연기를 들 수 있다. 넷째, 판소리와 서사극에서는 퍼포머가 직접 청중을 향해 작품에 대해 해석과 비판을 하고, 무대장치에 대한 지시를 하며 작품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등 연출가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무대의 환상을 파괴하고,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시도하며, 지금, 여기 존재하는 관객과의 공동의 현존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판소리와 서사극의 무대는 최소한의 무대장치와 소도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양식적인 유사성을 넘어 『사천가』와 『억척가』에서는 두 가지 시도를 하는데 한 가지는 음악적인 동시대성이고 다른 한 가지는 정신적인 동시대성이다. 이 음악적인 동시대성과 정신적인 동시대성의 추구는 서사극을 판소리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또는 판소리가 동시대와 동시대의 관객에게 다가가는 과정에서 창조적으로 변용된 부분이다. 그럼 판소리와 서사극의 공통된 양식적 특성과 창조적 변용은 연극의 수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2. 서사극의 판소리화에서 수행성: 1960년대 이후로 현재까지 계속 전개되어온 수행적 전환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배우와 관객의 육체적 현존과 공존이다. 판소리에서 소리꾼과 고수, 관객은 지금, 이곳이라는 현전성으로 존재한다 왜냐하면 그곳에서 판소리의 참여자들은 대화와 추임새로써 판이라는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무대와 객석은 탈경계화되어서 관객은 수행적 연극에서 경계적 상태Liminaltiät를 체험하게 된다. 판소리에서 수행성은 앞서 살펴보았던 서사극과 판소리의 양식적, 구조적 유사성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수행성의 측면에서 판소리는 훨씬 더 진보적이며, 동시대성을 추구한 『사천가』와 『억척가』에서는 더더욱 진일보한 연극의 수행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가정은 추후 구체적인 공연분석을 통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창본의 유동성, 서사적 구조 이외에도 서사적 진행과 서사적 연기가 판소리에서의 수행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서사극보다 더 수행적 현상으로 치닫는다. 이것은 판소리에 고유한, 소리꾼의 현전성, 고수의 현전성, 관객의 현전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판소리에서 소리꾼은 이야기의 해설자가 되었다, 등장인물이 되었다, 무대의 연출가가 되기도 하면서, 환상과 현실 사이를, 예술과 삶 사이를, 무대와 객석 사이를 넘나들며, 경계적 경험을 불러일으키고, 관객을 상호주체로 포섭한다. 이 부분에서는 『사천가』와 『억척가』에서 수행성을 발생시키거나 고취시키는 양식적, 구조적 특질에 대하여 연구될 것이며, 소리꾼, 관객, 고수의 현전성, 공소의 원리, 관객의 반응을 통한 자생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도 고찰될 것이다. 이로써 판소리, 특히 서사극의 판소리화에서 수행적 미학이 조명될 것이다. 3. 매체로서의 목소리: 일인 음악극인 판소리에서 소리꾼은 목소리의 성조, 가락, 장단, 고저의 변화를 통해 여러 인물을 창출한다. 우리가 언어를 시간적 현상으로 파악할 때 물질적 매체는 필연적인데, 이때 매체는 목소리가 된다. 피셔-리히테에 따르면 공연에서 목소리의 물질성은 소리성, 육체성, 공간성으로 나타난다. 이 부분에서는 판소리에서 매체로서 목소리의 기능, 사건으로서 목소리의 유희, 이를 통해 창출되는 음향 공간 그리고 그러한 수행공간의 탈경계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