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도입한 일본어 수업실천을 통해, 내성적 협동활동에 의한 학습자 자율성의 지원확대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협동학습이란 학습자끼리 상호 협력하여 학습하는 방법으로, 공통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집단(페어 혹은 그룹) 형 ...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도입한 일본어 수업실천을 통해, 내성적 협동활동에 의한 학습자 자율성의 지원확대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협동학습이란 학습자끼리 상호 협력하여 학습하는 방법으로, 공통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집단(페어 혹은 그룹) 형태로 행해지는 학습활동을 말한다. 이를 통해 학습목표 및 수행과제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그들의 시각이나 관점에 접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검토하고 시야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을 재발견하고 성장해 나가는 자율성 함양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다양한 협동활동 후에 행해진 내성(학습자 자신이 학습과정을 되돌아보면서 성과나 과제를 인식하고 학습개선을 도모하는 활동)의 기록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 자율성을 견인하는 학습전략에 대한 의식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가지의 내성내용과 그 유사성에 따라 정리한 7가지의 분류 항목(‘자기인지’, ‘일본어학습 및 지식획득’, ‘과제수행에 대한 원조’, ‘타자인지’, ‘자타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 ‘사회성의 양성에 대한 인식’, ‘태도나 감정변화에 대한 인식’)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내성 분류 항목별로 학습전략에 대한 의식화가 이루어지는지를 살핀 결과, 메타인지 전략・사회적 전략・정의 전략과 같은 간접전략에 대한 의식화가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협동활동의 내성과정에서 자율성의 촉진 및 양성에 도움이 되는 학습전략의 의식화를 행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한 후에, 각각의 협동활동(ⅠⅡⅢ)에 따른 내성 분류 항목의 차이와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전략 의식화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협동활동Ⅰ은 협동적 작문학습 활동으로, 학습자들이 자신의 작문을 보다 나은 것으로 만들기 위해 서로의 작문을 바꿔 읽고 의견을 교환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면서 작문을 수정하고 완성해가는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개별작문 활동을 행한 후, 협동활동Ⅱ에서는 특정 테마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모아 스토리를 구상하는 협동작문과 이를 소개하는 협동발표 활동을 행한다. 그리고 협동활동Ⅲ에서는 각 그룹의 발표에 대한 학습자간 상호평가(척도평가와 의견기술)를 한 후, 이들 평가결과를 확인하고 자신들의 발표를 녹음한 것을 재생하면서 자기평가를 행한다. 이어 협동활동ⅠⅡ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있어 3항목(상호확인, 상호조정, 협동성)에 대해「Can-do」형태로 자기평가를 실시한다. 위와 같은 내성적 협동활동 후에 작성된 내성기록(ⅠⅡⅢ)을 분석하여, 각 활동별로 학습자 내성의 특징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내성Ⅰ에서는 내성 분류 항목 중 ‘타자인지’, ‘자기인지’, ‘일본어학습 및 지식획득’이 우위를 점했으나 내성Ⅱ에서는 ‘사회성의 양성에 대한 인식’, ‘태도나 감정변화에 대한 인식’, ‘수행과제에 대한 원조’가 우세하여 현저하게 상반된 양상을 띠었다. 내성Ⅲ에서는 ‘사회성의 양성에 대한 인식’, ‘태도나 감정변화에 대한 인식’, ‘자기인지’가 높게 나타나, 내성Ⅰ과는 다른 양상을 띠고 내성Ⅱ와는 비교적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위의 모든 내성에서 ‘자타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은 공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협동활동 간의 상보적 관계를 확인한 바, 다양한 협동활동을 통해 보다 많은 내성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학습자 내성의 양ㆍ질적 강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아울러 각 학습자별 분석을 통해 간접전략에 대한 의식화도 확대ㆍ심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협동활동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상호확인, 상호조정, 협동성)의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를 2회 실시하여 그 향상도의 추이를 살핀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1항목 이상에서 상호작용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3항목 모두 향상했다고 평가한 학습자들의 내성을 보면, 메타인지 전략과 사회적 전략에 대한 의식화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정의적 전략에 대한 의식화는 상대적으로 약한 양상을 띠었다. 이와 같이 각 학습자 내성의 특징을 살핌으로써 각자의 강점 및 보완되어야 할 측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 자율성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목표나 내용이 다른 협동활동은 학습전략의 의식화에 있어 상보적 관계를 나타내므로 다양한 내성적 협동활동의 유기적 조합에 의해 자율성에 대한 지원ㆍ촉진이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 학습자별 지원에 대한 시사를 얻음으로써, 자율성 지원을 위한 협동학습 실천의 의의를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