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成玄英 󰡔老子義疏󰡕의 道論 ­般若學의 선택적 수용을 통한 도가류의 재창조를 중심으로-
Study about Dao in Cheng Hsuan-Ying(成玄英)'s Laoziyichou(老子義疏)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2029877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나우권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성현영은 대표적인 중현학자로, 그의 도론은 반야학의 비판에 맞서 도가류의 특질을 재창조한 논의이다. 그는 도가류의 특성을 고수한 위에서 반야학의 장점을 흡수하는 기존의 도가류들과 달랐다. 반야학의 논리구조와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주체적으로 접근하여 도가류의 사유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고찰한다.
  • 기대효과
  • 현재 중현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노국룡은 중현학의 발전을 3단계로 구분한다. 그의 구분법에 의하면, 수당중현학의 제 1단계를 대표하는 학자가 성현영이다. 이 1단계에서는 비유비무非有非無를 핵심으로 도체론道體論과 정신적 초월을 추구하였다. 이후 2단계에서는 이영, 왕현람 등에 의해 역유역무亦有亦無의 본체론을 형성하면서 도성道性과 인성人性 문제를 탐구하였다고 한다. 이후 3단계에 이르러 현종玄宗과 사마승정 등에 의해 성명쌍수性命雙修의 수양론으로 발전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성현영의 도론은 비유비무非有非無이면서 동시에 이무이유而無而有, 즉 역유역무亦有亦無를 포함하는 본체론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그의 유무有無 개념에 대한 엄밀한 논의를 거친 데서 비롯된 결론으로, 추후 중현학 발전단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청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성현영은 길장등으로 대표되는 반야학의 도가 비판에 맞서 독특한 도론을 건립하였다. 이것은 반야학의 논리구조와 개념을 선택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가능했다. 이는 세 가지 내용으로 구체화된다. 첫째, 쌍비론을 변형하여 감각되지 않는 본체를 긍정하였다. 둘째, 본적론을 사용하여 본체와 현상의 격절을 해소하였다. 셋째, 無滯로써 스스로 건립한 본적론을 허물고 경계론으로 나아갔다.
    이상의 내용으로 미루어볼 때, 성현영의 도론은 두 가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변형된 雙非論과 本迹論으로, 虛幻한 현상 너머에 존재하는 진실한 本體의 세계를 긍정하였다. 그는 연기론에 기반한 妙有의 세계를 넘어, 보다 튼튼하게 현실을 긍정하기 원했고, 마침내 虛幻을 넘어선 本體의 발견이라는 轉回를 이룩하였다. 둘째, 本體의 세계가 긍정되는 순간, 만물의 세계는 본체에 비해 가치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하락하는 모순이 발생하는데, 성현영은 본체에 대한 집착을 버림으로써 이 난관을 돌파한다. 이 경지에 도달하면 현상 세계는 더 이상 도와 구분되지 않게 되고, 현상이 곧 도임을 체득하게 된다. 마침내 도가류는 진실한 현실세계와 만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