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첨단 IT 융합보안방범 시스템 구축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T security convergence surveillance 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7729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3 년 (2013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양문승
연구수행기관 원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를 실행하기 위한 연구는 3단계에 걸쳐 실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검증단계로서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이 지역사회의 범죄예방 및 범죄통제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을 도입하여 시범실시 및 운용하고 있는 당진 지역을 실험지역으로 하며, 원광대학교가 소재하고 있는 '익산시‘를 대조지역으로 하여 그 효과성을 비교 및 검증함으로서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의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두 번째 진단단계로서 익산시 지역의 기존 CCTV 설치의 활용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범죄 취약구역을 분석하여 향후 지능형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용할 수 있는 지지기반을 확보한다.
    세 번째 제안 및 사업수주 단계로서 두 번째 진단단계에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실질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향후 지속적 관리 및 운용을 위한 전담 연구기관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질적 분석을 통하여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의 효과성을 전달하고, 이를 축으로 향후 전국의 범죄예방 및 범죄통제를 위한 지능형 물리보안방범의 설치 및 운영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제1차적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재난, 방범, 불법행위 통제를 위한 통합관제시스템의 효율적 관제를 위한 지능화 방안, 지능형방범시스템을 이용한 다중범죄자 및 잠재 범죄의 사전 통제 방안을 설계, 사전 범죄통제 환경 구축을 통한 사법기관 공동 운영 시뮬레이터 개발을 통한 실시간 지능형 방범통합관제 구축 가이드 설계를 제2차적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객체인식기술의 개발, 확보 및 성능의 보완, 디지털 포렌식 기반 검색 조건 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질의응답 인터페이스 개발을 통한 디지털 포렌식 융합 영상증거분석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제3차적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사회적 자본의 유기적 결합으로 최적의 인프라 구축

    이 연구는 학제학 융복합 연구를 통한 이론의 현실화, 이론의 실제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지능형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의 운용은 현재 각 분야별로 운영되고 있는 통합관제센터 운영에 있어 실증연구를 제공하여 여러 기관의 협력과 정보통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는 비단 기술적 연구 외에 행정안전부, 경찰청, 소방방재청,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단체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으며, 범죄예방에서 더 나아가 사회안전망 구축에도 이바지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대학(연구소)-산업기술 회사-국가 안전사업 관리부처로 관산학 협동의 유기적 연계가 가능하게 되어 사회적 자본이 하나의 기술과 연구를 통해 결합되어 최적의 인프라를 구현해내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국가정책 및 지방자치단체 정책 부합

    2012년 국민이 가장 두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경제문제가 아닌 범죄문제라고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정책적으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자 하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공공기관 통합관제센터 표준모델 연구와 CCTV 구축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에서도 CCTV확충과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만한 시스템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CCTV의 효율적 운용에 있어 차량방범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으로 종합 범죄예방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향후 타 분야(학교폭력, 아동지킴이, 대포차 관련 문제, 탈세 방지 등)와도 연계하여 사회안전 통합관제센터 운용에 있어 기반 지식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지역사회 안전과 범죄예방에 기여

    지능형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은 지역사회 안전에 가장 근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설치되어 있는 CCTV의 운용에 대해 이를 하나의 관제시스템으로 연결하고, 일련의 행정업무와 연결하여 활용하는 이 시스템은 각 지역의 범죄율 감소 및 안전도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 각 지역별로 상이한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고,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극복 방법으로 이 시스템은 정보처리나 교통질서 안전에 기여할 것이고, 나아가 기초질서 위반, 강력범죄 후 도주, 뺑소니 사범의 검거에 도움을 주어 지역사회의 안전과 범죄예방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무 일자리 창출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요조사 및 현황 파악을 토대로 범죄예방에 관한 기초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개발에 따른 분야에 있어 더 한층 개선된 솔루션을 창출할 것이 요청된다. 따라서 이를 운용할 관리자 및 실무자가 필요하며, CCTV제작 및 설치를 위해 관련 산업기구의 생산 활동 및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인력과 이들에 대한 교육 담당자 역시 필요하다.
    향후 범죄예방 및 기술과 관련된 전문가의 참여가 필수불가결하며, 실무 운용자의 육성을 위한 교육기관의 참여도 필요하므로 교육기관의 역할 증대에도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다분야의 전문가 및 관련 업무로 인한 일자리 창출과 인력활용의 효율성은 국가안전정책에 따른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지난 20년간 공식 범죄추세 통계를 살펴보면 우리 사회전체의 외형적 성장과 인구증가에 비례하여 범죄가 급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특히 급속한 산업화를 이룬 한국사회의 도시화 현상은 수도권의 인구 과밀화, 생활양식의 변화, 빈부격차, 주택난, 교통난, 빈곤 및 실업문제 등 다양한 사회병리현상을 초래 하고 있다.
    이 중에서 도시 중심으로 시민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범죄두려움은 사회적 상호유대와 상호신뢰의 공동체적 가치를 약화시킴으로써 도시의 기능을 저해하고 추가적인 사회유지 비용을 투입케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범죄발생은 범죄피해자에게 정신적․신체적․경제적 고통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범죄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과 상호불신을 일으키고 나아가 도시환경과 사회조직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과거 범죄문제를 일선에서 다루고 있는 공식적 통제기구로서의 경찰은 사후적 범죄 진압활동에 집중 할 수밖에 없는 인력과 장비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시민들의 범죄의 두려움은 점차 증가하고 범죄예방활동에 경찰의 신뢰가 약화됨으로써 개인 비용을 투자하여 보안업체에 의지하는 현상까지 초래했다.
    이러한 실 생활영역에서의 범죄예방과 통제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2000년경부터 국내에서는 방범용 CCTV의 설치를 강화하고 있다. 2011년 말 현재 전국의 방범용 CCTV는 48,446대로 2010년(35,107대)에 비해 38%가 증가하였다. 이렇듯 국내에서 CCTV 증설에 적극적인 이유는 CCTV가 범죄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을 중심으로 다수의 국외연구에서 CCTV가 범죄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론적으로 보면 잠재적 범죄자와 범죄피해에 취약한 대상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만나는 상황에 있어서 CCTV는 피해대상을 보호하고 잠재적 범죄자를 감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한다.
    범죄예방적 기능 외에 CCTV는 범죄가 발생한 이후에도 사건을 해결하는데 기여를 하기도 한다. CCTV에 녹화된 화면은 범죄자를 판별하고 처벌을 하기 위한 증거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CCTV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현재 CCTV의 관리 및 운용은 사건 발생시 녹화된 영상기록의 단순 판독을 통한 사건해결에 그치고 있는 수준이며, CCTV의 본래 취지인 범죄예방 보다는 범죄가 발생한 이후 증거자료로 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CCTV 가 수많은 유형의 범죄문제를 얼마나 해결할 수 있는가’와 ‘이러한 CCTV의 범죄예방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CCTV의 무한한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고품격 실용 방법은 무엇인가’에 관한 해답을 얻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대안 모색의 시도가 절실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다양한 CCTV의 유형 및 사용 목적 중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물리보안방범시스템의 하나인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을 중심으로 범죄예방 및 통제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소속한 대학의 협약기관인 (주)고백기술의 개량형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을 도입하여 시범운용중인 당진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대조군으로 삼아 범죄예방 및 통제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그렇지 않은 지역으로는 본 대학이 소속한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하여 ’익산시‘를 선정하였으며,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감으로써 이 연구를 확산시켜나갈 계획이다.
    2013년도 제1단계 사업의 성과로 대조군인 익산시의 범죄취약지역을 분석하고 연구진에서 개발 예정인 지능형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을 이 지역에 실제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안전을 도모하며 범죄통제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취지라 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CCTV의 유형 및 사용 목적 중 ‘방범용 CCTV‘를 중심으로 범죄예방 및 통제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CCTV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기간인 3년 동안의 연차별 연구계획은 크게 검증단계, 진단단계, 제안단계로 구성된다. 1년차의 검증단계에는 CCTV의 문제점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2년차인 진단 단계는 1년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CCTV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표준형 CCTV통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3년차인 제안단계는 1년차와 2년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실질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종합적이고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2차년도에서 제시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 영문
  • In this study, the use of a variety of types of CCTV and ' V ' C C T a room centered on a universal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and analyze performance issu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CTV in the future address the issue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udy period of 3 years, annual verification of phase discrimination research plan is largely composed of the proposed diagnostic steps, step. 1 year verification phase to validate the issue of CCTV. The second year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phase 1 year addresses the issue of CCTV and direct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s a way to provide a standard CCTV integration guidelines. In addition, a third-year 1 year and 2 year of steps based on the substantial operational and management results for a comprehensive and standardized in order to provide the guidelines outlined in the second year for the importance and priority to the analysis of the guidelin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CCTV가 수많은 유형의 범죄문제를 얼마나 해결할 수 있는가’와 ‘이러한 CCTV의 범죄예방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CCTV의 무한한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고품격 실용 방법은 무엇인가’에 관한 해답을 얻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대안 모색의 시도가 절실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다양한 CCTV의 유형 및 사용 목적 중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방범용 CCTV‘를 중심으로 범죄예방 및 통제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CCTV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와 더 나아가 국가의 안전을 도모하며 범죄통제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취지라 할 수 있다.
    연구기간인 3년 동안의 연차별 연구계획은 크게 검증단계, 진단단계, 제안단계로 구성된다. 1년차의 검증단계에는 CCTV의 문제점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2년차인 진단 단계는 1년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CCTV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표준형 CCTV통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3년차인 제안단계는 1년차와 2년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실질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종합적이고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2차년도에서 제시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즉, 첫 번째 검증단계로서 제1차년도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 및 통제 효과성과 방범용 CCTV의 기술, 운영, 정책적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방범용 CCTV의 개선방향과 통합형 CCTV 표준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지지기반을 확보하였다.
    두 번째 진단단계로서 검증단계에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제2차년도 연구에서는 ‘방범용 CCTV의 기술, 운영, 정책적 측면의 개선방안을 분석 및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실질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통합형 CCTV 표준가이드라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3차년도 연구는 제안단계로서, 진단단계에서 제시된 ‘통합형 CCTV 표준가이드라인 기준’에 대하여 제3차년도 연구에서 실질적으로 검증 및 진단하고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준에 대한 명확화를 통해 실제적 활용이 가능한 ‘통합형 CCTV 표준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차년도 연구에서는 2차년도 연구에서 제시된 방범용 CCTV의 통합형 표준가이드라인 기준에 대하여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검증 및 진단하고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준에 대한 명확화를 통해 실제적 활용이 가능한 ‘통합형 CCTV 표준가이드라인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CCTV의 범죄예방 및 범죄대응의 효과성은 본 연구에 앞서 진행된 1차년도의 연구의 분석결과가 뒷받침해주듯이, CCTV는 ‘살인, 강도, 강간, 절도, 방화, 폭행범죄’를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범죄 증거물 확보, 범죄자 확보, 범인 검거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1차년도에서 실시된 연구의 분석 결과 CCTV의 기술, 운영, 정책적 측면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경찰의 치안업무와 범죄예방, 범죄대응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한 개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현실이다.
    즉, 기술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야간에 발생하는 범죄의 경우 CCTV의 화질과 기능의 저하, CCTV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범죄, 모든 CCTV의 자료가 한 군데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 영상을 검색 및 복제하는 것이 불편하며, 전송속도가 느려 실시간 자료제공에 근접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 저장장치의 부재, 실시간 알람과 저장, 검색이 불가능하다는 점들이 나타났다.
    운용‧정책적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경찰이 활용하면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업무 활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유지 및 보수의 업체가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하여 이와 관련하여 어려움이 있다는 점, CCTV의 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인증제가 없다는 점, 지방경찰청별로 업무의 연계가 미흡하다는 점 등이 나타났다.
    또한, 제2차년도의 결과에서 나타난 이에 대한 개선요청의 필요성으로는 기술적 측면에서 실시간 자료제공에 근접할 수 있는 전송속도의 개선, 고화질 CCTV 카메라, 저장장치의 확보, CCTV의 통합연계 및 이를 위한 기술적 표준화, 실시간 알람과 저장, 검색이 가능한 통합방범시스템의 도입, 방범용 CCTV의 전문 설치 및 유지, 보수업체의 선정기준의 마련, CCTV의 데이터에 대한 인증제 도입, 기존의 CCTV와 새로 설치될 CCTV 간 연동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업체 선정 기준 마련, CCTV에 관한 예산 편성 및 설치를 위한 관리 및 운영 주체의 통일, 지방경찰청 단위의 업무연계통합을 위한 컨트롤 타워 필요, 통합관제센터와 경찰서간 지리적 근접 또는 경찰서 내 구축이 요청되었다.
    이에 제3차년도 연구에서는 제2차년도에서 제시된 방범용 CCTV의 통합형 표준가이드라인 기준에 대하여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검증 및 진단하고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준에 대한 명확화를 통해 실제적 활용이 가능한 ‘통합형 CCTV 표준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 가이드라인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관리적 측면에서 통합차량방범시스템의 구축은 범죄예방활동에 있어 형사정책적 의사결정 및 치안행정정책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으로 유관기관간의 연계가 용이해지며 정보통합으로 능률성을 기대할 수 있다. 향후 이와 같은 통합연계 프로그램은 치안정책 시스템에 활용하여 통합 수집된 정보를 채증을 위한 도구, 즉 디지털 포렌식의 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수사정책 연구체계에 도움을 주어 범죄 양상의 다변화에 따른 다양한 수사기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경제적 측면에서 범죄예방에 필요한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되어 예산 운용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기술개발을 통해 시스템 운용인력을 양성하게 되면 부족한 인력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치안 공백을 메꿀 수 있다. 또한 통합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기존 시스템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어 운용 및 유지보수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통합차량방범시스템 운용은 범죄예방과 비용절감이라는 양방향의 경제적 효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운용자 측면에서 이 시스템은 업무의 간소화를 돕고, 업무 과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업무 환경 개선의 발판이 될 것이다. 현재 CCTV프로그램의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를 운용할 만한 인재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는 전문운용가가 아니라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체계적이고 즉각적인 업무가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CCTV관련 프로그램을 진일보시켜 운용에 있어 현실화를 꾀할 수 있다는데 타 기술과의 차별성을 둘 수 있다는데도 의의가 있다.

    넷째, 기술개발 측면에서 범죄예방과 관련된 보안시장에서 본격적인 가상화 솔루션을 도입하게 되어 시스템 제어 및 관리와 대용량 영상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국내외에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지능형 범죄예방 시스템 기술 영역에 있어 선점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CCTV의 유형 및 사용 목적 중 ‘방범용 CCTV‘를 중심으로 범죄예방 및 통제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CCTV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기간인 3년 동안의 연차별 연구계획은 크게 검증단계, 진단단계, 제안단계로 구성된다. 1년차의 검증단계에는 CCTV의 문제점을 검증하는 단계이다. 2년차인 진단 단계는 1년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CCTV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표준형 CCTV통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3년차인 제안단계는 1년차와 2년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실질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종합적이고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2차년도에서 제시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