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中國 靑樓詩歌 硏究 -<<靑樓韻語>>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nese Prostitute Poetry -Concentrating on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3045318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3 년 (2013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권호종
연구수행기관 경상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과제는 중국의 청루시가(靑樓詩歌)에 관한 연구로서 명대(明代) 장몽징(張夢徵)이 역대 청루시가 총집으로 편찬한 <<청루운어(靑樓韻語)>>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중국문학사에서 전통적인 주류문학은 시가문학이지만, 이 시가문학은 남성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서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중국시가에서 여성시가는 크게 궁원시(宮怨詩), 규원시(閨怨詩), 청루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몇몇 예외적인 기녀출신 여성문인을 제외한다면, 기녀들의 삶과 감성을 노래한 청루시가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과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서 기녀들의 작품을 수록한 최초이자 유일한 기녀시가총집인 <<청루운어>>를 분석함으로써 여성문학의 연구지평을 새로이 열고, 기존에 소홀히 했던 청루시가의 문학사적 의미와 함께 그러한 시가문학을 형성하게 된 사회문화사적 의미도 규명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 기대효과
  • (1) 중국문학사 기술 시 여성문학사 부분을 보충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지금까지 발간된 중국문학사 및 부녀문학사에서는 청루문학에 대한 기술은 대부분 누락되거나 극히 소략하다. 본 연구결과는 이렇게 누락된 부분을 학술적으로 보조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융복합 연구를 파생시킨다.

    본 과제는 <<청루운어>>를 중심으로 진(晉)대에서 명대까지만의 청루시가를 고찰한다. 따라서 그 후속 과제로 청대의 기녀 및 그 시가 작품을 보완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는 데 선행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몇몇 기녀에 한정되어 있는 개별적인 작가 연구를 좀 더 확장시킬 수 있으며, 시ㆍ사ㆍ곡 운문 작품뿐만 아니라 필기류 작품과 희곡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청루운어>>의 하책에 부록으로 실려 있는 전기 작품은 명대 이후의 실제 기녀와 관련된 이야기여서 중국소설 분야의 다양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나아가 장몽징의 󰡔표경󰡕에 맞춘 청루시가의 이해는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학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이므로 추후 심리학적 입장에서 진행될 연구는 청루시가를 포함한 남녀간의 사랑을 기술한 작품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3) 인접 학문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한다.

    기녀의 삶은 고대 전통 사회에서 종합 문화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녀에 대한 관심은 문학ㆍ역사ㆍ철학은 물론이고, 음악ㆍ예술ㆍ사회사상적 분야에서의 연구 동기를 촉발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역대 청루시가에 관한 기본적 문헌자료를 발굴케 하고 작품 해석 방면에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자료가 문학뿐만 아니라 인접 학문에 새로운 연구 시야를 확충하여 연구심화의 계기를 마련한다.

    (4) 중국문학 교육 및 중국문화 교육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기존의 전통식 중국문학 교육에서 청루시가는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기녀문학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탓도 있었지만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했던 탓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중국의 청루시가 연구는 학생들이 좀 더 신선한 소재를 통해 중국문학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고대의 중국문화를 좀 더 색다르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적 자료로도 환원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일반인의 고급 교양 지식을 확대시킨다.

    오늘날 문화콘텐츠의 주요 대상이다.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고급문화를 선도했던 기녀를 통해 한중일 각국마다 전통적인 여흥 문화를 개발하기에 분주하다. 우리나라의 기생, 일본의 게이샤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조명이 각계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중국 기녀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과제는 󰡔청루운어󰡕에 수록된 진대부터 명대까지의 청루시가를 일차적으로 중국시의 일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역주하고 편찬자 장몽징의 관점에 따라 재해석하여 소개함으로써 중국의 고대 기녀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폭넓게 수용하여 수준 높은 교양 지식을 배양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과제의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청루운어>>의 판본과 편찬 배경: <<청루운어>>의 현재 통행본은 2종인데, 첫째는 동영인국(同永印局)에서 간행된 민국(民國) 3년(1914) 4월판이고, 둘째는 상해의 중앙서점(中央書店)에서 간행한 <<국학진본문고 제일집 제구종(國學珍本文庫第一集第九種)ㆍ청루운어(靑樓韻語)>>(1935년 11월 28일초판)이다. 그중 첫번째 판본을 대상으로 한다. <<청루운어>>와 같은 기녀의 시작품집이 명대에 출판될 수 있었던 것은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기녀의 문화적 수준 향상, 명대 출판물의 다양화 등이 그 사회적 배경으로 작용한다. 그 외에도 심성(心性)을 중시하는 양명학(陽明學)에서 비롯된 명대의 자유로운 사상이나 속문학의 발전 등 다양한 요인도 손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청루운어>>의 편찬 목적을 고찰하면서 장몽징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연구 가운데 언급할 것이다.
    2) <<청루운어>>의 편찬 체재: <<청루운어>>는 晋代에서 明代까지 180명의 기녀의 시사곡 500수를 수록한 총집이다. 그 편찬 체례는 다음과 같다. <<표경>>의 경문+주석+경목(경문의 소주제)+해당 작품 선록. 이러한 편찬 체재는 수록된 청루시가를 <<표경>>의 경문에 따라 읽게하는 편찬자의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므로 이에 대한 분석이 본 과제의 주요 내용이 된다.
    3) 전체 작품 역주와 해설: <<청루운어>>의 경문, 주석, 수록 작품을 역주한다. 작품의 해설은 작품자체에 대한 통시적 분석과 편찬자의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하는 작업을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청루시가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4) <<청루운어>>에 수록된 주요 기녀의 삶과 작품을 연구한다. 수록된 작품이 10수 이상인 주요 작가를 각각 별개의 군으로 삼아서 그들의 작품을 고찰한다. 이 작업은 앞서 2차년도에 진행한 작품 자체에 대한 통시적 분석과는 다른 성격이다. 앞에서는 500수를 하나의 작품군으로 보고 통시적으로 분석한 것이라면, 여기서 말하는 기녀의 삶과 작품 분석은 그 작자의 창작의도 등을 파악하는 개별 작가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5) <<청루운어>>의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작품 분석을 시도: <<표경>>을 근거로 편찬한 <<청루운어>>는 성(性)적인 관점에서 청루시가를 바라보고 있다. 사실 성이야말로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욕망으로 내면의 심리를 알지 못하면 파악하기 어렵다. 이때 '심리학적 방법'이라고도 하는 문학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학 이론에 근거하여 작가의 창작 심리,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 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장몽징의 분석은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과맥락이 닿는다 할 수 있다.
    6)<<청루운어>>의 문학사적 의의 및 사회문화사적 의의 규명:
    ①문학사적 의의
    중국문학사에서 전통적인 주류문학은 시가문학이지만, 이 시가문학은 남성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서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중국시가에서 여성시가는 크게 궁원시(宮怨詩), 규원시(閨怨詩), 청루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몇몇 예외적인 기녀출신 여성문인을 제외한다면, 기녀들의 삶과 감성을 노래한 청루시가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과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서 기녀들의 작품을 수록한 최초이자 유일한 기녀시가총집인 <<청루운어>>를 분석함으로써 여성문학의 연구지평을 새로이 열고, 기존에 소홀히 했던 청루시가의 문학사적 의미와 함께 그러한 시가문학을 형성하게 된 사회문화사적 의미도 규명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②사회사상사적 의의 규명
    <<청루운어>>의 간행은 명대 사상의 큰 틀 위에서 가능했다. 그것은 정주학에 대한 실망이며 봉건 예교에 대한 반란이기도 했다. <<표경>>의 작자는 정주학에 대한 불만으로 사서와 오경에 주석이 있는 경우를 빗대어 <<표경>>에 주를 더함으로써 봉건 문화를 조롱하고 풍자하고 있다. 또한 <<청루운어>>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감정을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가르치고 있다. 이러한 가르침은 유가적인 규범이 아니라 인간의 자유로운 성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명대 사회의 철학사상과 무관하지 않다. 즉 왕양명이 인간의 마음을 최고의 가치로 보는 양명학을 주장했는데, 특히 양명학 좌파로 분류되는 태주학파(泰州學派)에 이르면 인욕(人欲)을 긍정하기에 이른다. 태주학파 안산농(安山農)의 경우 “사람이 재물과 미색을 좋아하고 탐함은 모두 본성으로부터 나온다. 그 한 때의 하는 바는 천기(天機)의 발동으로 이는 결코 막을 수 없는 것이다”라 하여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였다. 따라서 본 과제는 명대 사회사상사에서 지는 <<청루운어>>의 의의를 규명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과제는 중국의 靑樓詩歌에 관한 연구로서 明代 張夢徵이 彙選하고 朱元亮이 輯註한 『靑樓韻語』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중국문학사에서 전통적인 주류문학은 시가문학이지만, 이 시가문학은 남성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서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중국시가에서 여성시가는 크게 궁원시(宮怨詩), 규원시(閨怨詩), 청루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몇몇 예외적인 기녀출신 여성문인을 제외한다면, 기녀들의 삶과 감성을 노래한 청루시가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과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서 기녀들의 작품을 수록한 최초이자 거의 유일한 기녀시가총집인 『청루운어』를 분석함으로써 여성문학의 연구지평을 새로이 열고, 기존에 소홀히 했던 청루시가의 문학사적 의미와 함께 그러한 시가문학을 형성하게 된 사회문화사적 의미도 규명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본 과제의 구체적인 연구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 (1)문헌자료 수집과 판본조사- ①문헌자료수집: 국내외 청루 및 기녀와 관련된 단행본과 연구논문을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 그중 일본 학자 小川陽一의 단행본 『風月機関と明清文學』(汲古書院, 2010)과 『明代の遊郭事情風月機関』(汲古書院, 2006), 汲古書院 발간 『中國日用類書集成』등은 본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자료, 『청루운어』 우리말 번역에 가장 유용한 참고자료가 됨. ②판본조사: 국내외 주요 도서관에 소장된 『청루운어』판본을 조사하고 분석. 특히 臺灣國家圖書館, 臺灣大學圖書館, 臺灣師範大學圖書館, 中國國家圖書館, 北京大學圖書館, 北京師範大學圖書館, 上海圖書館, 南京圖書館, 南京大學圖書館, 揚州圖書館 및 서울대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성균관대도서관, 계명대도서관 등을 방문, 주요 판본을 면밀히 검토. 그 결과 명나라 만력44년 각본을 영인한 『中國古代版畵叢刊二編』에 수록된 『청루운어』를 저본으로 삼기로 결정함. (2)편찬배경 및 의의에 관한 연구 - 명대 흥성한 陽明學 기풍을 중점으로 여성에 대한 인식 전환, 출판업 흥성 등과 연관지어 고찰. 이에 관한 연구는 「『靑樓韻語』 編纂背景 小考」(2014.11)를 통해 발표. 또 『표경』을 경문으로 두고 그 주제에 따라 시를 수록하는 편찬자의 독특한 관점을 분석한 「명대 『靑樓韻語』의 편찬 의의」(2014.8)를 발표. (3)편찬체재에 관한 연구 - 본 연구팀은 「『靑樓韻語』의 체례 연구」(2014.12)라는 논문을 통해 『청루운어』에 수록된 기녀의 인명과 작품을 목록으로 정리, 각 판본 간의 출입을 검토한 후 경목ㆍ작가ㆍ작품의 배열 순서에서 나타나는 편찬자 의도를 고찰. (4)『청루운어』의 역주 작업 - 6명의 연구원들이 매주 한 차례씩 정기적으로 모여 작품 번역 시작, 1차년도 안에 초역완료. 그 일부의 결과물로 「『청루운어』서발문(序跋文) 역주」(2014.7)를 번역논문으로 투고.
    [2차년도](1)『청루운어』관련 자료 추가 수집 및 분석 - 가장 큰 성과로 중국 社會科學院 歷史硏究所 文化室에서 편찬한 『明代通俗日用類書集刊(총16책)』(西南師範大學出版社, 2011) 구입, 『표경』과 관련된 ‘風月文’을 분석, 국내 서울대도서관, 성균관대도서관 등에 소장된 관련 유서 속에서도 기존에 누락된 ‘풍월문’류를 추가 발견, 관련 기초 자료 보완. (2)『청루운어』의 통시적 작품 분석 - 『中國娼妓史』 등 기존의 기녀사 관련 연구 성과 참조, 南朝, 隋唐, 宋元, 明代의 4개 시기로 구분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고찰하여 「『靑樓韻語』詩歌에 대한 通時的 고찰」(2015.6) 발표함. (3)『청루운어』의 편찬자 관점에서 작품 분석 - 편찬자의 의도에 따라 기녀시 작품을 해석한 것으로 「『靑樓韻語』를 통해 본 嫖客의 風流守則」(2015.6), 「『靑樓韻語』를 통해 본 妓女의 接客心理 考察」(2015.8), 「『靑樓韻語』를 통해 본 遊廓風情 小考」(2015.9)의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4) 『청루운어』 역주 작업에 대한 수정 및 보완 -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1)」(2015.7),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2)」(2016.1)의 번역논문을 투고하였다. (5)추가 연구 수행 - ①단행본 번역: 小川陽一의 단행본인 『風月機関と明清文學』과 『明代の遊郭事情風月機関』가 개별 주제 연구의 자료로서 유용하다고 판단, 그 전문을 기초 번역함. ②논문 발표: 동진 이전 여성형상을 고찰 「三國演義 詩歌의 女性人物 形象 小考」(2015.11)로서 연구 외연을 확장함.
    [3차년도](1)『청루운어』에 수록된 주요 기녀의 삶과 작품 연구 - 동진~당에 해당하는 연구 결과는 「『靑樓韻語』 詩歌 硏究: 唐까지의 기녀 시가를 중심으로」(2016.6)의 논문에서, 송원시기는 『청루운어』에 가장 많이 기록된 기녀 순으로 고찰하되 당시 시대적 배경과 결부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宋代 靑樓詩歌 硏究: 『靑樓韻語』를 중심으로」로 발표할 예정이다. 명대는 선행연구와 중복을 피해 작품 수가 가장 많은 景翩翩을 별도 주제로 선정 「明代 妓女 景翩翩 詩歌 小考」(2016.9)을 발표함.(3) 청루시가의 문학사와 사회사상사적 의의 규명-각 논문에서 부분적으로 진행함 (4)『청루운어』 역주 작업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지난 번역작업에 이어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3)」(2016.7)를 투고, 현재는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4)」을 투고예정중이다.
    활용계획은 다음의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중국문학사에서 여성역할을 설명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 (2) 중국시가연구 및 청루문학 연구에 있어 확장 및 파생의 효과 (3) 인접 학문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 (4) 중국문학 교육 및 중국문화 교육 등에 도움 (5) 일반인의 교양 지식을 확대
  • 영문
  • This project has been conducted over three years. The first year’s study includes the subjects on the several versions、the compilation and the style of 『QingLouYunYu(靑樓韻語)』, the social atmosphere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QingLouYunYu』's prefaces. The second year’s study includes diachronic consideration about the book, the rules of whoremaster's demeanor. the psychology of reception of a libertine, the scenary of brothel, etc. The third year’s study included the poetry of 『Qinglouyunyu』 - focusing on the poems till tang dynasty, jingpianpian(景翩翩)'s poetry,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Qinglouyunyu』’s text, etc.
    The main research is as follows. It is a study of the original edition. Our team has conducted a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veral versions of 『QingLouYunYu』 which were procured during data research and field investigation. We have found out five different editions of the book, and identified Ming Wanli(明 萬曆) 44 year’s edition as the earliest version up to now. We has researched the stylistic rules and layout of Wanli(明 萬曆) 44 year’s version
    『QingLouYunYu』 shows a unique format dividing the poems into subdivision with sentences in a book titled 『PiaoJing(嫖經)』. The book 『PiaoJing』 existed before the publishing of 『QingLouYunYu』, and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overall style rules of 『QingLouYunYu』, examining the rules by which 『QingLouYunYu』’ subdivisions and literary pieces were arranged and the way how the compiler used and edited 『PiaoJing(嫖經)』. The codes of conduct in brothel were summarized as follow : At first, do as a man who experienced before. the second, choose a prostitute who is well versed in literature. The third, win prostitute’s mind according to her taste. The fourth, pass a timely remark, The fifth, rouse her jealousy, and, prepare a countermeasure not to be abandoned. Like mentioned, 『QinglouYunyu』 is a guide book to whoremasters who visit brothels, but it is also a very important book as the works of literature that contains roughly 507 poems.
    Al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the 'jinü(妓女)' and brothels so far, it's very rare to illuminate concentrically the aspects of their real life through an actual document of 『QingLouYunYu』. The text of 『QingLouYunYu』 consists of the scripture 『PiaoJing』's sentences, the annotations and literary pieces. We have translated the sentences and annotations of the ming wanli 44th year's edition of 『QingLouYunYu』 into korean, and made explanatory notes on them. The translating works have continued four times successive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과제는 중국의 靑樓詩歌에 관한 연구로서 明代 張夢徵이 彙選하고 朱元亮이 輯註한 『靑樓韻語』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중국문학사에서 전통적인 주류문학은 시가문학이지만, 이 시가문학은 남성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서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중국시가에서 여성시가는 크게 궁원시(宮怨詩), 규원시(閨怨詩), 청루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몇몇 예외적인 기녀출신 여성문인을 제외한다면, 기녀들의 삶과 감성을 노래한 청루시가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과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서 기녀들의 작품을 수록한 최초이자 거의 유일한 기녀시가총집인 『청루운어』를 분석함으로써 여성문학의 연구지평을 새로이 열고, 기존에 소홀히 했던 청루시가의 문학사적 의미와 함께 그러한 시가문학을 형성하게 된 사회문화사적 의미도 규명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기녀는 명문가의 규수와 일반 여인들의 중간에서 음악, 복식, 음식 등의 유행을 전파하는 문화의 가교 역할을 했으며, 여러 계층의 남성들과 상호 교류하면서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수많은 문인사대부들이 시와 사를 지으며 기녀를 예찬하고 그녀들과의 애절한 사랑을 노래하기도 했다. 또한 기녀 자신이 직접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문학의 주체자로서 거침없이 활동하며 타성에 젖어있던 사대부의 문학 세계에 청신한 소재를 던져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중국문학 연구에서 기녀시가를 전문적으로 다룬 예는 거의 없다. 기녀들의 작품은 문인 사대부들이 지은 작품 수준에 뒤지지 않으며, 오히려 문인 사대부들이 표현하지 못하는 독특한 관점과 정서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역대 기녀 시가총집인 『청루운어』의 연구가치는 아래 4가지로 서술할 수 있다.
    (1) 기녀의 작품만을 모아 간행한 최초의 시가총집 (2) 여성 자신이 직접 창작한 여성문학 (3) 편찬자 입장에서의 작품 해석 가능성 제시 (4) 명대 사회문화 파악을 위한 중요 단서 제공
    이상의 연구목적과 연구가치를 바탕으로 본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행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가장 먼저 텍스트인 『청루운어』의 현재 남아있는 판본을 조사하여 연구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고, 『청루운어』가 명대 만력 연간에 편찬되게 된 여러 가지 문화적 배경을 이해함으로써 연구 자료의 가치를 규명할 것이다. 또한 『청루운어』의 편찬 체재 및 내용 구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독창적인 편찬 의의를 조명하고, 그 바탕 위에서 『청루운어』에 수록된 경문과 작품의 상호 관계를 분석할 것이며, 각 작품자체에 대한 통시적인 분석을 진행함과 동시에 기녀시가를 해석하는 편찬자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그 외에도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기녀를 중심으로 『청루운어』에 수록된 주요 기녀의 삶과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청루시가 연구의 연구 토대를 마련하고, 마지막으로 『청루운어』의 문학사와 사회사상사적 의의를 규명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주제 연구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청루운어』를 우리말로 역주하는 작업을 빠른 기한 내에 완료하고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할 것이다.
    (1) 『청루운어』의 편찬 배경과 체재 분석
    (2) 『청루운어』 수록 작품 역주
    (3) 작품자체에 대한 통시적 분석
    (4) 편찬자의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
    (5) 『청루운어』에 수록된 주요 기녀의 삶과 작품 연구
    (6) 『청루운어』의 문학사와 사회사상사적 의의 규명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과제의 구체적인 연구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 (1)문헌자료 수집과 판본조사- ①문헌자료수집: 국내외 청루 및 기녀와 관련된 단행본과 연구논문을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 그중 일본 학자 小川陽一의 단행본 『風月機関と明清文學』(汲古書院, 2010)과 『明代の遊郭事情風月機関』(汲古書院, 2006), 汲古書院 발간 『中國日用類書集成』등은 본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자료, 『청루운어』 우리말 번역에 가장 유용한 참고자료가 됨. ②판본조사: 국내외 주요 도서관에 소장된 『청루운어』판본을 조사하고 분석. 특히 臺灣國家圖書館, 臺灣大學圖書館, 臺灣師範大學圖書館, 中國國家圖書館, 北京大學圖書館, 北京師範大學圖書館, 上海圖書館, 南京圖書館, 南京大學圖書館, 揚州圖書館 및 서울대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성균관대도서관, 계명대도서관 등을 방문, 주요 판본을 면밀히 검토. 그 결과 명나라 만력44년 각본을 영인한 『中國古代版畵叢刊二編』에 수록된 『청루운어』를 저본으로 삼기로 결정함. (2)편찬배경 및 의의에 관한 연구 - 명대 흥성한 陽明學 기풍을 중점으로 여성에 대한 인식 전환, 출판업 흥성 등과 연관지어 고찰. 이에 관한 연구는 「『靑樓韻語』 編纂背景 小考」(2014.11)를 통해 발표. 또 『표경』을 경문으로 두고 그 주제에 따라 시를 수록하는 편찬자의 독특한 관점을 분석한 「명대 『靑樓韻語』의 편찬 의의」(2014.8)를 발표. (3)편찬체재에 관한 연구 - 본 연구팀은 「『靑樓韻語』의 체례 연구」(2014.12)라는 논문을 통해 『청루운어』에 수록된 기녀의 인명과 작품을 목록으로 정리, 각 판본 간의 출입을 검토한 후 경목ㆍ작가ㆍ작품의 배열 순서에서 나타나는 편찬자 의도를 고찰. (4)『청루운어』의 역주 작업 - 6명의 연구원들이 매주 한 차례씩 정기적으로 모여 작품 번역 시작, 1차년도 안에 초역완료. 그 일부의 결과물로 「『청루운어』서발문(序跋文) 역주」(2014.7)를 번역논문으로 투고.
    [2차년도](1)『청루운어』관련 자료 추가 수집 및 분석 - 가장 큰 성과로 중국 社會科學院 歷史硏究所 文化室에서 편찬한 『明代通俗日用類書集刊(총16책)』(西南師範大學出版社, 2011) 구입, 『표경』과 관련된 ‘風月文’을 분석, 국내 서울대도서관, 성균관대도서관 등에 소장된 관련 유서 속에서도 기존에 누락된 ‘풍월문’류를 추가 발견, 관련 기초 자료 보완. (2)『청루운어』의 통시적 작품 분석 - 『中國娼妓史』 등 기존의 기녀사 관련 연구 성과 참조, 南朝, 隋唐, 宋元, 明代의 4개 시기로 구분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고찰하여 「『靑樓韻語』詩歌에 대한 通時的 고찰」(2015.6) 발표함. (3)『청루운어』의 편찬자 관점에서 작품 분석 - 편찬자의 의도에 따라 기녀시 작품을 해석한 것으로 「『靑樓韻語』를 통해 본 嫖客의 風流守則」(2015.6), 「『靑樓韻語』를 통해 본 妓女의 接客心理 考察」(2015.8), 「『靑樓韻語』를 통해 본 遊廓風情 小考」(2015.9)의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4) 『청루운어』 역주 작업에 대한 수정 및 보완 -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1)」(2015.7),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2)」(2016.1)의 번역논문을 투고하였다. (5)추가 연구 수행 - ①단행본 번역: 小川陽一의 단행본인 『風月機関と明清文學』과 『明代の遊郭事情風月機関』가 개별 주제 연구의 자료로서 유용하다고 판단, 그 전문을 기초 번역함. ②논문 발표: 동진 이전 여성형상을 고찰 「三國演義 詩歌의 女性人物 形象 小考」(2015.11)로서 연구 외연을 확장함.
    [3차년도](1)『청루운어』에 수록된 주요 기녀의 삶과 작품 연구 - 동진~당에 해당하는 연구 결과는 「『靑樓韻語』 詩歌 硏究: 唐까지의 기녀 시가를 중심으로」(2016.6)의 논문에서, 송원시기는 『청루운어』에 가장 많이 기록된 기녀 순으로 고찰하되 당시 시대적 배경과 결부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宋代 靑樓詩歌 硏究: 『靑樓韻語』를 중심으로」로 발표할 예정이다. 명대는 선행연구와 중복을 피해 작품 수가 가장 많은 景翩翩을 별도 주제로 선정 「明代 妓女 景翩翩 詩歌 小考」(2016.9)을 발표함.(3) 청루시가의 문학사와 사회사상사적 의의 규명-각 논문에서 부분적으로 진행함 (4)『청루운어』 역주 작업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지난 번역작업에 이어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3)」(2016.7)를 투고, 현재는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4)」을 투고예정중이다.
    활용계획은 다음의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중국문학사에서 여성역할을 설명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 (2) 중국시가연구 및 청루문학 연구에 있어 확장 및 파생의 효과 (3) 인접 학문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 (4) 중국문학 교육 및 중국문화 교육 등에 도움
    (5) 일반인의 교양 지식을 확대
  • 색인어
  • 靑樓詩歌, 『靑樓韻語』, 『嫖經』, 靑樓, 妓女, 明代, 張夢徵, 朱元亮, 日用類書, 風月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