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제는 중국의 靑樓詩歌에 관한 연구로서 明代 張夢徵이 彙選하고 朱元亮이 輯註한 『靑樓韻語』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중국문학사에서 전통적인 주류문학은 시가문학이지만, 이 시가문학은 남성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서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중국시가에서 여성시 ...
본 과제는 중국의 靑樓詩歌에 관한 연구로서 明代 張夢徵이 彙選하고 朱元亮이 輯註한 『靑樓韻語』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중국문학사에서 전통적인 주류문학은 시가문학이지만, 이 시가문학은 남성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서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 중국시가에서 여성시가는 크게 궁원시(宮怨詩), 규원시(閨怨詩), 청루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몇몇 예외적인 기녀출신 여성문인을 제외한다면, 기녀들의 삶과 감성을 노래한 청루시가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과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서 기녀들의 작품을 수록한 최초이자 거의 유일한 기녀시가총집인 『청루운어』를 분석함으로써 여성문학의 연구지평을 새로이 열고, 기존에 소홀히 했던 청루시가의 문학사적 의미와 함께 그러한 시가문학을 형성하게 된 사회문화사적 의미도 규명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본 과제의 구체적인 연구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 (1)문헌자료 수집과 판본조사- ①문헌자료수집: 국내외 청루 및 기녀와 관련된 단행본과 연구논문을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 그중 일본 학자 小川陽一의 단행본 『風月機関と明清文學』(汲古書院, 2010)과 『明代の遊郭事情風月機関』(汲古書院, 2006), 汲古書院 발간 『中國日用類書集成』등은 본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자료, 『청루운어』 우리말 번역에 가장 유용한 참고자료가 됨. ②판본조사: 국내외 주요 도서관에 소장된 『청루운어』판본을 조사하고 분석. 특히 臺灣國家圖書館, 臺灣大學圖書館, 臺灣師範大學圖書館, 中國國家圖書館, 北京大學圖書館, 北京師範大學圖書館, 上海圖書館, 南京圖書館, 南京大學圖書館, 揚州圖書館 및 서울대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성균관대도서관, 계명대도서관 등을 방문, 주요 판본을 면밀히 검토. 그 결과 명나라 만력44년 각본을 영인한 『中國古代版畵叢刊二編』에 수록된 『청루운어』를 저본으로 삼기로 결정함. (2)편찬배경 및 의의에 관한 연구 - 명대 흥성한 陽明學 기풍을 중점으로 여성에 대한 인식 전환, 출판업 흥성 등과 연관지어 고찰. 이에 관한 연구는 「『靑樓韻語』 編纂背景 小考」(2014.11)를 통해 발표. 또 『표경』을 경문으로 두고 그 주제에 따라 시를 수록하는 편찬자의 독특한 관점을 분석한 「명대 『靑樓韻語』의 편찬 의의」(2014.8)를 발표. (3)편찬체재에 관한 연구 - 본 연구팀은 「『靑樓韻語』의 체례 연구」(2014.12)라는 논문을 통해 『청루운어』에 수록된 기녀의 인명과 작품을 목록으로 정리, 각 판본 간의 출입을 검토한 후 경목ㆍ작가ㆍ작품의 배열 순서에서 나타나는 편찬자 의도를 고찰. (4)『청루운어』의 역주 작업 - 6명의 연구원들이 매주 한 차례씩 정기적으로 모여 작품 번역 시작, 1차년도 안에 초역완료. 그 일부의 결과물로 「『청루운어』서발문(序跋文) 역주」(2014.7)를 번역논문으로 투고.
[2차년도](1)『청루운어』관련 자료 추가 수집 및 분석 - 가장 큰 성과로 중국 社會科學院 歷史硏究所 文化室에서 편찬한 『明代通俗日用類書集刊(총16책)』(西南師範大學出版社, 2011) 구입, 『표경』과 관련된 ‘風月文’을 분석, 국내 서울대도서관, 성균관대도서관 등에 소장된 관련 유서 속에서도 기존에 누락된 ‘풍월문’류를 추가 발견, 관련 기초 자료 보완. (2)『청루운어』의 통시적 작품 분석 - 『中國娼妓史』 등 기존의 기녀사 관련 연구 성과 참조, 南朝, 隋唐, 宋元, 明代의 4개 시기로 구분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고찰하여 「『靑樓韻語』詩歌에 대한 通時的 고찰」(2015.6) 발표함. (3)『청루운어』의 편찬자 관점에서 작품 분석 - 편찬자의 의도에 따라 기녀시 작품을 해석한 것으로 「『靑樓韻語』를 통해 본 嫖客의 風流守則」(2015.6), 「『靑樓韻語』를 통해 본 妓女의 接客心理 考察」(2015.8), 「『靑樓韻語』를 통해 본 遊廓風情 小考」(2015.9)의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4) 『청루운어』 역주 작업에 대한 수정 및 보완 -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1)」(2015.7),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2)」(2016.1)의 번역논문을 투고하였다. (5)추가 연구 수행 - ①단행본 번역: 小川陽一의 단행본인 『風月機関と明清文學』과 『明代の遊郭事情風月機関』가 개별 주제 연구의 자료로서 유용하다고 판단, 그 전문을 기초 번역함. ②논문 발표: 동진 이전 여성형상을 고찰 「三國演義 詩歌의 女性人物 形象 小考」(2015.11)로서 연구 외연을 확장함.
[3차년도](1)『청루운어』에 수록된 주요 기녀의 삶과 작품 연구 - 동진~당에 해당하는 연구 결과는 「『靑樓韻語』 詩歌 硏究: 唐까지의 기녀 시가를 중심으로」(2016.6)의 논문에서, 송원시기는 『청루운어』에 가장 많이 기록된 기녀 순으로 고찰하되 당시 시대적 배경과 결부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宋代 靑樓詩歌 硏究: 『靑樓韻語』를 중심으로」로 발표할 예정이다. 명대는 선행연구와 중복을 피해 작품 수가 가장 많은 景翩翩을 별도 주제로 선정 「明代 妓女 景翩翩 詩歌 小考」(2016.9)을 발표함.(3) 청루시가의 문학사와 사회사상사적 의의 규명-각 논문에서 부분적으로 진행함 (4)『청루운어』 역주 작업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지난 번역작업에 이어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3)」(2016.7)를 투고, 현재는 「『靑樓韻語』의 經文과 原註에 대한 譯解(4)」을 투고예정중이다.
활용계획은 다음의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중국문학사에서 여성역할을 설명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 (2) 중국시가연구 및 청루문학 연구에 있어 확장 및 파생의 효과 (3) 인접 학문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 (4) 중국문학 교육 및 중국문화 교육 등에 도움 (5) 일반인의 교양 지식을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