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service learning)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효과
A Demonstration Project on the Service Learning for Promoting Character Education and Inclus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3044576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승희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지연(이화여자대학교)
장혜성(가톨릭대학교)
전상신
권현수(세종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한국의 학교교육에 대한 반성과 우려는 학생들의 학업적 성취의 수월성 제고 위주의 학교 교육력 제고만으로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으로 수렴될 수 있다. 학교 폭력 문제, 집단 따돌림, 교사권리와 학생권리의 충돌, 대학입시준비 스트레스 증가, 동료학생 간 경쟁의 심화, 학부모와 교사 간 신뢰 약화, 공교육 기대감 저조, 청소년 게임중독 증가 등 수많은 문제의 소용돌이 속에 우리나라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이 놓여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더욱 새롭게 조명되고 다시금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특수교육 통계에 의하면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70%가 일반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이러한 수치만 보아도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문제는 더 이상 특수교육 분야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 교육 전체 맥락에서 조명되고 관심 받아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통합교육의 역사가 가장 긴 초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이 일반학급 수업에 비장애학생과 함께 의미 있게 참여하여 최적의 교육적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현재 국내외 통합교육 실제가 공통적으로 직면한 쟁점이다.
    그런데 최근까지도 통합교육은 주로 물리적, 사회적 통합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교육과정적 통합은 미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애학생이 통합된 초등학교에서 교육과정적 통합을 성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요사이 ‘인성교육’ 제공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관심을 받는 가운데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를 위한 공통의 교육과정 내용 개발의 필요성이 높게 대두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을 촉진하고 모든 학생의 인성 및 학업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적용 가능한 ‘봉사학습’(service learning)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봉사학습은 지역사회 기반의 봉사활동과 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활동 속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적 요구 또한 충족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구조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통합교육 맥락에서 봉사학습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업기술, 사회정서적 기술, 진로영역 기술 및 생활기술의 향상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수업의 한 방안 및 통합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의미도 있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창우(2008)는 청소년 봉사학습과 도덕교육과의 연계성을 논하면서 봉사학습을 통해 인성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최상민과 한정란(2007)은 청소년과 노인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과 노인들이 서로를 대하는 태도가 긍정적으로 개선되었고, 노인의 경우 이와 더불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역시 상승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런데, 다수의 선행연구가 주로 대학생이나 청소년에 관심을 두었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봉사학습 연구는 여전히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장애학생이 봉사학습의 주체로 참여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장애아동이 봉사의 대상인 연구를 찾아볼 수 있을 뿐이다(김승용 2011; 조재현 2011).
    현재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쟁점화 되고 있는 학교 폭력의 예방 대책, 인성교육의 강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지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유익한 공동의 교육내용 개발 및 교육과정적 통합 성취 방법의 일환으로 ‘봉사학습’이 지니는 가치는 시의적으로 더욱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이 학생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저학년 팀과 고학년 팀을 합해 총 4개 팀을 구성하여 지역사회 4가지 기관에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그 교육적 효과를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o 본 연구를 통해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초등학교 봉사학습 체계의 방향을 정립하고 다양한 대상과 목적을 고려한 봉사학습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활동내용과 운영방법을 개발하는 것뿐 아니라 실제로 다양한 장소에서 봉사학습 활동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 개발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보완, 수정하여 효과가 검증된 증거기반의 실제로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봉사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따라 어떤 점을 고려하여 어떻게 운영해야하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방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후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실행과정, 실행효과 등을 보고하고 학교에서의 실용적인 적용방안에 대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에게 소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에게 봉사학습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 습득 및 적용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해 참여 학생과 교사 간에 긍정적 관계를 형성시키고 학교 구성원들 간의 분위기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장애학생이 봉사활동의 수혜자 뿐 아니라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나 또래의 인식을 개선하는데 한 몫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강화하고 참여자들의 시민의식 및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켜 사회통합을 촉진시키고 사회에 공헌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2) 인력양성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o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및 학교 행정가뿐 아니라 봉사학습 활동을 책임질 전문가의 봉사학습에 대한 전문 지식을 넓히기 위한 연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 본 연구에 참여하여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될 교사와 봉사학습 활동 관계자들의 경우 연구 참여를 통해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의 경험을 얻을 수 있고 봉사학습 활동에 대한 지식을 쌓고 양질의 봉사학습 활동을 이끄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o 본 연구에 참여하는 공동연구원과 박사급 연구 인력은 본 연구를 통해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활동을 구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함께 연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앞으로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분야의 전문가로서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심화된 연구 능력을 지닌 연구자로서 성장해 가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 교육 현장과의 연계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o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효과를 검증받은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교육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토요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인성 함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와 다양한 환경에서 봉사학습 활동을 수행하면서 수집된 정보들은 앞으로 봉사학습 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다수의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세미나 및 학술대회 개최 등을 통해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 보급하고 현장 적용을 촉진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o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프로그램은 추후 다양한 봉사활동과 연계시켜 대상을 확대하고 봉사 현장을 다양화하는데 적절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중등학교에서의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 등의 후속연구를 실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1) 국내외 봉사학습 관련 문헌의 수집 및 종합분석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국내외 봉사학습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종합·분석한다. 봉사학습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의 분석을 통해 봉사학습에서 달성해야 할 장단기 성과, 성과측정 방법, 봉사학습 실행상의 유의점, 봉사학습 인솔자 교육, 장애학생을 위한 봉사학습 활동의 수정 방안 등을 고찰하여 그 이후 단계인 프로그램 개발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2) 국내 봉사학습 현황 조사
    본 연구에서는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봉사학습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과 형식의 프로그램이 국내 초등교육 현장에서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으며 그 구체적 현황은 어떠한지를 조사할 예정이다. 서울시의 지역교육청을 통해 봉사학습 및 유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학교를 추천받아 각 학교에 연락을 취하고 참여 동의를 받은 후, 참여에 동의한 학교에 질문지를 배부하고, 반송 봉투 및 직접 방문을 통해 질문지를 회수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현황 조사를 통해 봉사학습에 소요되는 시간, 봉사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장소, 봉사학습 활동 내용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운영 상황을 파악할 뿐 아니라 봉사학습에 대한 초등교육현장의 인식과 수용정도, 봉사학습과 교과교육 간의 연계성, 봉사학습의 성과 등에 관한 인식도 조사하고자 한다.

    (3)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
    봉사학습에 참여할 초등학생의 연령 범위에 따라 봉사학습활동의 성격과 운영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저학년의 경우 노인정과 어린이집에서의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초등 고학년의 경우 전철역과 국제기구 관련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네 장소에서의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오리엔테이션과 10회기의 본 프로그램(각 회기는 120분)으로 구성될 예정이다(총 11회기). 개발된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협력연구진(초등학교 교장 및 교감 4인, 일반교사 3인, 특수교사 3인) 자문회의와 다양한 교사 집단 대상의 세미나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할 것이다.

    (4)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실행 효과 검증
    본 연구의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 개발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있는 두 개의 초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게 된다. 두 초등학교 중 A 초등학교는 저학년 초등학생으로 두 팀(은빛팀, 초록팀)을, B초등학교는 고학년 학생으로 두 팀(전철역 봉사팀, 국제봉사팀)을 구성하게 된다. 각 팀은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10명 이내로 구성하며, 통제집단은 참여 학생들과 동일한 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학년과 성별을 매치시킨 학생들로 구성될 것이다.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봉사학습 참여 학생을 인솔할 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친 사전 교육을 실시하여 참여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봉사학습 실행은 한 학기에 걸쳐 실시될 예정이며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요일과 시간은 각 팀의 특성과 선호도, 봉사학습 장소의 특성, 학교별 운영계획에 따라 평일 재량시간 또는 주말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화될 것이다.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종속변인(정서지능,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사회성 기술, 학업관련 기술) 측정을 실시하여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고찰할 뿐 아니라 면담과 봉사학습일지를 이용한 질적 분석도 실시할 예정이다. 장애학생의 경우, 양적인 측정뿐 아니라 면담, 관찰도 함께 실시하여 정서적, 사회적, 학업적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5)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보급
    본 연구진은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되고 시범적 운영을 마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를 통해 보급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실행의 결과 보고를 기본으로 하고 이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유·초·중·고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시행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와 행정적 지원 등에 대해서도 학술대회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대상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여 제시하는 것이었다. 봉사학습은 학업기술의 습득이나 봉사활동의 경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성장하여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전인적 교육방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인성교육 차원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유효한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 목적에 적합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국내 초등교육 현장의 봉사학습 실시 현황을 조사함과 동시에 국내외 봉사학습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국내 초등교육 현장에 맞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두 종류로 개발되었으며 하나는 저학년을 대상으로 학급 내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내 프로그램이었다. 다른 하나는 고학년 학생들이 참여하는 교외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내 어린이집에서 봉사학습을 진행하는 것이었다.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친사회적 행동, 학습동기, 이타성, 정서지능, 장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 모두에게서 의미있는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년에 걸쳐 개발하고 효과가 검증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보급하고자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 과정, 실행 과정, 실행 효과 등을 연구보고서의 형태로 발표하였으며, 일선 초등학교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발표를 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s to improve the character education and inclus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The service-learning is not only good for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for holistic human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students could learn good characters such as care,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our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it could be a useful way to accelerate the inclusion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articles on service learning and analyzed them as well as studied about the status of service-learning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program analysis, the service-learning program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were developed. There were two kinds in our service-learning programs: one was in class program for 3rd grade and the other was club activity program for 5th gr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learning programs, the social behavior, academic motivation, helping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measured by assessment tools.
    As a result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s i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lso, a nation-wide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to report the 2-year study results and distribute the service-learning programs, that was research-based effective program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inclusion, in educational fields. At the conference, the details about development of service-learning programs,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the effects of service-learning programs were presented, and many video examples and pictures were showed so that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uld apply it in their schools practical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대상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여 제시하는 것이었다. 봉사학습은 학업기술의 습득이나 봉사활동의 경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성장하여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전인적 교육방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인성교육 차원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유효한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 목적에 적합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국내 초등교육 현장의 봉사학습 실시 현황을 조사함과 동시에 국내외 봉사학습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국내 초등교육 현장에 맞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두 종류로 개발되었으며 하나는 저학년을 대상으로 학급 내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내 프로그램이었다. 다른 하나는 고학년 학생들이 참여하는 교외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내 어린이집에서 봉사학습을 진행하는 것이었다.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친사회적 행동, 학습동기, 이타성, 정서지능, 장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 모두에게서 의미있는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년에 걸쳐 개발하고 효과가 검증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보급하고자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 과정, 실행 과정, 실행 효과 등을 연구보고서의 형태로 발표하였으며, 일선 초등학교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발표를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o 본 연구를 통해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초등학교 봉사학습 체계의 방향을 정립하고 다양한 대상과 목적을 고려한 봉사학습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활동내용과 운영방법을 개발하는 것뿐 아니라 실제로 다양한 장소에서 봉사학습 활동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 개발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보완, 수정하여 효과가 검증된 증거기반의 실제로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봉사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따라 어떤 점을 고려하여 어떻게 운영해야하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방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후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실행과정, 실행효과 등을 보고하고 학교에서의 실용적인 적용방안에 대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에게 소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에게 봉사학습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 습득 및 적용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해 참여 학생과 교사 간에 긍정적 관계를 형성시키고 학교 구성원들 간의 분위기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장애학생이 봉사활동의 수혜자 뿐 아니라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나 또래의 인식을 개선하는데 한 몫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강화하고 참여자들의 시민의식 및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켜 사회통합을 촉진시키고 사회에 공헌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2) 인력양성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o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및 학교 행정가뿐 아니라 봉사학습 활동을 책임질 전문가의 봉사학습에 대한 전문 지식을 넓히기 위한 연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 본 연구에 참여하여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될 교사와 봉사학습 활동 관계자들의 경우 연구 참여를 통해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의 경험을 얻을 수 있고 봉사학습 활동에 대한 지식을 쌓고 양질의 봉사학습 활동을 이끄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o 본 연구에 참여하는 공동연구원과 박사급 연구 인력은 본 연구를 통해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활동을 구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함께 연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앞으로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분야의 전문가로서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심화된 연구 능력을 지닌 연구자로서 성장해 가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 교육 현장과의 연계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o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효과를 검증받은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교육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토요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인성 함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와 다양한 환경에서 봉사학습 활동을 수행하면서 수집된 정보들은 앞으로 봉사학습 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다수의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세미나 및 학술대회 개최 등을 통해 인성교육과 통합 촉진을 위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 보급하고 현장 적용을 촉진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o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프로그램은 추후 다양한 봉사활동과 연계시켜 대상을 확대하고 봉사 현장을 다양화하는데 적절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중등학교에서의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 등의 후속연구를 실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색인어
  • 봉사학습, 봉사활동, 초등 통합학급, 통합교육, 인성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