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의 통합형 운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 평가와 훈련 방안 연구
The evaluation and training for cognitively impaired driver's driving competence based on driving simulation integra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nd situation awarenes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3045179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3 년 (2013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재식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의 통합형 운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을 평가하고 훈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년도에서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운전과제의 핵심 인지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운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검증한 후,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최적의 운전 시나리오를 선별한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과제분석을 통한 주요 운전과제들을 추출하고(단계 1), 주요 운전과제 수행에 기초가 되는 주요 정보처리 요소 및 상황인식 요소를 확인하며(단계 2), 이러한 주요 정보처리 및 상황인식 요소가 충실히 반영된 운전과제들을 운전 시뮬레이션 형태의 시나리오로 구현한 후(단계 3), 다양한 운전과제 시나리오 중에서 인지능력이 저하된 운전자와 그렇지 않은 운전자들을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운전과제 시나리오들을 확인하여 선별한다(단계 4).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에서 확인된 운전과제 수행에서의 기초가 되는 정보처리 요소와 상황인식 요소들이 충실하게 반영된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인지저하 운전자들과 정상 운전자들에게 모두 적용함으로서 이들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3차년도에서는 인지저하 운전자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학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기대효과로는 기존 연구들이 정보처리 패러다임 혹은 상황인식의 개념을 적용하여 운전수행을 측정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적 관심은 많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독립적 관점에서 취급하여 운전행동을 설명하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운전수행 자체가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인지과정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보처리요소와 상황인식 요소, 나아가 최종적 산물인 운전수행 측정치를 통합적 관점에서 서로 비교하고 수렴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함으로써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운전수행 이해를 위한 새로운 접근 패러다임 정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단순한 연령증가에 의한 인지저하와 뇌손상 등을 포함하는 장애에 의한 인지저하가 같은 방식으로 운전역량에서의 저하를 가져오는지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 유형의 인지저하에 따른 운전역량에서의 차별적 속성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회적 기대효과로, 본 연구에서는 충실도 높은 운전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훈련 방안을 모색하며, 그 효과를 검증한다는 점에서 인지저하 운전자들이 운전환경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 장치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와 정상 운전자 집단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상대적 차이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저하 운전자들의 운전 가능 여부(예를 들어, 운전면허 재발급 등) 등을 포함한 좀 더 현실적인 의사결정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의 통합형 운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을 평가하고 훈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추진하고자 하는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을 통합적 관점에서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 그리고 기존 운전기능 검사도구들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운전과제의 핵심 인지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운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검증한 후,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최적의 운전 시나리오를 선별하고자 한다. 그 다음 운전과제 수행에서의 기초가 되는 정보처리 요소와 상황인식 요소들이 충실하게 반영된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인지저하 운전자들과 정상 운전자들에게 모두 적용함으로서 이들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 나아가 인지저하 운전자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 요소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에 대한 운전면허 정책이나 운전재활 훈련 등과 같은 실용적 가치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의 통합형 운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을 평가하고 훈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먼저 1차년도에서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운전과제의 핵심 인지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운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검증한 후,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최적의 운전 시나리오를 선별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에서 확인된 운전과제 수행에서의 기초가 되는 정보처리 요소와 상황인식 요소들이 충실하게 반영된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인지저하 운전자들과 정상 운전자들에게 모두 적용함으로서 이들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고령 및 인지저하 운전자를 위한 훈련프로그램 개발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specific characteristics of old/cognitively impaired drivers based on their information and situation awareness, and to design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methods. In the first year, we extracted most sensitive elements of old drivers' driving capability and limitations using Delphi method, questionnaires, and survey, and developed driving scenarios based on these data. In the second year, the driving scenarios were used to compared driving ability among young-, middle-, old-, and cognitively impaired-drivers. In the third and final year of the study, we trained old/cognitively impaired drivers, and found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basic information processing elements and driving simulation scenarios were effective to enhance their overall driving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on reducing road accidents caused by old/ cognitively impaired driv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의 통합형 운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을 평가하고 훈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먼저 1차년도에서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운전과제의 핵심 인지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운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검증한 후,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최적의 운전 시나리오를 선별하였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과제분석을 통한 주요 운전과제들을 추출하였고(단계 1), 주요 운전과제 수행에 기초가 되는 주요 정보처리 요소 및 상황인식 요소를 확인하였으며(단계 2), 이러한 주요 정보처리 및 상황인식 요소가 충실히 반영된 운전과제들을 운전 시뮬레이션 형태의 시나리오로 구현한 후(단계 3), 다양한 운전과제 시나리오 중에서 인지능력이 저하된 운전자와 그렇지 않은 운전자들을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운전과제 시나리오들을 확인하여 선별하였다(단계 4).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에서 확인된 운전과제 수행에서의 기초가 되는 정보처리 요소와 상황인식 요소들이 충실하게 반영된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인지저하 운전자들과 정상 운전자들에게 모두 적용함으로서 이들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고령 및 인지저하 운전자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 요소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에 대한 운전면허 정책이나 운전재활 훈련 등과 같은 실용적 가치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본 연구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의 통합형 운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을 평가하고 훈련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추진하고자 하는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처리와 상황인식을 통합적 관점에서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 그리고 기존 운전기능 검사도구들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운전과제의 핵심 인지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운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검증한 후,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민감하게 변별할 수 있는 최적의 운전 시나리오를 선별하고자 한다. 그 다음 운전과제 수행에서의 기초가 되는 정보처리 요소와 상황인식 요소들이 충실하게 반영된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인지저하 운전자들과 정상 운전자들에게 모두 적용함으로서 이들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 나아가 인지저하 운전자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검증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처리와 상황인식 요소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에 대한 운전면허 정책이나 운전재활 훈련 등과 같은 실용적 가치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2. 활용방안
    - 학문적 기여: 본 연구를 통해 단순한 연령증가에 의한 인지저하와 뇌손상 등을 포함하는 장애에 의한 인지저하가 같은 방식으로 운전역량에서의 저하를 가져오는지도 살펴보았다. 인지저하 운전자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접근들은 주로 고령운전자 혹은 뇌손상 경험이 있는 운전자들을 각각 독립적 집단으로 간주하고 이들이 보이는 운전 측정치에서의 저하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인지저하 운전자를 경도인지장애 운전자와 고령운전자를 모두 포함하는 범위로 확대하고, 이들이 인지과정(정보처리와 상황인식)과 운전수행 모두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동일한 실험장면을 통해 서로 비교하기 때문에 두 가지 유형의 인지저하에 따른 운전역량에서의 차별적 속성도 살펴볼 수 있었다.
    - 사회적 기여: 운전자의 인지역량 수준에 따른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많이 시도되었으나 인지저하와 운전역량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방법이나 연구결과의 현실적 적용은 비교적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들은 인지저하 운전자들이 운전역량에서 어떠한 형태의 저하를 보이는지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충실도 높은 운전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인지저하 운전자의 운전역량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인지과정과 운전수행 모두에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훈련 방안을 모색하며,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저하 운전자들이 운전환경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 장치를 마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저하 운전자와 정상 운전자 집단 사이의 운전역량에서의 상대적 차이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저하 운전자들의 운전 가능 여부(예를 들어, 운전면허 재발급 등) 등을 포함한 좀 더 현실적인 의사결정에 중요한 참고자료를 마련하였다.
    - 인력양성과 교육과의 연계활동: 인지저하에 따른 운전수행에서의 역량저하 문제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경제적으로도 중요한 문제이다. 인지저하와 이에 따른 운전역량에서의 손상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인지과정의 속성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연구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는 다수의 석박사과정생들이 비교적 장기간(3년) 참여할 예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이들이 연구기획, 연구방법 설계,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그리고 결과의 해석과 응용 등에 대해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이들이 교통안전 관련기관 등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과제 참여 학생들의 인지저하 운전자들에 대한 훈련 경험 즉, 훈련도구 선정, 훈련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훈련 결과의 평가 및 해석 등에서의 경험을 통해 재활병원이나 운전교습소 등과 같은 유관기관에 취업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다.
  • 색인어
  • 고령운전자, 인지장애 운전자, 운전자 정보처리, 운전자 상황인식,고령/인지장애 운전자 훈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