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통 수명주기 분석과 산업별․지역별 효율적 유통경로
The Distribution Life Cycle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by Industry and Reg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9080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서선애
연구수행기관 군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한국의 재래시장은 수천 년 간 가장 유용한 유통채널이었지만, 겨우 수십 년간의 환경변화와 제품변화로 인해 다른 유통채널에게 그 권한을 넘겨주었다. 이러한 유통채널의 수명주기는 앞으로 더 빨라질 수 있다. 즉, 기존의 가장 효율적인 유통채널이 환경변화로 인해 다른 유통채널로 전환되는 주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걸 의미한다.
    □ 마치 제품의 수명주기처럼 대체재가 등장하면 기존의 주목받던 제품이 시장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통에도 수명주기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여 지금까지 유통경로별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주기를 결정짓는 요인들을 찾고, 산업별 · 지역별 효율적 유통경로를 채택하는 것에 가장 큰 목적을 둔다.
    □ 유통경로는 그 동안 제조업이나 유통기업들의 시장경제에 맡겨져 있었으나, 그로 인한 국가 비용이 컸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최적의 유통경로 채택이 국가 유통정책의 가장 기본방향이라는 관점에서 효율적 유통경로를 제시하고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는 관점에서 시작한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가의 효율적 유통경로 정책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함께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유통수명주기 결정 영향 요인을 찾는다. 둘째 현재의 산업별 지역별 특성과 유통채널간의 적합성을 파악한다. 셋째 기존 유통경로의 현황과 비효율성을 파악하여 최적의 유통경로와의 접점을 찾고 기존 유통경로와의 경제적 효과차이를 보는데 있다. 넷째는 산업별․지역별로 최적의 유통경로 형태와 수를 제시하여 유통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국가 차원의 효율적 유통경로 정책을 마련하고, 국가유통정책을 개발 제시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 하겠다.
  • 기대효과
  • ▶ 본 연구는 국내 유통경로가 지역별로 산업별로 효율적인 형태와 수가 있다는 가정 하에 시작 한다. 따라서 무분별한 대기업위주의 유통경로 진출이나 불필요한 유통채널의 지속을 지양하고 이를 위한 최적의 수와 형태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산업별 효율적 유통경로 형태와 수를 결정짓는 소비자의 환경특성 요인들을 도출하여 유통경로 선택 시 주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표적시장 선정 시 확실한 기준으로 작용하여 최적의 유통경로를 선정하는데 주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이러한 결과는 가장 적합한 유통경로를 발굴해 냄은 물론 중간상의 수와 성격을 결정할 수 있으며, 관련 점포의 숫자와 분포 및 중간상의 특성을 결정지을 수 있는 주요 기준이 될 수 있다.
    ▶ 또한 이러한 요인과 지표를 바탕으로 주요 국가나 진출 국가에 적용함으로써 어떠한 유통형태가 적절한지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 소비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특성에 따른 유통경로의 선택에 대한 연구는 먼저 소비자에게 적합한 유통경로가 선택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 연구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또한 소비자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유통경로를 제시하여 해당지역과 산업에 적합한 유통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지역별 · 산업별 환경적 특성의 차이와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진입 기업의 유통경로에 대한 지표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적 분석을 통한 최적의 유통경로 선정은 지역과 산업에 따른 유통경로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이러한 유연성은 기업의 진입장벽과 퇴출장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 본 연구는 산업별 · 지역별 유통경로의 수와 형태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특성과 유통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가별로 시장별로 최적의 유통경로는 있다. 다만 최적의 유통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제조업체나 유통업체의 입장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밖 에 없다. 이는 최적의 유통경로는 국가마다 시장마다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며, 제품요인, 주거형태요인, 거리요인, 이동수단의 요인, 소득수준 요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등 다수의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 대항력과 파워 있는 신 유통채널 도입으로 인해 최적 유통채널은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행태 또한 변화하여 이들이 원하는 서비스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는 최적 유통채널과 소비자에 대한 주기적 연구를 요하고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산업별로 지역별로 제품의 수명주기에 따른 최적의 유통채널을 제시할 수 있으며, 특성에 맞는 유통경로와 배치 수를 설정하여 최적의 유통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가 차별성을 갖는 것은 그 동안의 유통관련 연구들이 유통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었던바, 유통채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제품의 수명주기와의 연관성에 대해 포커스를 맞춘 것에 있다. 제품 수명주기와 유통채널간의 연관성의 정도에 따라 효율적 유통채널 선택에 있어 소비자의 내·외적 환경요인과 인지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제품 수명주기의 영향을 더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통채널 채택에 결정 관점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의 재래시장은 수천 년 간 가장 유용한 유통경로였지만, 겨우 수십 년간의 환경변화와 제품변화로 인해 다른 유통경로에게 그 권한을 넘겨주었다. 이러한 유통경로의 수명주기는 앞으로 더 빨라질 수 있다. 즉, 기존의 가장 효율적인 유통경로가 환경변화로 인해 다른 유통경로로 전환되는 주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걸 의미한다.
    마치 제품수명주기처럼 대체재가 등장하면 기존의 주목받던 제품이 시장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과 같다. 대항력과 파워 있는 신 유통경로 도입으로 인해 효율적 유통경로와 소비자의 행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는 유통경로와 소비자에 대한 주기적 연구를 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본적 특성과 인지특성을 파악하고, 이의 특성과 유통경로 선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으로 연령, 성별, 직업, 소득수준과 유통경로선택과의 관계정도, 특히 유통경로 선택 시 주요한 요인인 1회 구매량, 유통경로 이용 지속성 그리고 상품 선택 시 특정 유통 경로를 선호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통경로 선택 시 소비자들이 중요시 생각하는 지원·유지·신뢰성, 공간적 편의성, 가격, 구색 및 다양성, 서비스, 제품 지각 등과 유통경로간의 관계를 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유통경로 정책을 제시하였다.
  • 영문
  • Although the Korean conventional market has been the most useful distribution channel for thousands of years, due to only decades of environmental and product changes, its authority had to be taken over to other distribution channel. The life cycle of this distribution channel could be shortened more in the future. That is, the cycle that the most efficient existing distribution channel is converted to other distribution channel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could be shortened even faster.
    It is similar to the phenomenon, like the product life cycle, that substitutes make existing goods disappear from the market. Due to introduction of new distribution channel having opposing power, efficient distribution channel and consumers’ behavior are constantly changing. This constant change requires periodical studies on distribution channel and consum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s’ characteristic on specific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by grasping consumers’ basic nature and cognition characteristic, and their relationship with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gender, job, and income level, with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and especially the main factors of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that is, an amount of one purchase, distribution channel use persistence, and whether they prefer a specific distribution channel when they choose products. It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that consumers’ consider important when they select distribution channel, that is, support/maintenance/reliability, spatial convenience, price, diversity, service, and product perception, and distribution channel, an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 distribution channel policies for compan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의 재래시장은 수천 년 간 가장 유용한 유통경로였지만, 겨우 수십 년간의 환경변화와 제품변화로 인해 다른 유통경로에게 그 권한을 넘겨주었다. 이러한 유통경로의 수명주기는 앞으로 더 빨라질 수 있다. 즉, 기존의 가장 효율적인 유통경로가 환경변화로 인해 다른 유통경로로 전환되는 주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걸 의미한다.
    마치 제품수명주기처럼 대체재가 등장하면 기존의 주목받던 제품이 시장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과 같다. 대항력과 파워 있는 신 유통경로 도입으로 인해 효율적 유통경로와 소비자의 행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는 유통경로와 소비자에 대한 주기적 연구를 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본적 특성과 인지특성을 파악하고, 이의 특성과 유통경로 선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으로 연령, 성별, 직업, 소득수준과 유통경로선택과의 관계정도, 특히 유통경로 선택 시 주요한 요인인 1회 구매량, 유통경로 이용 지속성 그리고 상품 선택 시 특정 유통 경로를 선호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통경로 선택 시 소비자들이 중요시 생각하는 지원·유지·신뢰성, 공간적 편의성, 가격, 구색 및 다양성, 서비스, 제품 지각 등과 유통경로간의 관계를 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유통경로 정책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의 할인점, 대형마트와 같은 유통경로의 강세는 주요 판매 제품들이 제품수명주기의 성숙단계에 와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유통경로전략은 제품수명주기에 맞는 제품들의 속성과 이러한 단계에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적용해야한다. 편의점의 증가 또한 대형할인점에 대한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희석되면서, 즉 대형할인마트의 제품에 대한 충성도와 일회구매량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 저하가 편의점에 대한 욕구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수퍼마켓의 쇠퇴 또한 제품 도입기와 성장기에 적합한 제품일지 모르나 제품과 쾌적한 쇼핑공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높아지는데서 찾을 수 있다.
    소비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특성이 변화하면서 유통경로의 선택에 대한 연구는 먼저 소비자에게 적합한 유통경로가 선택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유통관련 특성, 그리고 유통경로 인지특성을 파악하고 이의 특성들과 유통경로 선택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특정 유통경로 선택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먼저 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직업, 소득수준으로 구분하여 유통경로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직업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온라인 경로를 동시에 이용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형마트나 전통시장과 같은 기존의 유통경로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유통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연령은 유통경로를 선택하는 주요 기준이 되어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연령대에 적절한 유통경로 전략이 요구되며 다른 연령대를 흡수하기 위한 타겟 전략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소비자의 유통관련 특성에 따른 주 이용 유통경로 차이는 1회 구매량, 유통경로 이용기간, 주 구매제품으로 나누어 살펴본바, 유통경로 이용기간과 주 구매제품과 유통경로간의 유의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유통경로 이용기간이 길수록 인터넷 쇼핑몰과 대형마트를 활용하는 빈도가 높아 소비자의 멀티채널 환경하의 다양한 유통경로 이용성향을 알 수 있었다. 주 구매제품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선호 유통경로가 있음을 추측 할 수 있는데, 주목할 만 한 것은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구매할 때 전문점 보다는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비중이 높고, 의류 및 패션관련 상품은 인터넷 쇼핑몰 비중이 높았다. 더불어 농·수·축산물은 전통시장 비중이 높아 여전히 그 분야의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유통경로 인지특성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유통경로 인지특성으로는 지원·유지·신뢰성, 공간적 편의성, 가격, 구색 및 다양성, 서비스, 제품 지각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에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유통경로 인지특성 간에는 남성보다 여성이 지원·유지·신뢰성 속성을 더 중요시 하였으며, 가격속성 또한 여성이 더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소득수준에 따른 소비자 유통경로 인지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가격 인지특성이 높게 나타나 기존의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주 이용 유통경로에 따른 소비자 유통경로 인지특성 차이는 어느 부분의 유통경로 인지특성이 높을수록 어떠한 유통경로를 선택하는가에 대한 주제로 가격속성을 높게 인지하는 소비자들이 대형마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구색 및 다양성 속성을 중요시 하는 소비자들 역시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업들은 본 연구에서 진행된 소비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 유통관련 특성, 유통경로 인지특성과 관련된 환경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이에 맞는 효율적 유통경로를 제시하고 적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품수명주기별 소비자의 추구 서비스 분석하여 제품수명주기에 맞는 유통경로를 제시하고, 수명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마케팅 적용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해 확실한 표적 시장을 찾고, 이에 맞는 포지셔닝을 통해 가장 적합한 유통경로와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멀티채널 환경 하에서는 한 가지 유통경로만을 이용해서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도출할 수 없기 때문에 멀티채널을 확보 할 수 있는 노력과 더불어 채널 간 콜레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유통전략 개발이 요구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유통전략에서 요구되는 서비스에 대해 집중해왔던 것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유통경로 채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 의미를 도출 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고 하겠다.
  • 색인어
  • 유통수명주기, 유통경로, 소비자 인지특성, 멀티채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