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교육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학교교육이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육의 전부가 아님을 인식하면서도 학교가 올바르게 가르친다면 사회의 많은 해악들을 해소할 것이라 믿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덕적 문제가 발생하고 사회적 위기가 올 때마다 많은 사 ...
일반적으로 교육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학교교육이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육의 전부가 아님을 인식하면서도 학교가 올바르게 가르친다면 사회의 많은 해악들을 해소할 것이라 믿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덕적 문제가 발생하고 사회적 위기가 올 때마다 많은 사람들은 그러한 사회적 현상을 학교와 교사의 탓으로 돌린다(Dewey, 1975: 3). 이러한 면에 있어서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최근 한국교총(2011)이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학교 교육에 너무 많은 책임을 떠맡김으로 인하여 교사에 대한 늘어나는 사회의 요구와 함께 교사에 대한 사회의 비판적 인식이 교사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학교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이 질문과 관련하여 19세기 미국의 교육 개혁가였던 호러스 먼(Horace Mann, 1796-1859)의 교육사상은 주목할 만하다. 현대의 공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철학자 존 듀이는 메사추세츠주의 초대교육감이었던 호러스 먼을 미국 공교육 제도의 기틀을 마련한 선구자라고 평가하였다(Dewey, 1903). 구체적으로 오늘날 공교육 제도의 주요 원리인 무상교육, 전문적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사범학교(normal school), 중앙 통제적인 교육운영 등은 호러스 먼이 1837년부터 약 12년 동안 교육감으로 있는 동안 추진한 ‘보통학교운동(common school movement)’에서 가장 핵심적인 아이디어들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교육사학자들은 호러스 먼을 ‘미국 공교육의 아버지’라고 호칭하는데 이견이 없다. 한편,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운동의 주요동기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 즉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파급되는 사회혼란, 문화적으로 다양한 이주민들을 미국인의 삶으로 동화시켜야 하는 필요성이었다(Urban and Wagoner, 2000: 99). 즉 그의 신념은 학교가 국가의 다른 어느 기관보다도 사회가 직면하는 중요한 문제를 가장 잘 대처하며 바로 잡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호러스 먼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미국 학계에서는 최근까지도 그의 삶과 교육사상 뿐만 아니라 저명한 교육개혁가인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1826),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 등과 함께 비교하여 연구되어지고 있다. 예컨대, 최근 발표된 연구들로 Paul Peterson(2010), Saving Schools: From Horace Mann to Virtual Learning, Cambridge, MA,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William Hayes(2006), Horace Mann’s Vision of the Public Schools: Is It Still Relevant?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Education; Lawrence Baines(2006), Does Horace Mann Still Matter? Educational Horizons 84(4), 268-273; Blanche Brick(2005), Changing Concepts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 Comparison of the Views of Thomas Jeffson, Horace Mann and John Dewey, American Educational History Journal 32(2), 166-174 등이 있다.
이처럼 호러스 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그의 교육사상이 여전히 오늘날의 미국 공교육에 유익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보여준다(Hayes, 2006; Baines, 2006). ‘모든 아동’을 위한 보편적 무상 공교육을 처음 실시하였고 공교육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논쟁 역시 우리보다 훨씬 더 오래전부터 있어왔던 미국에서처럼(Postman, 1995: 138), 교육이 가난, 범죄, 무지, 게으름, 탐욕 등과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은 호러스 먼의 사상은 과거에 비해 점점 더 다양하고 심각한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의 상황에서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호러스 먼이 보통학교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의 반대에 부딪히면서도 학교교육을 통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 그리고 당시의 여러 계층의 사람들에게 공교육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설득하기 위한 그의 논증과 접근방법들은 우리의 교육자, 행정가, 정책결정자들에게도 가치 있는 참고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호러스 먼의 보통학교운동을 중심으로 그의 교육적 비젼과 함께 그가 학교교육을 통해 어떻게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하였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오늘날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