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교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운동을 중심으로-
Can Schools Solve Societal Problems? -A Focus on Horace Mann’s Common School Move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8012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상현
연구수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일반적으로 교육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학교교육이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육의 전부가 아님을 인식하면서도 학교가 올바르게 가르친다면 사회의 많은 해악들을 해소할 것이라 믿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덕적 문제가 발생하고 사회적 위기가 올 때마다 많은 사람들은 그러한 사회적 현상을 학교와 교사의 탓으로 돌린다(Dewey, 1975: 3). 이러한 면에 있어서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최근 한국교총(2011)이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학교 교육에 너무 많은 책임을 떠맡김으로 인하여 교사에 대한 늘어나는 사회의 요구와 함께 교사에 대한 사회의 비판적 인식이 교사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학교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이 질문과 관련하여 19세기 미국의 교육 개혁가였던 호러스 먼(Horace Mann, 1796-1859)의 교육사상은 주목할 만하다. 현대의 공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철학자 존 듀이는 메사추세츠주의 초대교육감이었던 호러스 먼을 미국 공교육 제도의 기틀을 마련한 선구자라고 평가하였다(Dewey, 1903). 구체적으로 오늘날 공교육 제도의 주요 원리인 무상교육, 전문적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사범학교(normal school), 중앙 통제적인 교육운영 등은 호러스 먼이 1837년부터 약 12년 동안 교육감으로 있는 동안 추진한 ‘보통학교운동(common school movement)’에서 가장 핵심적인 아이디어들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교육사학자들은 호러스 먼을 ‘미국 공교육의 아버지’라고 호칭하는데 이견이 없다. 한편,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운동의 주요동기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 즉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파급되는 사회혼란, 문화적으로 다양한 이주민들을 미국인의 삶으로 동화시켜야 하는 필요성이었다(Urban and Wagoner, 2000: 99). 즉 그의 신념은 학교가 국가의 다른 어느 기관보다도 사회가 직면하는 중요한 문제를 가장 잘 대처하며 바로 잡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호러스 먼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미국 학계에서는 최근까지도 그의 삶과 교육사상 뿐만 아니라 저명한 교육개혁가인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1826),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 등과 함께 비교하여 연구되어지고 있다. 예컨대, 최근 발표된 연구들로 Paul Peterson(2010), Saving Schools: From Horace Mann to Virtual Learning, Cambridge, MA,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William Hayes(2006), Horace Mann’s Vision of the Public Schools: Is It Still Relevant?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Education; Lawrence Baines(2006), Does Horace Mann Still Matter? Educational Horizons 84(4), 268-273; Blanche Brick(2005), Changing Concepts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 Comparison of the Views of Thomas Jeffson, Horace Mann and John Dewey, American Educational History Journal 32(2), 166-174 등이 있다.
    이처럼 호러스 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그의 교육사상이 여전히 오늘날의 미국 공교육에 유익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보여준다(Hayes, 2006; Baines, 2006). ‘모든 아동’을 위한 보편적 무상 공교육을 처음 실시하였고 공교육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논쟁 역시 우리보다 훨씬 더 오래전부터 있어왔던 미국에서처럼(Postman, 1995: 138), 교육이 가난, 범죄, 무지, 게으름, 탐욕 등과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은 호러스 먼의 사상은 과거에 비해 점점 더 다양하고 심각한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의 상황에서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호러스 먼이 보통학교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의 반대에 부딪히면서도 학교교육을 통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 그리고 당시의 여러 계층의 사람들에게 공교육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설득하기 위한 그의 논증과 접근방법들은 우리의 교육자, 행정가, 정책결정자들에게도 가치 있는 참고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호러스 먼의 보통학교운동을 중심으로 그의 교육적 비젼과 함께 그가 학교교육을 통해 어떻게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하였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오늘날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에 있다.
  • 기대효과
  • 보통학교운동을 중심으로 호러스 먼의 교육적 생각들을 살펴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첫째, 한국에서 지금까지 전혀 연구되지 않은 교육개혁가 호러스 먼을 학계에 알리는 것은 그 자체로도 학문적 의의가 크다고 여겨진다. 연구의 목적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교육의 역사에 있어 우리보다 한 세기나 앞서 있는 미국교육의 아버지로 불리며, 토마스 제퍼슨, 존 듀이와 함께 최근까지도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저명한 교육자 호러스 먼과 그의 교육사상을 소개하고 한국적 상황에서 의미와 시사점을 찾는 작업은 교육학 분야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사회적 기여와 관련하여 보면, 우선 메사추세츠주의 교육감으로서 호러스 먼이 추진한 보통교육 및 사범학교의 핵심적 아이디어들(예컨대, 모든 아동을 교육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각 개인이 그 자신과 가족의 복지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사회와 국가의 복지까지,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자신의 자녀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자녀의 교육까지 염려해야 한다)은 지금 현재 민주주의의 발전을 지향하는 우리시대의 교육자, 행정가, 정책 결정자에게도 여전히 유익한 가치로서 의미 있는 토론과 논쟁을 이끌어 낼 것이다. 또한, 교육감으로서 보통학교운동, 사범학교의 설립, 그리고 이후 그의 생애 마지막까지 안티옥 대학 총장으로서 교육개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호러스 먼은 많은 반대에 부딪히면서도 그의 교육적 신념을 잃지 않으며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을 대화와 설득을 통해 교육개혁의 참여자가 되게 하는 그의 노력은 민주주의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또는 더 나은 교육을 실천하고자하는 교육자와 교육정책결정자로서 유사한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와 관련해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셋째, 호러스 먼의 교육사상은 연구의 목적에서 제시한 ‘학교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관련하여 과거에 비해 점점 더 심각한 사회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 한국사회에 학교의 본질적 기능과 역할을 찾기 위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할 것이다. 호러스 먼의 교육사상에서 흐르는 주된 요지는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도덕성을 향상시켜 사회를 개선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은 물질적으로 상당히 풍요로워졌지만, 다양하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학교마저 학교폭력, 자살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김운종, 2012). 게다가 대학 입시로 인해 도덕, 인성 교육이 뒷전으로 밀려난 채 학교에서는 지식전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러스 먼의 교육사상은 교육의 목적과 학교의 존재이유에 대해 진지한 고찰을 하게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제 I장 서론에서는 ‘학교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면서, 사회개선을 공교육 제도의 주요한 목적으로 한 호러스 먼의 교육사상이 최근까지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될 만큼 오늘날의 교육에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보일 것이다. 제 II장에서는 메사추세츠주의 초대교육감으로써 호러스 먼이 12년 동안 추진한 ‘보통학교운동’에 대해 그의 강연 및 연차보고서와 호러스 먼을 연구한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호러스 먼은 교육감이 되기 전에 법조계에 종사하였고, 이후 메사추세츠주 상원의원직을 지내면서 다양한 사회 개혁을 입안하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육감이 되었을 때 그는 이미 사회가 당면한 현실적 문제들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또한 저명한 정치인으로서 그가 가졌던 풍부한 경험과 넓은 인맥은 ‘보통교육운동’이라는 이름으로 전개된 교육개혁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진하게 하였다. 제 III장에서는 호러스 먼이 교원양성을 위해 설립한 대학인 공립 사범학교와 교사교육에 관련된 그의 교육적 생각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학교교육을 통해 모든 시민을 교육하는 것이 더 나은 미국의 미래를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을 가졌던 호러스 먼은 교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보통학교의 성공은 교사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훈련하며 대우하는 가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문적 교사교육을 위해 주에서 운영, 관리하는 사범학교의 설립은 사실 보통교육운동의 독특하며 주요한 특징이다. 교육과 관련한 이러한 주의 관여는 당시 메사추세주의 가장 큰 도시인 보스톤에 있는 초등학교와 그래머스쿨(Grammar School)을 감독하는 권위 있고 영향력 있는 교장들과 교사교육을 포함한 교육철학에 있어서 갈등을 빚게 된다. 호러스 먼과 보스톤 지역의 교장들 사이의 논쟁은 교육의 목적과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를 의미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호러스 먼은 교육을 통한 도덕성 향상이 당시 미국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의해 야기된 문제들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보았으나, 보스톤의 교장들은 당시의 사회적 상황이 위기라는 호러스 먼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약 그러한 사회적 위기가 존재한다 할지라도 그들은 학교의 개혁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Urban and Wagoner, 2000).
    제 IV장에서는 메사추세츠주를 떠나 오하이오주 안티옥 대학(Antioch College) 총장이 된 호러스 먼이 보통교육운동의 주요원리인 도덕적 훈련과 교육을 통해 더 향상된 개인과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그의 신념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적용하였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1853년 9월에 문을 연 안티옥 대학의 초대 총장으로서 호러스 먼은 그의 취임연설에서 신에 대한 경외심과 인간에 대한 봉사가 학교존재의 목적이라고 하였다. 말할 것도 없이 호러스 먼이 밝힌 이 두 가지 목적은 그가 교육감으로서 추진했던 보통학교운동과 깊은 관련이 있다. 즉 지식뿐만 아니라 도덕적 성품의 형성이 교육의 주된 이유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총장 호러스 먼은 학문적으로 우수하다 할지라도 품행이 단정하지 못하고 부도덕한 학생들의 졸업을 허용하지 않았다(Hinsdale, 1898). 또한 호러스 먼의 교육사상은 안티옥 대학의 특징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그 예로, 호러스 먼이 안티옥 대학의 “위대한 실험”(Hinsdale, 1898: 253)이라고 한 남녀공학(coeducation)을 들 수 있다.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성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으며, 또 그것을 획득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믿었는데, 이들과 다르게 호러스먼은 여성도 여성으로서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여성이 남성과 반드시 동일(identical)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믿지는 않았지만, 남성과 동등(equal)하게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즉 이것은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아야 하며 그러한 교육을 통해 모든 개인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그의 철학을 전제로 하고 있다. 호러스 먼의 이러한 교육철학은 1859년 안티옥 대학의 졸업식에서 학생들에게 한 그의 마지막 연설이었으며 지금까지도 반복해서 인용되고 있는 “인류를 위해 선한 성취를 이룩하기 전에 죽는 것을 부끄러워하라”(Mann, 1865: 575)에 잘 나타나 있다.
    마지막으로 제V장에서는 서론에서 제기하였던 ‘학교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와 관련하여 호러스 먼의 교육적 생각이 한국 교육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 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미국 교육의 역사 중 ‘민주적 시민의 양성’이라는 구체적인 슬로건을 내세웠던 보통학교운동(1830-1860)과 진보적 교육운동(1900-1940)을 대표하는 호러스 먼과 존 듀이의 교육은 학교라는 공교육을 통해 책임 있고 도덕성 있는 민주적 시민을 창조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듀이의 교육이 호러스 먼의 교육으로 회귀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존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으로 회귀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호러스 먼의 메사추세츠주 보통학교와 존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제시한 각각의 교육적 비전과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호러스 먼과 듀이의 교육은 민주적 시민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목적은 같지만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그들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으로 회귀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오히려 듀이의 진보적 교육은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육방법’에 있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학생들의 배움과 참여가 가장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융통성 있게 변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보다 향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focuses on two prominent figures in the history of democratic education in America, Horace Mann and John Dewey, who represent respectively the Common School Movement(1830-1860) and the Progressive Education Movement(1900-1940). They both believed that schools should prepare students for responsible citizenship that would lead to establishing a democratic society. This brings us to the following question: “Has John Dewey’s progressive education led us back to Horace Mann’s common school?” This study examines how Horace Mann and John Dewey wanted to create democratic citizens by looking at - and comparing - both their educational vision and curriculum. The study shows that although Horace Mann and John Dewey’s goal of democratic pedagogy is the same,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ir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with respect to achieving that goal. More precisely, while Horace Mann’s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are fixed, those proposed by John Dewey can change in a flexible way that works best at engaging students in what they are learning. Therefore, John Dewey’s progressive education is an improvement on both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nd the philosophy of instructional metho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미국 교육의 역사 중 ‘민주적 시민의 양성’이라는 구체적인 슬로건을 내세웠던 보통학교운동(1830-1860)과 진보적 교육운동(1900-1940)을 대표하는 호러스 먼과 존 듀이의 교육은 학교라는 공교육을 통해 책임 있고 도덕성 있는 민주적 시민을 창조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듀이의 교육이 호러스 먼의 교육으로 회귀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존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으로 회귀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호러스 먼의 메사추세츠주 보통학교와 존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제시한 각각의 교육적 비전과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호러스 먼과 듀이의 교육은 민주적 시민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목적은 같지만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그들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으로 회귀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오히려 듀이의 진보적 교육은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육방법’에 있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학생들의 배움과 참여가 가장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융통성 있게 변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보다 향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으로 회귀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19세기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과 20세기 존 듀이의 진보적 교육의 비전을 살펴보고 이 두 교육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호러스 먼과 듀이의 교육은 모든 아동의 성품과 능력을 개발하여 민주적 시민으로 양성하고자 한 교육의 목적은 같지만 연구내용에서 살펴본 것처럼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그들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듀이의 진보적 교육이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으로 회귀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오히려 듀이의 진보적 교육은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육방법’에 있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학생들의 배움과 참여가 가장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융통성 있게 변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호러스 먼의 보통교육보다 향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연구자가 보기에는 교육방법에 있어서 자유로이 의견을 나누고 토론과 논쟁을 격려하는 듀이의 교육철학이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시민을 양성함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것은 건강한 민주주의의 모습이지만, 다른 의견에 대해 참지 못하고 견딜 수 없어 하는 편협함은 민주주의와 공존할 수 없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그 사회의 문제와 이슈에 대하여 개인이 자유로이 말하도록 허용된다는 측면에서 의견의 충돌과 대립은 피할 수 없다고 하겠다. 즉 민주주의는 의사결정에 있어 각각의 개인을 존중하며 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지향하지만, 이것이 개인 간의 그리고 그룹간의 갈등이나 대립을 면제해 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유로이 의견을 나누고 토론과 논쟁을 격려하는 듀이의 진보적 교육은 민주주의 사회에 크게 부합하는 교육이라 하겠다. 학교라는 작은 사회에서 자신에게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인식하면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듣고 또한 자신의 의견을 나누는 등의 민주적 토론과 논쟁을 경험한 학생들이 실제 사회에 나왔을 때 갈등과 대립의 상황에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것이다. 이처럼 듀이의 교육은 대립이 있을 때가 곧 대화가 필요한 상황이며 민주적 시민 의식을 나타내고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임을 가르친다.
  • 색인어
  • 민주적 시민, 호러스 먼, 존 듀이, 보통학교, 진보적 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