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베트남 교민의 공간사용 및 주생활특성을 통한 주거문화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Housing Cultures of Korean-Immigrants in Vietn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8438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도연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보편적으로 이민가족은 이민이라는 새로운 인위적 수단에 의해 새로운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할 뿐 아니라 둘이상의 독자적인 문화체계의 결합에서 비롯된 문화접변의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잠자기, 요리하기, 식사하기, 접대하기, 세탁하기 등과 같은 주행위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변용하여 주거공간에 적응하여 살거나 또는 주행위를 유지하기 위해 주거공간을 변용하여 생활한다. 이처럼 이민가구가 보여주는 문화적응의 경험적 정보와 주생활 행위는 우리의 주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 특히 베트남 경제 수도라고 불리는 호치민 시에 거주하는 교민들의 주거공간과 주생활양식을 조사하여 한국의 주거문화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90년대 이후 새로운 투자처인 동남아시아 중 한인의 이주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중 하나인 베트남 한인사회를 대상으로 주거적응의 과정과 한국의 주거문화 정체성을 다루려 한다. 이러한 연구는 우선 베트남의 주거제도 속에서 주거구입의 과정을 다룬다는 점에서 이민정착에 의미 있는 지식체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 연구는 우선 베트남이라는 지역적 특수성과 주거문화의 해석이라는 주제의 희소성으로 학문적 기대효과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주생활의 적응과정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 주거문화의 전통과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
  • 연구요약
  • 과거 1970~80년대에 생활고 해결을 위해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이른바 선진국 이민이 대세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영미권에서 중국을 비롯한 동남 아시아권으로 그 대상국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1986년 개방정책이후 한국인의 이민이 꾸준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이민자는 약 1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약 9만 여명의 한인 이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호치민시 한인거주지 떤빈군 팜반하이 지역과 슈퍼볼 인근 탄롱지역 푸미흥 신도시지역으로 한정하여 한인 주거공간 및 주생활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인주거문화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름과 같다.

    1) 베트남 이주사와 베트남 주거의 건축적 특성 파악
    베트남의 한인 이주의 역사와 정착배경을 파악하고, 이주자들이 경험할 베트남의 주거환경에 대해서 검토한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속에서 나타나는 베트남의 주거환경과 공간특성을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베트남의 주거와 한국 주거의 공간구성 및 사용방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다.

    2) 한인이주자들이 겪은 정착단계별 주요구 조사
    한인이주자들이 이주초기 주거선택과 구입과정을 분석하고 어떤 단계를 거처 주거를 옮기게 되는 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각 단계별로 어떤 주거유형을 선택하게 되었으며, 우선시 하는 주거가치와 주요구를 조사 분석한다.

    3) 베트남 한인 주거의 공간구조와 생활행위 분석
    베트남 한인주거의 생활행위를 분석한다. 이미 부여된 주거공간에서 문화에 따라 공간의 의미와 기능을 파악하고 주행위를 분석한다. 또한 기거양식에 따른 재료 및 가구의 사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물리적 측면에서 주공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보편적으로 이민가족은 이민이라는 새로운 인위적 수단에 의해 새로운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할 뿐 아니라 둘이상의 독자적인 문화체계의 결합에서 비롯된 문화접변의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잠자기, 요리하기, 식사하기, 접대하기, 세탁하기 등과 같은 주행위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변용하여 주거공간에 적응하여 살거나 또는 주행위를 유지하기 위해 주거공간을 변용하여 생활한다. 이처럼 이민가구가 보여주는 문화적응의 경험적 정보와 주생활 행위는 우리의 주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 특히 베트남 경제 수도라고 불리는 호치민 시에 거주하는 교민들의 주거문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주거공간과 주생활양식을 조사하여 한국의 주거문화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 범위는 최근 한국인 밀집거주지역으로 각광받고 있는 푸미흥 신도시지역으로 한정하여 조사하였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이며, 한인교회 및 학교 등이 있어 자료 수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푸미흥 신도시에 세워진 아파트는 주상복합아파트들이다. 주상복합아파트는 대부분 단동의 건축물로 존재하지 않고 2동 이상의 동으로 계획되는데, 이 경우 대지의 일부를 외부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1-2층은 상업공간으로 사용하고 지하층은 주차장으로 사용한다. 국내의 아파트보다 녹지공간이 풍부하며, 주상복합아파트의 특성상 주동의 배치와 함께 커뮤니티를 유발하는 사이공간을 계획하고 있다. 입주민 이외의 출입이 철저히 차단되어 안전하며, 한국교민들도 이러한 안전성과 편리함 때문에 푸미흥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Most immigrant families have to go through adapting into a new politics, economy and social surroundings as they are exposed to a new country and its culture. Hence, immigrant families face the assimilation of a cul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own. In order to adapt into a new surrounding, a change is necessary with families' everyday activities such as sleeping, cooking, eating, hosting guests and doing laundry, or the residential area is transformed to maintain their old ways. The information that we can attain from the experience of the immigrant families trying to adapt into a new culture, and their new way of living will be an empirical data for us to understand our own living cultu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residential area and its main living ways of the Korean immigrant families living in the capital of business, Ho Chi Minh, in Vietnam, the new popular investment spot, to analyse the characters for the residential culture of Korea.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mainly in Phu Mi Hung for having the most number of Korean immigrant families. Also, data collection is easier in Phu Mi Hung since there are Korean churches and Korean schools.

    The apartments in Phu Mi Hung are built above stores. Most of the buildings are blocks of more than one building, and a part of the land is used as an outside area. The first two floors are used as a commercial area, and the basement as a parking lot. There are more greens than apartments in Korea, and as a characteristic of an apartment above stores, the greens help with the locations of the buildings and the community. No one other than the resident can enter the premisses and therefore it is safe and convenient for Korean immigrant families to live in and also it is the reason why Phu Mi Hung is favor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중 베트남 교민을 대상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주거공간을 변용하여 생활하는지 아니면 주거공간에 적응하여 살고있는지, 이민가구가 보여주는 문화적응의 경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규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는 베트남, 특히 베트남 경제 수도라고 불리는 호치민 시에 거주하는 교민들의 주거문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주거공간과 주생활양식을 조사하여 한국의 주거문화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베트남 공동주택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한인교포의 주생활특성을 파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동남아시아 주거연구 및 베트남 주거연구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베트남으로 진출하고 있는 많은 건설회사에 베트남 주거 및 한인주거를 비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국내 및 해외에 진출하는 아파트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외국인들에게 한국주거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색인어
  • 베트남 공동주택, 푸미흥, 호치민, 한국교민, 주생활양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