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대상 작품인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을 포함한 아서왕 문학은 중세의 영국 혹은 프랑스 작품들로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장소, 계층, 그리고 장르를 막론하고 많은 사랑을 받아오고 있으며, 본 연구의 주요 인물인 모르건 르 페이 ...
본 연구의 대상 작품인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을 포함한 아서왕 문학은 중세의 영국 혹은 프랑스 작품들로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장소, 계층, 그리고 장르를 막론하고 많은 사랑을 받아오고 있으며, 본 연구의 주요 인물인 모르건 르 페이는 대부분의 아서왕 문학 작품들과 TV시리즈와 영화 등의 영상 매체들, 심지어 한국에서 번안, 혹은 번역을 통해 수용된 출판물들에도 자주 등장하는 여성 인물이다. 참고로, 한국에서 수용된 아서왕 문학작품들에 등장한 모르건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권설녀의 「한국에서의 아서왕 문학: 번역과 번안을 중심으로」논문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맬러리의 모르건이 지닌 힘과 남성 연대 간의 역학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중세 영문학 과목들에 한정되지 않고, 대부분의 대학들에 개설되어 있는 인문학 혹은 여성학과 관련된 교양과목들, 영문학 및 연극영화과의 관련 전공과목들, 그리고 대학원에 개설된 중세문학 혹은 페미니즘 이론들을 배우는 수업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목들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구자가 소속된 호서대학교의 경우에는 “문학과 여성”이라는 교양과목이 있다. 본 연구자가 실제로 강의를 했었던 이 수업은 시대별, 장르별로 여성의 역할과 여성성을 다룬 다양한 작품들을 접하고 논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수업에서 맬러리의 작품에서 그려진 모르건을 포함하는 여성들의 마법 능력과 힘에 관한 부분은 작품의 원문과 영화 혹은 TV시리즈를 수업자료로 활용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학생들 상호 간의 토론을 통해 가부장제 하에서 억압과 통제의 대상으로 규정된 여성과 여성성 및 여성의 성역할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참고로,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은 총 800페이지가 넘는 대작이므로 학부 수업에서는 원문에서 주제와 관련된 부분들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더불어, 수업자료로 추천할 만한 TV시리즈로는 본 연구의 결과물에 포함된, 2001년에 미국의 터너 네트워크 방송(Turner Network Television) 채널에서 방영된 <아발론의 여인들>(The Mists of Avalon)과, 2004년에 영국의 BBC가 제작한 13부작 <멀린>(Merlin) 등이 있다. 이러한 TV시리즈나 영화 등, 다양한 영상매체에 등장하는 모르건의 모습들을 비교하고 이를 또 작품과도 비교하는 수업들도 추천하고 싶은 바이다.
맬러리의 작품에서 그려진 다양한 여성들의 모습을 비교해보고, 모르건 르 페이를 통해 드러나는 중세를 넘어선 여성의 힘과 새로운 젠더 개념에 대한 논의는 학생들에게 단순한 학문적 관심과 흥미뿐 아니라, 합법적 동성애 결혼과 유명 인사들의 커밍아웃 등 세계의 다양한 인종과 계층에 의해 이슈화되고 있는 젠더문제에 관한 사회적, 시대적 통찰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