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전통적인 학습이론들에 대한 한 가지 대안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1. 뇌에 관한 전문적인 논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어떻게 기독 ...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이론들에 대한 한 가지 대안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1. 뇌에 관한 전문적인 논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어떻게 기독교교육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까? 이것을 위해서 뇌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자연과학(신경과학)과 기독교교육학(신학) 간의 상호 신중한 학문적 대화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에 관한 방법론적 논의가 일차적으로 요청된다. 2. 기존의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이 비판적으로 취급해온 인간의 뇌와 마음은 서로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일까?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전통적으로 뇌와 마음의 관계에 논의를 집중해온 심리철학의 심신상관론의 핵심 개념들을 역사적으로, 그리고 주제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3. 그와 같은 심신상관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현재 어떻게 수용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들은 무엇일까? 이를 위해서는 비교적 최근에 신경학과 심리철학 및 인지과학의 영역에 관심을 갖고서 적극적으로 대화를 시도하는 신경신학의 주장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4. 의식의 발생, 그리고 경험과 학습의 기초가 되는 뇌의 구조와 특성을 기독교교육과 연계할 경우에 논의될 수 있는 특징들은 무엇이 있을까? 이 문제와 관련해서 뇌의 신경해부학적 구조와 특성,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단장치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5. 뇌에 기반을 둔 일반 교수학습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두뇌에 관한 연구 결과와 두뇌의 특성을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과정을 비롯한 교육의 실제에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 모형들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6. 인간의 뇌에 관한 논의를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기존의 기독교교육학적 틀을 근거로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인간의 뇌 특성에 대한 논의는 물론, 뇌의 정보처리 과정이나 지식과 기억에 관한 이론을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상호 비판적으로 연계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기대효과
1.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의 구성을 위한 연구방법론을 확립할 수 있다. 기존의 신학 중심의 단일학제적(monodisciplinary) 접근에서 탈피해서 범학제적(transdiscilinary) 접근 중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할 수 있다. 2. 뇌 연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최근 종교학과 ...
1.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의 구성을 위한 연구방법론을 확립할 수 있다. 기존의 신학 중심의 단일학제적(monodisciplinary) 접근에서 탈피해서 범학제적(transdiscilinary) 접근 중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할 수 있다. 2. 뇌 연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최근 종교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신경신학을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과 연계해서 독창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3.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 즉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비체계적이고, 비실증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탈피할 수 있다. 4. 한국 기독교교육학은 물론이고 뇌 이론과 관계된 학문과의 창조적 융합을 위한 후속 연구를 시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한국의 기독교교육학이 최근의 뇌 이론들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다. 5. 실제적인 연구의 성과로는 전국적 규모의 학술대회에서 2차례의 발표와 학진등재지에 논문 2편을 게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추후에 뇌기반 기독교교육과 기독교교육학 관점에서 본 신경신학을 주제로 각각 2권의 단행본 저서를 출판하고자 한다.
연구요약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의 구성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확립을 시도한다. 기존의 단일학제적 접근을 탈피해서 범학제적 접근 중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한다. 2. 뇌 ...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의 구성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확립을 시도한다. 기존의 단일학제적 접근을 탈피해서 범학제적 접근 중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한다. 2. 뇌 연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최근 들어 종교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을 뿐 아니라 연구자가 국내에 최초로 소개한 신경신학을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과 연계해서 독창적으로 제시한다. 3.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 즉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비체계적이고, 비실증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탈피할 수 있다. 4. 한국 기독교교육학은 물론이고 뇌 이론과 관계된 학문과의 창조적 융합을 위한 후속 연구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서 한국의 기독교교육학이 최근의 뇌 이론들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학제간 융합연구에 적합한 범학제적(transdisciplinary) 접근방법을 주로 활용한다. 범학제적 접근은 크고, 복잡하고, 간단하지 않은 문제들에 의한 연구 문제의 제기, 여러 학문들이 중첩되는 주제의 선택, 여러 학문의 다양한 방법을 체계적으로 활용하는데 따른 독특한 렌즈의 확보, 그리고 패러다임의 이동을 수반하는, 부분들의 총합보다 더 큰 해결책의 제시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1.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연구 신경과학적 논의가 기독교교육에 함의하는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뇌의 특성화된 기능을 강조하는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들을 검토하였다. ...
1.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연구 신경과학적 논의가 기독교교육에 함의하는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뇌의 특성화된 기능을 강조하는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들을 검토하였다. 그것을 기초로 학습자의 이해,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환경의 구성, 교수학습과정을 중심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면서 교수학습과정(‘안정-분석-종합-행동’)을 제안했다.
2. 신경신학과 기독교교육 신경신학의 이해를 통해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구성에 필요한 신학 및 철학적 기초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최근에 신경신학을 주도하는 이론들을 개관했다. 그 과정에서 뉴벅의 모형이 종교경험을 뇌의 물리적 구조와 기능의 차원에서 해명하려고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아울러서 신경신학이 뇌기반 기독교교육에 함의하는 내용을 제안했다.
영문
1. A Study on the New Model of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a new model of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brief overview of several existing brain-based models respectively, reviews central notions regar ...
1. A Study on the New Model of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a new model of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brief overview of several existing brain-based models respectively, reviews central notions regarding the functions and structures of the brain, and seeks the implications of the brain research.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model of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and a four step process of resting, analysing, synthesizing, and acting.
2. Neuro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hree most prominent models and their implications for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Firstly, this study discusses three theories in neurotheology, and then it deals with some important concepts of neurotheology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ir implications for brain-based Christian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1.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연구 신경과학의 급격한 발전으로 기독교교육은 물론 인접 학문까지 과거에 예상하지 못한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최근 학습자의 전인적 측면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독교교육은 신경과학과의 학제적 대화를 통해서 뇌의 특성과 기능 ...
1.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연구 신경과학의 급격한 발전으로 기독교교육은 물론 인접 학문까지 과거에 예상하지 못한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최근 학습자의 전인적 측면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독교교육은 신경과학과의 학제적 대화를 통해서 뇌의 특성과 기능에 주목하게 되었다. 신경과학적 논의가 기독교교육에 함의하는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뇌의 특성화된 기능을 강조하는 뇌기반 기독교교육 모형들을 검토했다. 계속해서 기존 모형들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신경과학의 주요 논제들 가운데 대뇌피질의 가소성, 마음의 모듈, 그리고 뇌에 대한 구조적 이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대뇌피질의 가소성, 마음의 모듈, 뇌 구조의 이해가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구성에 유용하다는 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학습자의 이해,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환경의 구성, 교수학습과정을 중심으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구성하면서 교수학습과정(‘안정-분석-종합-행동’)을 제안했다. 신경계통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연계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일부 있지만, 뇌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기독교교육에 지속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2. 신경신학과 기독교교육 신경신학의 이해를 통해서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구성에 필요한 신학 및 철학적 기초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최근에 신경신학을 주도하는 이론들을 개관했다. 이를 위해서 뉴벅(A. Newberg)의 신경신학 모형, 애쉬브룩(J. Ashbrook)의 뇌신학 모형, 그리고 머피(N. Murphy)가 주도하는 풀러그룹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모형의 주장을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뉴벅의 모형이 종교경험을 뇌의 물리적 구조와 기능의 차원에서 해명하려고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뇌신학 모형은 분할뇌에 관한 스페리(R. Sperry)의 연구결과를 수용하여 종교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렌즈로 활용하고, 비환원적 물리주의 모형은 심신이원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하향적 인과를 주장한다는 것도 역시 확인했다. 계속해서 신경신학의 주요 논제들 가운데 뇌와 종교경험, 체화된 영성과 내재적 초월, 그리고 심신상관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신경신학에 속한 환원적 모형이 종교와 관련된 경험을 신경세포의 집합체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하는데 비해서 종교적 모형은 종교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영상진단 장치에 근거한 물리적 차원에서 확인을 시도하고 있다는 게 밝혀졌다. 아울러서 체화된 영성은 신경신학이 이원론을 추종하는 전통적인 인간론에 부정적일 뿐 아니라 뇌의 물리적 구조에 기반한 내재적 초월성과 인지적 오퍼레이터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신경신학이 뇌기반 기독교교육에 함의하는 내용을 다음처럼 세 가지 방향으로 제안했다. 첫째, 뇌기반 기독교교육을 구성할 경우에는 교수학습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종교경험에 보다 더 집중해야 한다. 둘째, 뇌기반 기독교교육은 영성의 신체적 측면에 관심을 갖는 신경신학의 연구에 기초해서 영성의 실행과 교육을 재구성함으로써 이원론적인 전통적 영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셋째, 뇌기반 기독교교육은 학제적으로 인간의 뇌와 심신상관의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이렇게 신경신학이 강조하는 종교경험과 영성, 그리고 인간의 뇌에 대한 이해는 뇌기반 기독교교육을 위한 철학 및 신학적 토대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신경계통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연계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일부 있지만, 뇌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기독교교육에 지속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단행본을 통해 연구결과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
신경계통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연계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일부 있지만, 뇌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기독교교육에 지속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단행본을 통해 연구결과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
색인어
1. 뇌기반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연구
뇌기반 기독교교육, 신경교육학, 신경과학, 가소성, 마음의 모듈, 뇌 구조
2. 신경신학과 기독교교육
신경신학, 뇌기반 기독교교육, 뇌, 종교경험, 영성, 심신상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