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문화 가정 임산부를 위한 그림책과 모바일 앱 통합 태교프로그램 연구
Study on Prenatal Care Program for Pregn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y Means of Picture Books Realized in Mobile App.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6090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오연주
연구수행기관 대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다문화 사회에 이미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결혼과 동시에 출산을 경험하는 다문화 임산부들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는 태교 프로그램이 필요하나 아직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다문화 임산부들을 위한 태교 관련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태교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태교프로그램은 자체적으로 수행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 다문화 임산부들의 언어적 능력을 고려하여 그림책을 주요 컨텐츠로 하고, (ii) 지역사회와의 저조한 소통기회, 가정의 여건 및 거동의 불편함을 고려하여 언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스마트폰 앱을 전달매체로 하는 “그림책과 모바일 앱을 통합한 태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기본 목표 달성과 아울러 참여 임산부의 정보처리 능력 향상을 도모코자 한다.
  • 기대효과
  • . 본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들의 건강한 출산과 육아 및 임산부의 정서적․신체적 건강을 도와 분만자신감 및 정체성 확립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는 결혼이주 여성들을 위한 태교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므로, 이들의 문화적 적응, 정체성 및 분만 자신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들과 이에 관련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연구결과는 후속적으로 Y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지원을 통해 확대 연구 및 보완/완성할 예정이며, 나아가 전국의 다문화 가정 임산부에게 고루 제공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연구요약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의 관점에서 다문화 임산부들의 건강한 출산 뿐 아니라 한국 사회에의 적응, 한국문화 이해, 한국어 능력 향상, 모성 정체성의 확립 등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내용: 그림책과 앱을 통합한 다문화 가정의 임산부를 위한 태교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i) 다문화 가정의 산모들을 위하여 다루어야 할 태교 문화내용은 어떠해야 하는지, (ii) 이것이 그림책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iii) 또한 이와 관련하여 앱을 수집하고 그 내용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핀다. (iv) 수집된 그림책과 앱북들을 활용하여 다문화 가정 산모들과 상호작용적 “그림책과 모바일 앱을 통합한 태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시행하며, (v) 전 연구 과정의 분석을 통해 다문화 가정 산모들의 문화적 정체성 구성 과정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태교그림책 연구 및 콘텐츠 연구를 중심으로 앱 개발 공학자의 지원을 통해 인문사회 분야와 공학의 융합연구로 진행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체 선행연구에서부터 협력 관계를 맺어온 Y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협조와 상기 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다문화 임산부의 참여를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태교 프로그램을 개발코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다문화 사회에 이미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결혼과 동시에 출산을 경험하는 다문화 임산부들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는 태교 프로그램이 필요하나 아직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임산부들을 위한 태교 관련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태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i) 기존의 태교관련 그림책의 문화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 중 적절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으며, (ii) 기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산모지원 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적절한 앱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으며, (iii) 상호작용에 기초한 운용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앱 2가지(사랑이 자장가, 병아리 총총총)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다문화 가정 임산부를 대상으로 홍보, 신청 접수 및 동의를 전제로 연구 대상자 20명을 모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적용 후 설문에 기초한 효과도 분석결과 본 태교 프로그램은 다문화 가정 임산부의 문화적응성과 모성정체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임산부를 위한 선험적 태교프로그램 개발의 시도로 다양하게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라 할 수 있겠다.
  • 영문
  • In this study, a pregnant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 and mobile application for pregn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pregn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A-c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cultural adaptability and maternal identity.
    In the consideration of women’s linguistic level for Korean, the stories in Korean picture books on the subject of Korean culture and emotion has been realized in the mobile application. This program has been applied to 10 multi-cultural pregnant women living in A-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women became pregnant within one year after marriage. Since one year is not enough to accommodate herself to the change of culture, they may become emotionally unstable.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pregnant and childbirth. The second, the proposed pregnant program was helpful to improve maternal identity. The score of the maternal identity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 before application. Moreover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compare to the controled group. The third, the proposed pregnant program was helpful to improve cultural adaptability. The score of the cultural adaptability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 before application. And this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compare to the controled group. From the above summary of experimental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proposed pregnant program is helpful to improve the maternal identity and cultural adaptability of the pregn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다문화 사회에 이미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결혼과 동시에 출산을 경험하는 다문화 임산부들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는 태교 프로그램이 필요하나 아직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임산부들을 위한 태교 관련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태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i) 기존의 태교관련 그림책의 문화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 중 적절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으며, (ii) 기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산모지원 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적절한 앱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으며, (iii) 상호작용에 기초한 운용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앱 2가지(사랑이 자장가, 병아리 총총총)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다문화 가정 임산부 20명을 모집하여, 각각 10명씩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만 개발한 태교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적용 후 설문에 기초한 효과도 분석결과 본 태교 프로그램은 다문화 가정 임산부의 문화적응성과 모성정체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교 프로그램은 참여한 다문화 가정 임산부가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숙고를 할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장차 엄마로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모델을 정립함으로써 모성정체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임신, 출산 관련 정보가 포함된 앱 사용을 통해 필수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음에 만족해하였다. 태교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화와 음악은 임산부들의 정서적 안정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한글을 익히는데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연계활동을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고, 이는 한국문화적응성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교프로그램은 앱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앱에 많은 흥미와 아울러 사용의 용이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몇 가지 세부적 개선점에 대한 의견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그림책과 앱을 통합한 태교 프로그램은 다문화 임산부의 모성정체성 및 문화 적응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다음의 임산부에게 적용
    1. 연구에 참여한 통제집단 다문화 임산부
    2. 경기도 다문화가정 지원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다문화 가정 임산부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추가적으로 어플을 개발하며, 전국적으로 활용 대상을 확장
  • 색인어
  • 다문화가정, 임산부, 태교, 그림책, 모바일 앱, 모성정체성, 문화적응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