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의료취약계층 행동분석과 사물인터넷 기술활용을 통한 내분비질환 웨어러블 헬스케어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e wearable healthcare UX design for endocrine disease patience based on behavior analysis and IoT technolog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3241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유승헌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원격진료 허용이라는 정부 시책과 함께 노인, 저소득층 청소년을 취약계층의 실제 행동양식을 분석, 취약계층 내분비 환자 및 잠재적 환자군을 위한 액티브 헬스케어의 UX 디자인 경험을 구축하고, 이들이 쉽고 편하게 질환을 예방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활용한 직관적이고 인지적인 내분비질환 헬스케어 시스템 UX와 웨어러블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원격진료가 지니고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사항을 제한된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의료진과 함께 해결안을 도출해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 사회의 빠른 고령화에 따라, 의료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잠재적 국민과 미래 환자들이 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형 질병인 당뇨, 고혈압과 같은 내분비 계열 질환은 전세계 최고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어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다. 내분비 질환은 사후치료보다도 예방, 관리가 더 효과적이고 이를 지원하는 앱이나 서비스도 많으나 현실은 일반인들이 평소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을 일일이 기록하고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UX가 번거롭고 만족스럽지 못해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병원에서도 시간, 비용의 제약상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지속적 케어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장기적으로는 의료 모니터링이나 생활 습관 혜택이 적은 취약계층에서 문제시 되고 있다. UX디자인과 메디컬 융합을 통한 서비스 플랫폼 UX 디자인 방법과 적용 고찰을 세부 목표로 설정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추진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디자인팀과 동일대학병원과의 협의체 구성을 통해 연구진들이 실제 병원에서의 환자 진단, 진료, 치료, 관리 과정에 참여하여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을 통한 심도 있는 메디컬 디자인이 가능한 여건을 이미 구축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물과 함께 메디컬 분야와의 디자인-공학적 협업 과정은 행정, 법률적으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경험체계에 포함되는 제품과 UX를 포함한 케어 솔루션 디자인을 통해 현재 후진적인 만성질환 환자 진료, 치료 경험을 지원하고 환자-의사 모두 만족하는 병원의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키는 프로세스를 시도하게 될 것이다. 예상되는 기대효과는 크게 학문적 효과, 기술적 효과, 산업기여도 효과가 예측된다. 1) 결과물 측면 효과로는 사물인터넷과 IT를 활용한 내분비 관련 진단 기기 디자인, 환자-의사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IT 솔루션 UX, 기기가 활용되는 진료 프로세스 서비스 모델이 예상된다. 2) 학문적 기대 효과로는 차세대 시장 발굴을 위한 융합적 디자인 접근과 공학의 시너지 추구, 디자인 이론과 산업공학․인지공학이론을 접목을 통한 창의적 UX 방법론, 융합형 디자인 이론과 방법론 개발의 선행연구로서의 효과가 주요 결과물로 제시될 것이다. 3) 산업적 기여도 효과 측면에서는 의료, 멀티모달 UX 등 차세대 전문 사업 분야의 체계적 디자인 가치 접목, 공학과 디자인의 간극 해소를 통한 개발시간 및 비용 단축, 대학 병원과 디자인의 협력, 주요 질병 관리 및 의료 이용 체계의 UX 디자인과 시장 형성 창출까지 기대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당뇨병과 고혈압을 위시한 내분비계열 질환은 사회 성장 동력과 개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선진국형 질병이며, 거대한 메디컬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해당 의료기기나 서비스, 관리 체계에 있어 국내 기업과 병원은 해외 제품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또, 주기적으로 의도적으로 혈당이나 혈압을 체크해야 하는 현재의 방식은 환자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뒤떨어진 디자인 경험은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사용하기도 어려워서 지속적인 관리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3단계에 걸친 해법 과정으로 구성되며 학제적 연구를 통해 의료현장과 인지공학, 디자인 지식이 함께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융합적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메디컬 프로세스는 의료특성 뿐 아니라 행정적, 법률적으로도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존재하며 추진 체계도 특화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가 설정하고 있는 3단계 추진전략과 세부 내역은 하단과 같다. I. Phase 1 : 내분비 웨어러블 헬스케어 UX 디자인 행동체계 분석 1) 병원내 실제 내분비 진료 과정 참관 및 분석 2) 디자인 연구진과 의료진과의 공동 회진, 진료 관련 검사 프로세스 습득. 3) 10여명의 계층별 환자, 사용자 선정 및 6개월 이상 행동 트랙킹 수행. 4) 사용자 행동 기반 내분비 의료서비스/ 기기 디자인 구체적 적용. 5) IoT 사물 인터넷 활용을 통한 직관적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안 제안. II. Phase 2: 실제 진료과정 관찰 및 환자 트랙킹 실험을 통한 사례 적용 1) 제안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 UX의 체계적 설계 평가 가이드. 2) UX 품질, 디자인팀 이해도, 복잡한 시스템의 참여적 평가 방법 검증. 3) 웹, 앱, 사물인터넷 연계 내분비 질환 연계 서비스 제안. 4) 사용자 대상 평가, 효과 검증 및 연구 종료. 이를 위한 세부 추진 내용은 하단과 같다. 1) 국내 의과대학 메디컬 서비스 디자인 협업 체제 구축 • 환자 진료 참여 허가, 장기간 관찰. • 특정 환자군 모집 및 6개월 이상의 장기 Ethnography 2) 국내 교육기관 의대 -디자인 의학학제연구회 구성 및 활용 • 의사-디자인-공학 정기 미팅 3) 한국 사용자 특성별 내분비 관리, 측정, 치료 서비스 UX 실행. • 환자의 서비스 및 UX 만족도 인지적 평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선진국형 관리형 질병인 내분비 계열의 메디컬 경험 디자인을 위해 대한민국의 모바일 IT 기술과 UX 디자인, 진료 현장에서의 의료전문가의 실무적 환경 분석을 토대로 융합형 메디컬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고 내분비 질환 관리를 위한 경험 시스템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한다.
    현재 사용성 측면의 속성들(user experience qualities)과 제품 자체의 속성들(artifact properties)이 주요 디자인 대상이지만 이 두 측면 뿐 아니라, 인터랙티브 제품들에 내재될 수밖에 없는 ‘인터랙션’의 속성 또한 실체된 대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Lim et al., 2007). 그리고 그것을 실체된 대상으로 구체화시키기 위해, 현존하는 여러 종류의 디지털 인터랙티브 제품의 예들을 분석하여 각 제품에서 디자인 된 인터랙션의 질적 특성을 식별하고,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인터랙션 질을 구현하는 속성들을 도출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 추진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디자인팀과 동일대학병원과의 협의체 구성을 통해 연구진들이 실제 병원에서의 환자 진단, 진료, 치료, 관리 과정에 참여하여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을 통한 심도 있는 메디컬 디자인이 가능한 여건을 이미 구축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물과 함께 메디컬 분야와의 디자인-공학적 협업 과정은 행정, 법률적으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경험체계에 포함되는 제품과 UX를 포함한 케어 솔루션 디자인을 통해 현재 후진적인 만성질환 환자 진료, 치료 경험을 지원하고 환자-의사 모두 만족하는 병원의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키는 프로세스를 시도하게 될 것이다.
  • 영문
  • The study aims to clarify the reason and a solution for current increasing numbers of endocrine diseases in Korea through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combining advanced mobile IT, UX design and the medical treatments. The endocrine diseases is the most quickly spreading disease in Korea. The center of demographic of patient segments are moving fast from traditional old generation group to even younger than adolescent aged group.
    Endocrine disease causes huge amount of social cost and can be a future burden for Korean society. The early stage tracking and the doctor’s guidance is the most effective tools of the disease management, however the users are not eagerly follow the guide nor use the tracking devices due to the lack of user experience quality and the low artifact properties of desig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key pain points of users with the current devices.
    Ethnography, FGI, product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with currently on the market services and interaction of diseases management products and area of design opportunity has been elicited. The list of problems has been developed into the design requirements for daily-life-friendly services using TV or mobiles that displays the disease management guidance.
    The originality of this research is relying on the collaborative approaches of design, medical and UX engineering. The researches on real patients have been conveyed in hospital, patients’ home and daily living area. The research process has established the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different team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e possibilities for developing next generation medical servi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선진국형 관리형 질병인 내분비 계열의 메디컬 경험 디자인을 위해
    대한민국의 모바일 IT 기술과 UX 디자인, 진료 현장에서의 의료전문가의 실무적 환경 분석을 토대로 융합형 메디컬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고 내분비 질환 관리를 위한 경험 시스템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한다. 현재 사용성 측면의 속성들(user experience qualities)과 제품 자체의 속성들(artifact properties)이 주요 디자인 대상이지만 이 두 측면 뿐 아니라, 인터랙티브 제품들에 내재될 수밖에 없는 ‘인터랙션’의 속성 또한 실체된 대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Lim et al., 2007). 그리고 그것을 실체된 대상으로 구체화시키기 위해, 현존하는 여러 종류의 디지털 인터랙티브 제품의 예들을 분석하여 각 제품에서 디자인 된 인터랙션의 질적 특성을 식별하고,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인터랙션 질을 구현하는 속성들을 도출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 추진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디자인팀과 동일대학병원과의 협의체 구성을 통해 연구진들이 실제 병원에서의 환자 진단, 진료, 치료, 관리 과정에 참여하여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을 통한 심도 있는 메디컬 디자인이 가능한 여건을 이미 구축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물과 함께 메디컬 분야와의 디자인-공학적 협업 과정은 행정, 법률적으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경험체계에 포함되는 제품과 UX를 포함한 케어 솔루션 디자인을 통해 현재 후진적인 만성질환 환자 진료, 치료 경험을 지원하고 환자-의사 모두 만족하는 병원의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키는 프로세스를 시도하게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각화 가이드는 높은 수준의 하드웨어나 알고리즘의 적용 없이도 투명 디스플레 이 상에 표현되는 이미지의 효과적인 시각화 개선 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시각화 개선에 필요한 텍스트 정보 표현을 위한 그 래픽 보정 가이드라인이 사용자 실험을 통해 제안 되었다. 실험에서 제시된 5가지 효과(컨트라스트, 아 웃라인, 블러, 글로우, 그림자)의 실질적인 텍스트 가독성 개선을 검증하였으며 각 효과별 권장 강도 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제안한다.
    - 내분비 질환 관리의 환자 자기주도형 서비스 도입
    - 미래 원격진료 등에 관한 대비
    - 지속적 환자 – 의사 painpoint 확립
    - App 이상의 Smart 가전을 활용한 진료정보 Push 시스템 구축
    - 환자 친화적 미래 의료 서비스 시각화 가이드

    노인층들이 별도로 스마트폰이나 기기를 통해 확인하지 않더라도 평소 TV를 시청하듯 자연스런 상황에서 정보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고 투약, 채혈, 관리등에 관한 규칙적 지시를 따를수 있는 최적의 효과를 위하여 검증된 그래픽 보정 효과이므로, 이러한 가이드라인 적용을 통해 융합적 내분비질환 관리체계 사용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메디컬 디자인, 내분비 질환 , 웨어러블 헬스케어 서비스, UX 디자인 인지구조기능, 디자인 프레임웍, 사물인터넷 UX (IoT UX) 원격진료UX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