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틀로서 제시된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함의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Relation' presented as a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1190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5월 01일 ~ 2015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강두호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도덕 교과의 학습경험은 동 교과의 목적 달성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서, 대부분 동 교과의 내용을 통하여 얻어진다. 본 연구의 목표는 논제(도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틀로서 제시된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함의)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초-중-고등학교에 법정 교과로 편성되어 있는 <도덕>의 경우 동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기본 틀 내지 원리로서 설정되어 있는바 '관계' 개념이 존재론적으로 어떤 함축적 의미들을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이처럼 일차적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이다. 우리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 및 학습 계획을 통상적인 의미에서 교육과정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도덕과 교육과정은 학교 현장에서 교과 형태로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현실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일정 수준의 교수-학습 계획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그것은 2012년 12월에 공포되어 현재 시행 중인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을 이른다.
    교육과정을 정립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그 내용이다. 교육과정의 내용이란 '학습경험의 선정'(R. Tyler), '내용'(A. Nicholls와 R. Zais), '문화 내용'(G. Beauchamp) 등의 경우처럼 표현은 좀 다르지만, 교과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체적인 줄거리를 의미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그 전체적인 줄거리, 즉 내용의 체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관계'를 중시한다(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2012, pp.6-7). 요컨대 동 교과의 내용영역 설정을 위하여 관계의 확장에 의거하고 있는 셈이다.
    '관계'(relation)는 보통 '어떤 것과 관련됨; 어떤 것을 지향하여 있음'을 뜻하며, 구체적으로 '한 사물이 다른 사물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이나 교섭; 둘 이상의 사물 사이에 연결되는 상태'로서 이해된다. 그런데 '관계'는 일찍이 Aristoteles가 그의 범주를 통하여 이것을 실체의 속성으로 인식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사상사적 측면으로 볼 때 존재론의 영역에서 오랫동안 매우 중시되어온 개념들 중 하나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이 '관계'가 내용구성(특히 범위 면에서)의 체계성을 확립하는 일의 중심에 자리한다. 이에 우리는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의미를 추출함으로써 동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을 훨씬 심층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이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문적 필요성이다. 도덕 교과의 효율적인 교수 및 학습을 위해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정확하고 체계성 있게 이해하는 일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교육과정의 내용을 정확하고 체계성 있게 이해하는 일은 동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수평적 조직과 수직적 조직에 대한 바른 인식을 전제로 한다. 전자가 교과 내용영역의 구분과 논리에 따른 범위(scope)와 관련된다면, 후자는 학습자의 심리를 고려한 계열(sequence)에 해당한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는 특히 도덕과 교수 및 학습 내용영역의 범위 차원에서 그 폭과 깊이를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데 유리하다.
    둘째, 교육적 필요성이다. 도덕교육의 목표는 사람다운 사람을 형성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기본 개념의 존재론적 의미를 통찰하는 일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왜냐하면 도덕적 행위에 대한 고찰이 그 주체로서의 존재자를 전제로 하는 이상, 당위의 문제는 존재 문제의 탐구라는 보다 포괄적인 지평 위에서 접근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도덕 교과가 제시하는 인간상을 바르게 파악하는 것은 동 교과가 입각하는바 존재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의존하는 셈이다. 존재론에서 중시되어온 '관계' 개념에 의거하여 존재자를 통찰하는 일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바람직하고 합리적인 인간관-가치관을 추구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연구 결과는 특히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발전에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윤리교육학 분야에서 하나의 이론적 정초 작업에 공헌하는 측면에서의 기여이다.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틀, 존재론에서의 관계 개념의 사상사적 전개, 관계의 주체-대상-근거' 등 윤리교육학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관련하여 매우 주요한 논점들을 다룬다. 그리고 이런 논점들을 바탕으로, 동 교육과정에서 의도된 관계 개념의 함축적인 의미들을 종합하여 제시한다. 이에 우리는 윤리교육학에서 존재자를 다룰 경우 '관계' 개념을 중심으로 가장 설득력 있는 학문적 모형의 하나를 정립할 수 있게 된다. 사실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을 놓고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접근을 추구하는 본 연구는 학제적 성격이 강하다. 이는 도덕 교과의 성격에도 부합하며,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영역의 체계화에 대한 해석을 놓고 적어도 하나의 표준적인 모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바람직한 인간을 육성하는 데 지향점을 두는바 교육에 공헌하는 측면에서의 기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계 개념에 대하여 단순한 이론적 분석이나 비판적 평가에 그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실천을 염두에 둔 것이다. 도덕과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교수-학습 내용영역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실천하는 일이야말로 교육 당사자로 하여금 동 교과의 내용을 조리 있게 사고 및 검토하게 하며, 결국 이런저런 도덕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모색하게 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라는 교육의 양대 주체에 대하여 도덕 교과 내용의 이해 및 실천에 관해서 하나의 신뢰할 만한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이는 현직 교사들 뿐 아니라,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의 경우 교육과정 관련 과목들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문의 사회 실용적 적용에 공헌하는 측면에서의 기여이다. 학계와 교육계라는 특정 분야에 한정하여 이바지하는 것도 의미 있으나, 사회적으로 폭넓게 기여하는 지식이야말로 실용성이 크게 마련이다. 비록 본 연구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을 염두에 둔 것이지만, 관계 문제가 모든 존재자에 해당하는 이상 여타의 유관기관에서도 인간관계를 이해 혹은 증진시키려는 각종 훈련 프로그램에 본 연구의 결과물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관계를 중시하는 사회교육이나 상담 기관은 물론, 공공기관 혹은 민간기관의 멤버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도 결과물은 충분히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기본 틀로서 설정된 '관계' 개념이 존재론적으로 어떤 함축적 의미들을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는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도입부분, 전재부분, 정리부분의 셋으로 구분된다. 먼저 연구의 도입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범위와 방법 등을 기술한다.
    연구의 전개부분은 크게 두 가지의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관계 연구의 기초를 점검하는 내용이며, 둘째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관계의 존재론적 의미를 탐색하는 내용이다.
    첫째의 내용은 본 연구의 논의를 전개하는 데 꼭 필요한 부분으로서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관계 연구에 요구되는 기초적인 내용들을 다룬다. 이 부분은 다시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하는 준거 틀에 대하여 살피는 작업과 '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배경을 추적하는 작업으로 구성된다. 전자의 경우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할 때 통상 활용되는 준거에 비추어,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이 영역별 및 학습내용별 성취기준의 틀로 삼고 있는 네 가지(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우리-타인과의 관계; 사회-국가-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점검한다. 후자의 경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로티노스, 토마스 아퀴나스, 스코투스, 수아레스, 로크, 칸트, 셸링, 드브리스 등)에서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가장 잘 어울리며 인간 존재에 대하여 최고의 존엄성을 부여하면서 그에 가장 만족스럽게 접근하는 관계 개념을 도출해내고자 시도한다.
    둘째의 내용은 본 연구의 핵심으로서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영역의 전반적인 구성 체계에 대하여 관계의 요소에 따라 차례로 그 존재론적 의미를 탐구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관계의 요소란 관계의 주체, 대상, 근거의 세 가지를 포함한다. 먼저, 관계의 주체는 다른 것과의 관계를 갖는 데 기체(substratum)로서 작용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도덕적 주체가 도덕적 행위의 동인으로서 실체인 점, 보다 성숙한 인격체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태를 갖는 점, 도덕 객체와의 관계 안에서 스스로를 규정하는 점, 초월적 존재자에 자기 존재의 근원이 있음을 인식하는 점 등의 속성이 있음을 함축하고 있다. 다음으로, 관계의 대상은 주체의 활동 목표로서의 객체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네 개의 내용영역 중 도덕적 주체의 관계 종결(terminus)로서의 대상을 세 묶음(우리, 타인; 사회, 국가, 지구공동체; 자연, 초월적 존재)으로 분류한다. 도덕적 자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가치 관계를 포섭하는 영역들에로 확장해가는 셈인데, 인간의 도덕적 삶에서 불가피하게 전개되어가는 도덕적 가치 공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끝으로, 관계의 근거는 관계가 성립되는 이유 내지 근본이 되는 사실을 뜻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이 동 교과의 성취 기준을 '관계 속에서 인간 및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도리를 깨닫는' 데 두고 있음은, 인간으로서 및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공동선(bonum commune)을 추구하는 일이 인간 사회성의 본질적 의미로서 인격성의 완성과 연계된다는 점을 암시한다.
    연구의 정리부분은 맺음말과 도덕과 교수-학습지도상의 제언으로 장식된다. 한편 본 과제의 연구방법상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관계 개념에 대하여 존재론의 입장에서 접근한다. 존재론의 입장에서 접근하는 이유는, 도덕 교과를 통해서 제시되는 인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존재 내지 존재자에 대한 바른 인식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논의를 도덕교육에 부합하도록 전개한다. 그 이유는, 관계가 그 자체로 윤리적이거나 혹은 비윤리적인 것은 아니지만 인간의 실천적 삶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존재론과 교육의 학제적 성격을 띠며 도덕과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내용구성에 초점을 맞추는 본 연구의 속성상 관련 문헌들의 분석에 의존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관계'를 그 내용구성의 기본 틀로서 제시하고 있다. 관계란 존재론적 측면에서 보아, 한 실체로서의 주체가 다른 대상과 일정한 근거를 기초로 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관계의 '주체'는 행복을 삶의 목적으로서 추구하며 자율성을 지닌 도덕적 행위의 동인이다. 그리고 관계의 '대상'은 각각 우리, 타인; 사회, 국가, 지구공동체; 자연, 초월적 존재로 구분하여 설정된다. 한편 공동선은 주체와 대상을 연결하는 관계의 '근거'를 이루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
  • 영문
  • Relation is presented as a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its ontological viewpoint the concept 'relation'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a subject as a substance and an object through a basis. In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the subject of relation is "the moral agent" having autonomy and pursuing the hapiness as an end of life. The objects of relation are "we, others, society, nation, global community, nature, and transcendent being". The basis of relation is "common good" which is showed variously according to subject-object chai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에 법정 교과로 편성되어 있는 <도덕>의 경우, 동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기본 틀 내지 원리로서 설정되어 있는바 '관계' 개념이 존재론적으로 어떤 함축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 있다. 연구의 내용은 전체 6개의 장(1.서론, 2.관계 개념의 존재론적 배경, 3.관계 주체로서의 도덕적 주체, 4.관계 대상의 확대와 구조화, 5.관계의 근거로서의 공동선, 6.결어)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관계'(relation)를 그 내용구성의 기본 틀로서 제시한다. 관계란 존재론적 측면에서 보아, 한 실체로서의 주체가 다른 대상과 일정한 근거를 기초로 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관계의 '주체'(subject)는 행복을 삶의 목적으로서 추구하며 자율성을 지닌 도덕적 행위의 동인이다. 그리고 관계의 '대상'(object)은 각각 우리, 타인; 사회, 국가, 지구공동체; 자연, 초월적 존재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한편 공동선은 주체와 대상을 연결하는 관계의 '근거'(basis)를 이루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윤리교육학 분야에서 하나의 이론적 정초로 활용될 수 있다. 윤리교육학에서 존재자를 다룰 경우 '관계' 개념을 중심으로 가장 설득력 있는 학문적 모형의 하나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라는 교육의 양대 주체에 대하여 도덕 교과 내용의 이해 및 실천에 있어서 신뢰할 만한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셋째, 사회기관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관계를 중시하는 사회교육이나 상담 기관은 물론, 공공기관 혹은 민간기관의 멤버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 충분히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관계, 교육과정, 근거, 내용구성, 대상, 도덕과, 존재론, 주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