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는 우리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제도 중의 하나이고 현재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종교를 믿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가 비행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그동안 국내 범죄학계에서 “잊혀진 변수”로 남아있던 ...
종교는 우리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제도 중의 하나이고 현재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종교를 믿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가 비행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그동안 국내 범죄학계에서 “잊혀진 변수”로 남아있던 종교 또는 종교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서구, 특히 미국의 경우 같은 주제에 대해 방대한 양의 연구가 축적되있는 점을 감안하면 본건 연구 또한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외국의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종교의 비행억제효과가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바,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도 종교성이 그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사회의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가장 심각하고 중대한 비행/일탈행위인 일반비행, 음주, 흡연, 집단괴롭힘, 자살, 인터넷중독, 스마트폰중독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종교가 이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프랑스 사회학자 뒤르껭은 이미 백여 년 전에 종교의 사회통제기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 범죄학계는 종교와 비행 및 범죄의 관련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도외시한 면이 없지 않다. 한편, 경험적 연구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범죄학자와 일 ...
프랑스 사회학자 뒤르껭은 이미 백여 년 전에 종교의 사회통제기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 범죄학계는 종교와 비행 및 범죄의 관련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도외시한 면이 없지 않다. 한편, 경험적 연구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범죄학자와 일반인들은 직관적으로 종교가 비행과 범죄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려는 경향이 짙다. 하지만, 다양한 경험적 연구가 행해지기 전에는 이와 같은 추정이 타당한 지의 여부를 검증할 수 없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국내 기존 범죄학 학술지식을 증진시키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대한 외국연구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와 같이 다양한 종교가 병존하는 다종교국가내에서의 종교의 비행억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 범죄학계의 학술지식 증진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더불어 종교가 현재 우리사회에서 매우 심각하게 여겨지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년 비행/일탈을 억제하는 효과가 밝혀진다면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부모들의 자녀양육방식 및 기존 종교계내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종교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개 광역시를 선정하여 2,500명 상당의 중학교 1학년생과 고등학교 1학년생의 대표적 표본을 추출한 후, 이들을 추적하여 3년 동안 총 3회 설문조사하는 중다전망적 패널조사(multiple point prospective pan ...
본 연구는 종교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개 광역시를 선정하여 2,500명 상당의 중학교 1학년생과 고등학교 1학년생의 대표적 표본을 추출한 후, 이들을 추적하여 3년 동안 총 3회 설문조사하는 중다전망적 패널조사(multiple point prospective panel survey)방식을 채택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종단적 연구방법을 통해 시간순서(time order)를 통제함으로써 종교와 비행 간의 인과관계에 관해 더욱 명확한 설명을 할 수 있어 기존 학계에 기여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SNS나 문자, 이메일, 블로그 등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공격행위를 하는 사이버불링이 중요한 문제로 대 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이버불링의 원인요인들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논 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 ...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SNS나 문자, 이메일, 블로그 등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공격행위를 하는 사이버불링이 중요한 문제로 대 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이버불링의 원인요인들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논 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실증적 연구 또한 초기 단계 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일부학자들은 불링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 해서는 개인성향, 미시환경, 거시환경,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두 조사하 는 생태학적 접근법을 도입할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요구에 부응 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Bronfenbrenner의 생태시스템 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사이버불링 가해 및 피해경험의 예측모형을 구축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불링의 가·피해 경험과 같은 상황적 변수의 중 요성이 부각되었고, 동네취약성, 종교성,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등 환경체계를 구 성하는 변수들 사이의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 로 후속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덧붙였다.
영문
Cyberbullying has emerged as an attention-grabbing social problem in recent years.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is likely to increase since more and more adolescents begin to use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The research field is on its incipient sta ...
Cyberbullying has emerged as an attention-grabbing social problem in recent years.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is likely to increase since more and more adolescents begin to use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The research field is on its incipient stage, however. Especially there exists a glaring lack of theories on the cause of cyberbullying that can guide research and policies to tackle this problem. A cadre of bullying scholars recently argue for the use of ecological framework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cyberbullying. In accordance with such asser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ause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drawing heavily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he results indicate the salience of situational variables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offer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SNS나 문자, 이메일, 블로그 등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공격행위를 하는 사이버불링이 중요한 문제로 대 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이버불링의 원인요인들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논 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 ...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SNS나 문자, 이메일, 블로그 등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공격행위를 하는 사이버불링이 중요한 문제로 대 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이버불링의 원인요인들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논 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실증적 연구 또한 초기 단계 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일부학자들은 불링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 해서는 개인성향, 미시환경, 거시환경,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두 조사하 는 생태학적 접근법을 도입할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요구에 부응 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Bronfenbrenner의 생태시스템 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사이버불링 가해 및 피해경험의 예측모형을 구축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불링의 가·피해 경험과 같은 상황적 변수의 중 요성이 부각되었고, 동네취약성, 종교성,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등 환경체계를 구 성하는 변수들 사이의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 로 후속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덧붙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종교는 가족, 학교 등과 더불어 사회통제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사회적 제도이다. 우리민족의 긴 역사를 되돌아보건대 종교는 항상 우리 국민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현재 우리국민의 절반 이상이 종교를 믿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범죄학 ...
종교는 가족, 학교 등과 더불어 사회통제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사회적 제도이다. 우리민족의 긴 역사를 되돌아보건대 종교는 항상 우리 국민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현재 우리국민의 절반 이상이 종교를 믿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범죄학계에서 “잊혀진 변수”로 남아있었다. 본 건 연구는 종교변수를 기존 범죄학 연구모형에 삽입함으로써 범죄학적 연구의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기독교위주의 단일종교가 대부분인 서구국가에 비해 기독교, 불교 등이 함께 공존하는 다종교국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외국학계에 발표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결과가 미국 등의 외국학술지에 게재됨으로써 범죄학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결과를 국내 학술지에 지속적으로 추가 투고하여 종교성과 청소년 비행 사이의 역학관계에 명확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범죄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