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위주의 우리나라 교육환경은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보다는 오히려 공부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인해 전인발달을 가로막고 있거나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저해하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청소년에게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 ...
입시위주의 우리나라 교육환경은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보다는 오히려 공부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인해 전인발달을 가로막고 있거나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저해하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청소년에게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면역 및 사회적 대처 자원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교육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다양한 요구와 핵가족화와 가족해체로 인한 가족기능의 악화, 입시위주 우리나라의 교육환경과 같은 요인들은 학교의 정규교육 프로그램 이외의 다양한 신체적 여가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청소년의 신체, 심리 및 사회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여가 상담 프로그램 선행연구와 스포츠 상담 프로그램 모형을 활용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효율적인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뿐만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의 창의적 인성 향상 프로그램의 교육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교의 정규과정만으로는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다양한 심리정서적 욕구, 대인관계적 욕구, 문화적 욕구, 학습과 ...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뿐만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의 창의적 인성 향상 프로그램의 교육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교의 정규과정만으로는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다양한 심리정서적 욕구, 대인관계적 욕구, 문화적 욕구, 학습과 진로와 관련된 욕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함으로써 그들의 자기성장과 진로계획, 학업 등의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청소년들의 심리정서적 욕구에 초점을 맞춘 일종의 상담교육적 성격을 가지므로 학교에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심성이나 인성교육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적 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학문적 측면에서는 스포츠 심리 상담모형과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여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융복합적인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연구요약
취약계층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 향상 여가 상담 프로그램은 3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개발되고 적용될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 창의적 인성, 여가 상담 프로그램 관련 연구 문헌고찰, 심층면접, 개방형 질문지,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여가 상담 프로그램 ...
취약계층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 향상 여가 상담 프로그램은 3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개발되고 적용될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 창의적 인성, 여가 상담 프로그램 관련 연구 문헌고찰, 심층면접, 개방형 질문지,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여가 상담 프로그램 개발 관련 기초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얻은 여가 상담 프로그램 기초자료, 선행연구, 전문가 회의 자료를 통합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 향상을 위한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할 것이다. 연구 3은 개발된 여가 상담 프로그램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정규 프로그램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적, 사회적, 문화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창의적 인성발달을 돕고,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탐색할 기회를 줄 수 있는 여가활동 상담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정규 프로그램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적, 사회적, 문화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창의적 인성발달을 돕고,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탐색할 기회를 줄 수 있는 여가활동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절차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1단계는 문헌고찰, 심층면접, 개방형 질문지 등을 통하여 여가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단계로써 취약계층 청소년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2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 1단계의 결과를 통합하여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3단계에서는 개발된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며 그 효과를 양적 및 질적으로 검증하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leisure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e personality in vulnerable adolescents since there have been not enough chances for fulfilling growth, social and emotional wants through regular schoo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leisure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e personality in vulnerable adolescents since there have been not enough chances for fulfilling growth, social and emotional wants through regular school program. It is expected that more opportunitues for finding and exploring their interests and aptitude by applying developed program.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was design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s to implement factual investigation of vulnerable adolesc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depths interview,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econd phase is to develop leisure counseling program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first one and literature review. The third phase is to apply developed programs to vulnerable adolescents and verify effectiveness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정규 프로그램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적, 사회적, 문화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창의적 인성발달을 돕고,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탐색할 기회를 줄 수 있는 여가활동 상담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정규 프로그램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적, 사회적, 문화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창의적 인성발달을 돕고,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탐색할 기회를 줄 수 있는 여가활동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절차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1단계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 향상을 위한 여가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단계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심층면접, 개방형 질문지 등을 활용하여 취약계층 청소년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2단계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 창의적 인성 및 여가 상담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 1단계의 결과를 통합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 향상을 위한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연구 3단계는 개발된 여가 상담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며 그 효과를 양적 및 질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첫째, 학생들의 주5일제에 따른 주말 여가활동 프로그램 모델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다양한 각 급학교나 사회기관 등에서 폭넓게 활동 할 수 있는 여가활동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교에서 충족될 수 없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다양한 ...
첫째, 학생들의 주5일제에 따른 주말 여가활동 프로그램 모델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다양한 각 급학교나 사회기관 등에서 폭넓게 활동 할 수 있는 여가활동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교에서 충족될 수 없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다양한 심리정서적 욕구, 대인관계적 욕구, 문화적 욕구, 학습과 진로와 관련된 욕구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성장과 진로계획, 학업 등의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여가 상담 프로그램의 참여와 활동을 통해서 청소년들은 또래와의 대인관계적 경험과 훈련을 할 수 있고 또한 대인관계에 필요한 태도와 기술을 익힘으로써 왕따현상이나 비행청소년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청소년들의 심리정서적 욕구에 초점을 맞춘 일종의 상담교육적 성격을 가지므로 학교에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심성이나 인성교육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