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문화사회 한국의 한인 디아스포라와 트랜스이주 연구
Korean Diaspora and Trans-national Migr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3652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영민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신형진(경북대학교)
박신규(경북대학교)
이채문(경북대학교)
이현철(고신대학교)
이현욱(이화여자대학교)
조현미(경북대학교)
장한업(이화여자대학교)
이용균(전남대학교)
박경환(전남대학교)
박경용(경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SSK 다문화와 디아스포라·트랜스이주 연구단은 한국 다문화사회의 맥락에 적합한 ‘한인 디아스포라와 글로벌 이주 연구의 신기원 수립’이란 원대한 비전 하에 한인 디아스포라 생활사 연구를 집대성하고, 새로운 방법을 적용한 글로벌 이주 연구의 성과를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한국 다문화사회 및 글로벌 이주 연구의 후속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성과의 정책적 반영 및 사회적 환원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크게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와 초국가적 이주 연구의 두 개의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되면서 각종 사례연구들을 적절하게 비교 분석하고, 최종적으로는 현대 글로벌사회의 초국가적 이주와 한국 다문화사회의 변용에 관한 새로운 연구 프레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국외 한인 이주자와 국내 외국인 이주자는 결국 국경을 뛰어넘는 글로벌 이주의 주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며, 따라서 통합적인 이론 및 방법론을 구축하고 적용해야할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가 처해 있는 다문화사회적 특성과 자본주의 경제의 글로벌화의 과정 속에 이루어지고 있는 초국가적 이주의 특성은 이러한 통합적인 이론과 방법론의 구축을 통해 온전하게 그 실체가 드러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는 현지조사를 통한 현장지향적인 접근을 시도하는데, 특히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디아스포라 한인 생활사 연구를 시도하고, 지역별 한인 디아스포라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법론적 국가주의 접근에서 탈피하여 다중스케일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것이다. 구술연구의 자료는 질적자료 컴퓨터 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어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할 것이며, 방대한 자료의 관리 면에 있어서도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중스케일적 관점의 방법론적 탈국가주의 접근에 의한 이주자의 이동성과 로컬리티 연구의 시도는 기존의 이주연구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틀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결국 한인 디아스포라와 국내 외국인 이주자의 트랜스이주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대 글로벌시대의 초국가적 이주 특성을 한국 다문화사회의 맥락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를 종합하여 이주 주체자들의 현장에서의 생생한 활동과 생각들을 오롯이 드러내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일련의 연구과정을 연구보조원들이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문후속세대들의 연구역량을 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먼저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는 소형단계의 연구지역인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 등으로부터 확장되어 중남미 지역 등 신흥 이주지 지역을 다루게 되며, 또한 농촌 및 오지 지역으로부터 2차 이주의 목적지인 도시지역으로 연구 지평을 확대시킴으로써 한인 디아스포라의 지역별/시기별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국가에서 한인 디아스포라의 일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주와 적응 문제를 천착하고, 그들의 생생한 생활사에 대한 학문적 기록 및 지역별 비교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외국인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트랜스이주 연구에서는 이주자의 이동성(mobility)과 이주자 민족경관의 로컬리티를 파악하고, 이주자 네트워크의 형성과 송금의 흐름, 그리고 회귀 이주와 그에 따른 기원지의 사회-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아래로부터의 글로벌화의 주체인 제3세계 출신 이주자들과 관련되는 글로벌 사회-공간 구조의 재편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연구내용은 한국인의 정체성과 관련된 다양한 수준의 의미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관련된 종합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국적 다문화사회의 상황에 입각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SSK 다문화와 디아스포라·트랜스이주 연구단은 한국 다문화사회의 맥락에 적합한 ‘한인 디아스포라와 글로벌 이주 연구의 신기원 수립’이란 원대한 비전 하에 한인 디아스포라 생활사 연구를 집대성하고, 새로운 방법을 적용한 글로벌 이주 연구의 성과를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한국 다문화사회 및 글로벌 이주 연구의 후속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성과의 정책적 반영 및 사회적 환원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크게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와 초국가적 이주 연구의 두 개의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되면서 각종 사례연구들을 적절하게 비교 분석하고, 최종적으로는 현대 글로벌사회의 초국가적 이주와 한국 다문화사회의 변용에 관한 새로운 연구 프레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 영문
  • “SSK Multicultural and Diaspora Trans-migration” research group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on the lives of the Korean Diaspora and foreign migrants under the vision of "Establishing a New Era of the Korean Diaspora and Global Migration Research"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is research group consists two tracks: Korean diaspora research and transnational migration research. In our research, we compare and analyze various case studies and analyze the transnational migration of modern global society. We expect to extend the new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SSK 다문화와 디아스포라·트랜스이주 연구단은 한국 다문화사회의 맥락에 적합한 ‘한인 디아스포라와 글로벌 이주 연구의 신기원 수립’이란 원대한 비전 하에 한인 디아스포라 생활사 연구를 집대성하고, 새로운 방법을 적용한 글로벌 이주 연구의 성과를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한국 다문화사회 및 글로벌 이주 연구의 후속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성과의 정책적 반영 및 사회적 환원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크게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와 초국가적 이주 연구의 두 개의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되면서 각종 사례연구들을 적절하게 비교 분석하고, 최종적으로는 현대 글로벌사회의 초국가적 이주와 한국 다문화사회의 변용에 관한 새로운 연구 프레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먼저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는 소형단계의 연구지역인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 등으로부터 확장되어 중남미 지역 등 신흥 이주지 지역을 다루게 되며, 또한 농촌 및 오지 지역으로부터 2차 이주의 목적지인 도시지역으로 연구 지평을 확대시킴으로써 한인 디아스포라의 지역별/시기별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국가에서 한인 디아스포라의 일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주와 적응 문제를 천착하고, 그들의 생생한 생활사에 대한 학문적 기록 및 지역별 비교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외국인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트랜스이주 연구에서는 이주자의 이동성(mobility)과 이주자 민족경관의 로컬리티를 파악하고, 이주자 네트워크의 형성과 송금의 흐름, 그리고 회귀 이주와 그에 따른 기원지의 사회-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아래로부터의 글로벌화의 주체인 제3세계 출신 이주자들과 관련되는 글로벌 사회-공간 구조의 재편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연구내용은 한국인의 정체성과 관련된 다양한 수준의 의미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관련된 종합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국적 다문화사회의 상황에 입각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지조사를 통한 현장지향적인 접근을 시도하는데, 특히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디아스포라 한인 생활사 연구를 시도하고, 지역별 한인 디아스포라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법론적 국가주의 접근에서 탈피하여 다중스케일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것이다. 구술연구의 자료는 질적자료 컴퓨터 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어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할 것이며, 방대한 자료의 관리 면에 있어서도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중스케일적 관점의 방법론적 탈국가주의 접근에 의한 이주자의 이동성과 로컬리티 연구의 시도는 기존의 이주연구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틀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결국 한인 디아스포라와 국내 외국인 이주자의 트랜스이주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대 글로벌시대의 초국가적 이주 특성을 한국 다문화사회의 맥락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SSK 다문화와 디아스포라·트랜스이주 연구단은 초국가 시대 한국 다문화사회의 맥락에 적합한 ‘한인 디아스포라와 글로벌 이주 현상의 다양한 사례 비교와 통합적 이론구축 토대연구’라는 원대한 비전 하에 한인 디아스포라 생활사 조사·연구를 집대성하고, 글로벌 이주와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사례연구를 축적하여 그 형성 매커니즘을 밝혀왔음.
    ❍ 아울러 본 연구단은 한국 다문화사회와 글로벌 이주 연구의 차세대 전문가를 양성하고, 정부 유관 기관과 시민단체 등과의 협력 하에 연구 성과의 정책적 반영 및 사회적 환원을 추구하고, 3년간 이를 충실히 이행하였음.
    ❍ 본 연구단에서는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중남미의 해외 한인 디아스포라와 국내로 유입된 외국인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역동적 이주 과정과 초국가적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형성해 놓은 다문화 사회-공간의 관계적 특성 등을 추적·분석해 왔음. 그 연구결과를 연구·정책기관 및 그 종사자들에게 배포하고 학문후속세대 양성 및 학생·일반인 대상 교육을 통해 널리 공유하였음.
  • 색인어
  • 다문화사회, 초국가적 이주자, 한인 디아스포라, 다중 스케일, 이주자 앤클레이브, 국제이주, 상호문화주의, 이주정책, 노동이주, 중국, 한국, 일본, 브라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