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로존 사태 이후 다층화 된 통치의 변화 가능성과 역외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possibility of Multi-level Governance's change and the impact on offshore nations after Eurozone cri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201078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종서
연구수행기관 중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009년 12월 1일 발효된 리스본조약은 유럽연합(the European Union)의 초국적 기구 중 하나인 유럽의회의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그간 논란에 직면하였던 민주성 결핍이라는 비난을 어느 정도 잠재웠다. 또한 유럽연합의 핵심적 기구인 집행위원회의 배타적 권한(Executive Competency)을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그간 28개 회원국들과의 권한 공유를 둘러싼 갈등이 봉합되었다. 한편, 집행위원회의 배타적 권한의 확대와 유로존 금융위기 이후 ‘보조금 축소’는 유럽의 주요 도시들 간의 자원정보 교환 및 공동정책을 위한 자생적인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구축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시장통합 심화에 따른 유럽연합 차원의 배타적 공동정책 확대를 의미함과 동시에 경제위기로 인해 유럽의 주요 도시들 간의 자생적 공동정책 또한 상당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글로벌 경제와 통합된 시장에서는 국경을 넘어 자유로운 자본이동과 투자가 가능하므로 경쟁우위를 점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을 효과적으로 구사하려면 국가뿐만 아니라 지역 및 도시차원의 투자유치를 통해 생산시스템의 우위를 점해야 한다. 유럽연합은 그리스 발 경제위기 이후 초국적 차원의 지원과 회원국 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급과 같은 보호조치가 약화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구산업지역 내의 대도시들은 독자적인 투자유치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 결과 국제적 경쟁에 노출된 유럽연합 내 주요 도시들은 공동체 차원의 지원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시스템 운영과 도시간 연합을 통한 경제발전 정책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도시의 공공기관이 공공재, 서비스, 공공사업에 따른 물품 구입에 드는 비용은 2014년 1월 현재 유럽연합 전체 GDP의 약 18% 이상을 차지한다. 이처럼 오늘날의 유럽은 도시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 도시들간의 공동정책이 확산되는 또 하나의 원인은 2000년대 들어서 유럽연합에서 고조된 제 3의 층으로서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가 한계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그 결과 초국적 기구인 집행위원회의 권한 확대와는 별개로 역내 주요 도시들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고 유럽연합에 동의를 구하는 새로운 의사결정 방식이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유로시티(Eurocities)이다. 유로시티는 유럽 내 주요 도시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유럽 내 200여개 주요 도시가 참여하는 일종의 정책네트워크이다. 중요한 것은 유로시티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도시 관련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권한을 행사하고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유럽의 도시 혹은 지방간 네트워크나 연합은 제한된 수준에서의 정보교환 등 상징적인 협력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반면, 유로시티는 기존의 도시간 협력 수준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럽의 대도시들이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유로시티는 산하 6개의 관련 부서에 공무원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상설 포럼을 두고 공동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유로시티 포럼은 복지, 환경, 교통, 범죄, 이민자들의 사회문화적 갈등 등 유럽의 대도시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안 문제와 관련해서도 초국적 차원의 대응과는 별도로 도시들 간 공동대응을 강구하고 있고, 이는 유럽연합 정책에 적극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에서 ‘초국가 수준의 정책’들과 ‘도시들의 이익추구 행위’에 간극이 발생할 경우 이들이 어떻게 조정되고 수렴되는가는 현 시점은 물론이고 향후 유럽통합 연구의 핵심적 담론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1년차는 변형된 ‘다층화 된 통치(Multi-level Governance)’ 하에 진행되고 있는 도시간 공동대응 수단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간 협력정책이 역외국들에게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연구한다. 이후 본 연구의 2년차에서는 도시와 사회적 기업 간의 파트너십을 공동체내 주요 도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마지막 3년차에는 사회적 책임 준수가 역외 하청기업들의 자원을 어떻게 통제하고 있는지를 기업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전통적인 지역통합의 분석방법인 ‘정부간주의’이라는 현실주의적 분석틀과 ‘(신)기능주의’라는 자유주의적 방법론에서 벗어나 도시간이라는 하향식 접근을 통해 통합의 실질적인 행위자를 분석한다. 즉, 위로부터의 통합의 목적과 통합의 주체를 규명한다는 목적에서 진일보하여 아래로부터의 통합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1993년 마스트리히트조약 이후 2009년 리스본조약 체결에 이르기까지 공동체의 발전은 초국적 기구로의 권한이양을 통한 일련의 실험이었다. 말하자면 회원국 정부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사회적 가치, 규범 그리고 적법한 절차를 확인하면서 이를 공동체 내에서 초국적 기구를 통해 구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첫째, 유로존 사태 이후 국내정치의 영향력 감소, 구조기금의 축소, 이에 따른 도시권력 강화라는 역설적 상황이 포함된 새로운 연구영역을 제시한다. 둘째, 기존 유럽연합 연구 주제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유럽통합을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화 한다. 초국가 기구와 회원국들, 그리고 국가 내 하위정부들을 포괄하는 환원적 분석을 통해 기존 유럽연합 연구에서 결여되어 왔던 하위정치단위들의 정치·경제적 역량과 함께 각 도시 고유의 이익선호를 규명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대외통상정책과 역내조달정책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럽통합이 초국가 기구를 통한 또는 국가간 조율을 통한 공동체의 정치·경제적 이익 수렴이라는 단순한 시각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물은 연구종료 시점에 두 권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여 학문적 파급을 의도한다. 단행본은 가제 『유로존 사태 이후 다층화 된 통치구조(governance)의 변화』를 통해 초국가, 국가, 지방 및 도시간의 파트너십 및 그 영향 등을 다룬다. 보조금 축소에 따른 유럽의 주요 도시들 간의 자원정보 교환 및 공동정책을 위한 자생적인 네트워크가 대한민국을 비롯한 역외국가 및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기술한다. 또 다른 단행본은 가제 『도시 재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명명하여 사회적 기업 확산을 위한 유럽 주요도시들의 주요 기구 및 제도를 다룬다. 현재 국내에 유럽통합에 대한 연구가 초국적 기구와 회원국 정부정책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시연합에 관한 연구는 유럽연합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실증적 사례가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성과물을 담은 단행본은 유럽연합을 이상주의의 실현체로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활동 단위로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미 양적으로 세계경제의 상당 수준에 도달한 우리가 유럽수준의 노동권이나 제품 및 고용의 질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기준에 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개발하여 도시간 협력에 의한 구매정책으로 인해 배제되는 국내기업에 실질적인 대응책을 제시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대상 및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1년차에는 다층화 된 통치 하에 진행되고 있는 도시간 공동협력정책, 2년차에서는 도시가 사회적 기업형성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 3년차에는 기업사례를 통해 사회적 책임 준수가 역외 기업에게 필요한 자원을 통제·관리하고 있는데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유럽의 주요 도시간 공동구매가 역외국들의 수출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유럽연합은 단일유럽시장에서의 ‘동반자원칙’(partnership principle)을 준수할 것을 표명한 이후 다층화 된 통치가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공동체 예산집행에 대한 권한 및 책임이 지방정부 차원으로 상당부분 이전되었다. 그러나 리스본조약과 남부 유럽발 금융위기는 초국적 기구인 집행위원회의 권한을 강화시켰고,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지역 및 도시들 간의 자생적 연합이 탄생하게 되었다. 하나의 예로 유럽의 주요 도시들은 예산 축소에 따른 도시차원에서 책임 있는 공동구매를 하고자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한 조달원칙 및 규범을 마련하였다. 환경 친화적(eco-friendly) 상품의 구매, 윤리적(ethical) 상품의 구매, 사회적(social) 상품의 구매이다. 이에 본 연구의 1년차에서는 유럽 주요 도시들 간의 공동구매 뒤에 숨겨진 의도 및 특징을 검토한 후 역외국들의 수출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구매양식의 변화가 역외국들에게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없는지를 살펴본다. 연구의 2년차에서는 도시와 기업 간의 파트너십을 가능케 하는 중간지원 조직의 구조 및 특성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영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사례를 집중 분석한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 주요 국가들의 도시와 기업간의 파트너십 사례를 집중 분석한다. 영국에는 지역사회의 재생 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다양한 주체들의 사회적 기업의 육성 및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사회적 기업의 중간지원 조직이자 총괄조정 기구인 ‘사회적 기업 런던(Social Enterprise London: SEL)’이다. 사회적 기업 런던은 사회적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중간지원 조직이자 다양한 주체로 구성되는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중층적인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 및 감독하는 사령탑(Control Tower) 역할을 수행하는 총괄기구이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주요 도시들의 지역재생정책과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다. 주요 도시들의 지역재생정책 사례의 분석은 유럽연합의 향후 공공조달정책 및 사회적 기업 관련 정책을 예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3년차에서는 도시의 3차원적 권력 하에 생성된 초국적 기업의 자발적 행동강령이 역외 하청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글로벌 사회적 책임 기준이 3차원적 권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주목한다. 기업의 관점에서 볼 때 미래의 새로운 기회창출이 사회적 책임에 의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상당한 기대와 불안감을 동시에 느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corporate sustainability)도 같은 맥락으로 초기에는 환경과 연계되어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사회적, 윤리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글로벌 수준의 변화에 대해 한국의 기업들은 아직 소극적 대응에 그치고 있으며 사회적 책임을 단지 기업의 사회공헌이라는 측면에서만 받아들이고 있다. 즉, 한-EU 자유무역협정 체결에도 불구하고 초국적 기업의 자발적 행동강령이 비관세장벽화 됨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3년차에서는 유럽에 기반을 둔 초국적 기업사례를 통해 사회적 책임 준수가 어떻게 역외 하청기업의 자원을 통제·관리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경을 가로지르는 도시간 연합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협력은 점차 국내에서의 협력과는 다르게 분화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협력이 가능하게 된 것은 세계화로 인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업이 시장확보를 위해 새로운 전략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최근 많은 도시들간에는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의 도시들은 직간접적으로 국가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 결과 새로운 지리학적 중심-주변부가 형성되고 있다. 도시를 단위로 한 교류협력은 중앙정부가 하지 못하는 비정치적 협력과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시 상호간 이익을 교환할 수 있다. 도시간 연합은 공동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공고한 조직을 형성함으로써 유럽연합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친다는 유럽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주요 대도시들이 중앙정부와는 별개로 국경을 넘어 협력하여 산업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경제적 주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 경제와 통합된 시장에서는 국경을 넘어 자유로운 자본의 이동과 투자가 가능하므로 국가마다 경쟁우위를 점하려는 노력이 치열하다. 이러한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을 효과적으로 구사하려면 국가뿐만 아니라 지역 및 도시차원의 투자유치를 통해 생산시스템의 우위를 점해야 한다. 도시의 공공기관이 공공재, 서비스, 공공사업에 따른 물품 구입에 드는 비용은 유럽연합 전체 GDP의 약 18% 이상을 차지한다. 이처럼 오늘날의 유럽은 도시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그리스 발 경제위기 이후 도시에 투입되는 초국적 차원의 지원과 회원국 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급과 같은 보호조치가 약화되었다. 따라서 구산업지역 내의 대도시들은 독립적인 투자유치와 산업발전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 결과 국제적 경쟁에 노출된 유럽연합 내 주요 도시들은 공동체 차원의 지원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시스템 운영과 도시간 연합을 통한 경제발전 정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EU 자유무역협정 체결 이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도시간 연합이 또 다른 무역장벽이 될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 영문
  • New forms of cooperation, such as across the border cooperation among citi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ctive. The reason why it is possible is that company makes new strategy in a fierce competition. Recently there are so many cross-border cooperation between cities. Cities make a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s a result, the new geographical center-periphery is being formed. Cooperation by the cities as a unit can perform a non-political cooperatio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can not and can mutually exchange profits. Alliance among cities works at pan-European level and influence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European Union. It builds networks to develop good practice and facilitate the exchange and transfer of experience by successful regions. This means that major cities have been the subject of building economic and industrial infrastructure to share information through alliance among cities over the border separatel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Capital and investment can freely move across borders in the integrated market and the global economy. So every country has been trying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order to effectively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one county should dominate a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investment of a country as well as local or municipal- level investment. The public organizations in cities purchase goods and services for public services, which takes more than 18 percent of the total EU GDP. Thus, cities take a key role in national competitiveness in Europe today.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Greece, EU has undermined protective measures such as member state and supranational subsidies. So, big cities in the old industrial areas cannot help but develop industries and invite independent investments. As a result, the main cities in the EU exposed to global competition not only implement the economic developmental policies with alliance between cities but operate the independent system, which is separated from community-wide support. This study in such a content, examines the possibilities that city alliances would be likely to create another trade barrier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after the Korea-EU FT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유럽연합(the European Union) 2009년 12월 1일 발효된 리스본조약으로 의회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그간 논란에 직면하였던 민주성 결핍이라는 비난을 어느 정도 잠재웠다. 또한 리스본조약은 초국적 기구인 집행위원회의 독점적 권한(Executive Competency)을 명확하게 명시함으로써 그간 28개 회원국들과의 권한 공유를 둘러싼 갈등이 봉합되었다. 집행위원회의 권한강화와는 별도로 유로존 금융위기 이후에는 ‘보조금 축소’에 따른 유럽의 주요 도시들 간의 자원정보 교환 및 공동정책을 위한 자생적인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시장통합의 심화와 경제화폐동맹의 실현으로 초국적 차원의 독점적 공동정책이 확산됨과 동시에 경제위기로 인해 유럽의 주요 도시들 간의 공동협력정책 또한 상당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유럽연합은 그리스 발 경제위기 이후 초국적 차원의 지원과 회원국 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급과 같은 보호조치가 약화되었다. 따라서 구산업지역 내의 대도시들은 독립적인 투자유치와 산업발전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 결과 국제적 경쟁에 노출된 유럽연합 내 주요 도시들은 공동체 차원의 지원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시스템 운영과 도시간 연합을 통한 경제발전 정책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도시의 공공기관이 공공재, 서비스, 공공사업에 따른 물품 구입에 드는 비용은 유럽연합 전체 GDP의 약 18% 이상을 차지한다. 이처럼 오늘날의 유럽은 도시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

    도시들간의 공동정책이 확산되는 또 하나의 원인은 2000년대 들어서 유럽연합에서 고조된 제3의 층으로서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가 한계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그 결과 초국적 기구인 집행위원회의 권한 확대와는 별개로 역내 주요 도시들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고 유럽연합에 동의를 구하는 새로운 의사결정 방식이 등장하였다. 대표적 사례가 유로시티(Eurocities)이다. 유로시티는 유럽 내 주요 도시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유럽 내 200여개 주요 도시가 참여하는 일종의 정책네트워크이다. 중요한 것은 유로시티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도시 관련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시는 경제를 이끌고 재형성하는 유일한 능력을 가진 행위자이다. 유럽연합 28개국 인구 중 70% 이상이 도시에 살며 유럽연합 GDP의 85% 이상을 생산한다. 또한 도시와 지방의 공무원들은 정책을 발전시키는 중심 행위자들이다. 유럽연합의 초국적 기관들과 회원국 관료들 또한 도시가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유로존 사태 이후 보조금 축소는 유럽연합에서 도시들간 연합을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기존 유럽의 도시 혹은 지방간 네트워크나 연합은 제한된 수준에서의 정보교환 등 상징적인 협력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반면, 유로시티는 기존의 도시간 협력 수준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럽의 대도시들이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시들은 경제성장과 고용뿐만 아니라 예술, 문화, 창조, 혁신을 위한 엔진의 역할을 한다. 이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로존 사태 이후 ‘스마트 도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이는 도시뿐만 아니라 유럽의 지역정책에도 적용된다. 스마트 도시와 특성화 전략은 정책결정자들에 의해 빠르게 채택되었고 유럽연합의 도시정책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가능성이란 도시에 사는 주민들의 능력에 달렸고 도시의 발전이란 ‘사용자 친화적’ 장소가 되느냐에 달렸다. 오늘날의 스마트 도시란 기술적인 발전을 필요로 한다.

    기존 유럽의 도시 혹은 지방간 네트워크나 연합은 제한된 수준에서의 정보교환 등 상징적인 협력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반면, 최근의 도시간 협력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럽의 대도시들이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1년차는 유로존 사태 이후 보조금 축소로 인해 더욱 강화된 도시간 공동대응 수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2년차에서는 다층적 거버넌스 이론을 확대 적용하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와 도시연합간 밀접한 협력의 형태를 분석하였고, 도시간 협력 시스템을 가능케 하는 법률 및 제도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 3년차에서는 유로존 위기 이후 날로 늘어나는 국경도시간 협력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대유럽연합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을 다른 측면에서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학문적 성과는 정치학, 무역학 분야를 포함해서 지역학, 국제통상학, 이익집단 연구 등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최근 문제인 정부 들어 이슈화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확산 방안에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한-EU FTA 타결 이후 유럽연합의 비관세장벽 연구 및 대안 모색에 유용한 길잡이를 제공해줄 것이다. 학문적 활용을 위해 본 연구의 결과를 학진 등재지 게재 및 학술서로 출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유럽통합 분야에 관심이 있는 시정관계자와 연구자들에게 유럽연합의 도시간 협력구조 및 정책결정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할 것이다.

    첫째, 유럽통합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문제의식과 연구영역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지역통합의 분석방법인 ‘정부간주의’이라는 현실주의적 분석틀과 ‘(신)기능주의’라는 자유주의적 방법론에서 벗어나 도시간이라는 하향식 접근을 통해 통합의 실질적인 행위자를 분석한다. 즉, 위로부터의 통합의 목적과 통합의 주체를 규명한다는 목적에서 진일보하여 아래로부터의 통합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1993년 마스트리히트조약 이후 2009년 리스본조약 체결에 이르기까지 공동체의 발전은 초국적 기구로의 권한이양을 통한 일련의 실험이었다. 말하자면 회원국 정부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사회적 가치, 규범 그리고 적법한 절차를 확인하면서 이를 공동체 내에서 초국적 기구를 통해 구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유로존 사태 이후 국내정치의 영향력 감소, 구조기금의 축소, 이에 따른 도시권력 강화라는 역설적 상황이 포함된 새로운 연구영역을 제시한다.

    둘째, 다층적 거버넌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유럽연합은 다자간, 양자간 자유무역협상 추진과는 별도로 도시간, 산업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다양하고 통합된 정보를 확보한 도시간 협력에 참가한 도시들은 사회, 환경, 공공조달 시장에서 좀 더 자율성을 갖고 구매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간 연합에는 협력으로부터 이득을 얻는 상공회의소와 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그들은 사업의 성공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며 도시문제를 해결하는데 그들의 가용 자원을 투자한다. 사적 부문은 자금과 전문화된 인력을 제공함으로써 도시간 협력의 성공에 기여하고 있다.

    셋째, 경제 위기가 세계경제의 재구조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는 확실치 않지만 유럽의 경우 도시들간의 연합이 강해질 것은 분명해 보인다. 새로운 도시간 연합전략은 오랫동안 관심밖에 있었던 중소도시들로의 경제 재생을 가능케 한다. 또한 핵심 도시들로부터 선택된 중소도시들로의 경제 및 다른 기능들이 흘러가도록 설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도시들이 연계전략을 통해 발전이 가능하다는 월러스타인(I. Wallerstein)의 중심, 주변부 이론의 실천과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는 혁신과 모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의 성장은 전문지식을 갖춘 노동자가 많고 적음에 달려있다. 만약 유럽연합이 가까운 미래에 주변부로 밀려나지 않는다면 그것은 도시들의 경제적 능력 확장을 통해서일 것이다. 그 결과 유럽통합이 초국가 기구를 통한 또는 국가간 조율을 통한 공동체의 정치·경제적 이익 수렴이라는 단순한 시각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다층화된 통치, 유로존, 유로시티, 동반자원칙,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수단, 스마트 시티, 도시 연계성, 지역간 협력, 유로존 위기, 국경도시간 협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