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활동적인 고령화: 뇌에서 사회연결망을 거쳐 공동체까지
Active Ageing: from brain to social networks to commun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49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염유식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현창(연세대학교)
박영란(강남대학교)
추상희(연세대학교)
김호영(전북대학교)
최진영(서울대학교)
박경순(아주대학교)
이은(연세대학교)
이상철(동서울대학교)
허남욱(연세대학교)
린다웨이트(Univ. of Chicago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소형단계 KSHAP의 한계
    -소형 단계에서는 사회연결망의 다양한 특성을 활용한 생의학으로의 접근을 통해 사회과학의 지위를 건강 및 보건연구의 중심부로 위치시키는 데 기여
    -그러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중범위 요인인 사회연결망만이 고려됨
    -신체 내의 생체지표 변화와 같은 미시적 요인이나 그러한 변화에 압력을 가하는 거시적 요인은 고려되지 못하였음
    - 또한 소형 단계의 자료가 강화도 한 면에 한정되어 표본 크기가 크지 않고, 농촌 지역 연구에 한정되었다는 데에 한계가 존재

    ▶ 대형 연구로 나아가기 위한 중형 단계의 목표
    - 중형 단계의 목표는 사회연결망을 토대로 미시 수준의 뇌 과학과 거시 수준의 지역사회 연구를 통합하는 것임
    -거시와 미시 연구의 통합으로서 대형 연구의(10년 아젠다의) 최종목표인 주체적인 노인의 삶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이해할 것으로 기대
    -이 때 활동적인 노년의 삶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미시 수준의 생의학적 관점에서 거시 수준의 복지 및 정책학적 관점까지 다양하게 포괄하는 것임

    ▶ 사업추진 및 운영계획: 패널데이터 확대, 유지와 융복합 연구 범위의 확장
    -연구의 일반화와 사회연결망적 요소를 완전히 구현하기 위해 서울 강남구 1000명, 강화도 B면 1400명을 포함한 DB 확장
    -기존에 조사된 강화도 A면 및 KURE/CMERC의 공유 표본을 추적조사하여 사회연결망 및 생체지표 변화 자료를 축적한 패널데이터 구축
    - 미시 및 거시 수준으로 연구의 단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뇌과학(미시) 및 사회복지학(거시) 연구와 유기적 협력 관계 구축
    -미시 수준의 심리학과 정신의학을 사회적지지/연결망 관계의 관점에서 연구
    -거시 수준의 사회복지학/실버산업학과의 연계를 통해 고령친화적 공동체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

    ▶ 대형 연구센터로의 성장을 위한 계획
    - 중형단계에서는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예방의학, 간호학, 정신의학 으로 이루워진 융복합적 연구 실시
    -중형 단계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대형 단계에서는 정치와 경제 시스템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연구책임자가 속한 A대학에서는 두 개의 단과대학이 신설되고 있어 새로운 연구 공간 활용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졌으며 중, 대형연구센터로 성장할 경우 이 중 한 공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소형, 중형단계의 융복합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대형단계에서는 ‘확정된 미래'인 노년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연구실시
    -대한민국의 고령화에 대한 일반화된 연구를 위하여, 전국 규모의 샘플에 바탕을 둔 설문조사와 생체지표 수집과 분석
    -건강 외에도 노인들의 성공적인 사회적 '참여'와 '안전'을 위하여 정치학, 경제학, 보건학등의 연구자들이 추가
  • 기대효과
  • ▶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
    - 고령사회의 복합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구축
    -노화연구에서의 사회과학의 입지를 제고함
    -노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여러 요소들 -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 질환, 수면, 우울, 불안, 인지기능 - 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들의 상호 작용에 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
    -특히 사회 연결망과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객관적,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활동적 노화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비전을 제시

    ▶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
    - 노인들의 높은 의료비 부담은 노인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부족과 진단적 어려움 등이 치료를 지연시켜 의료이용행태가 비효율적이었기 때문
    -사회연결망과 노인 정신건강의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면밀하게 밝혀냄으로써,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국가주도 정책과 사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고령화 문제 해결을 단순히 정부나 시장 또는 가족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사회 내 사회적 관계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사회통합적인 방안을 제시
    - 결과적으로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는 효과 기대

    ▶인력 양성방안 및 교육과의 연계 방안
    -건강한 노년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인력의 전문지식 및 개인 역량 강화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설계 및 실천을 위한 인식 개선 및 전문성 강화
    -미국 NSHAP의 인터쉽을 제도화하여 내실있는 국제 비교 연구 가능

    ▶건강과 보건 연구에서 사회과학의 위치 제고
    -건강과 보건 연구는 지난 수십 년간 매우 큰 발전을 해왔으며 특히 그 과정에서 사회학자, 심리학자, 역학자, 보건학자등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증가되어옴
    -하지만 보건의학은 질병과 노화의 과정 자체를, 사회과학은 사후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복지나 의료서비스 이용 등의 과정을 연구대상으로 한다는 암묵적인 분업화로 인해 긴밀한 학제 간 협력 부재
    - 본 연구는 사회과학과 보건의학을 연구 설계 단계에서부터 적극 통합하여, 그동안 막연하게 보건의학의 영역이라고 믿었던 뇌 인지능력, 혈압, 염증, 호르몬 등과 사회적인 맥락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
    -그 결과 이 연구는 건강과 보건 연구에서의 사회과학의 위치를 새롭게 자리매김 해줄 것임

    ▶국제 비교 연구
    - 현재 미국에서는 노인의 건강과 사회연결망의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수행하는 NSHAP 연구가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Aging 지원을 받고 종단연구로서 시행되고 있음
    -공동연구원(A)는 NSHAP의 책임연구자로서 미국과 국내의 고령화, 사회연결망, 건강의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국제 비교를 수행할 것임
    - 해외자문(B)는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축적된 건강 불평등의 대가로서 이 연구에 새로운 접근을 추가할 것임
    -해외자문(D)와 해외자문(E)는 각각 중국과 일본의 노인의 건강에 대한 대규모 연구의 연구책임자로서 본 연구결과를 일본과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임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 건강과 사회연결망 관계의 한국적 특수성과 함께 동아시아•미국 사회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함
    - 결과적으로 개인의 건강 및 사회연결망에 대한 한국, 미국, 중국, 일본 간 비교 가능한 자료를 통해 한국형 사회연결망 기반 건강 및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핵심적인 경험적 자료와 이론적 가이드를 제공할 것임


    ▶노인관련 건강산업의 적합한 분야와 방향 제시
    - 고령화의 진행과 복지 분야의 민영화에 따라 연금, 건강보험, 복지서비스는 국내외적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
    - 다양한 연금 상품들이 나오고 있으며, 특히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일상생활에 필요한 가사, 간병 서비스 분야는 민간보험의 진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임
    -이러한 민영화된 의료 서비스나 연금 상품들의 성공은 소비자인 노인들의 객관적 건강향상과 더불어 주관적 만족도에 달려 있음
    - 본 연구가 수집하고 분석할 건강에 대한 통합적 자료는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편안함에 결정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밝힘으로서 건강, 보험 등 관련 산업 분야의 상품 개발에 지침을 마련해 줄 것임
    - 특히 가사, 간병, 상담 분야의 민간 위탁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망의 측면을 관리,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 연구요약
  • 연구표에서 copy n past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 목적
    1) 본 연구단은 ‘활동적인 고령화: 뇌에서 사회연결망을 거쳐 공동체로’ 라는 주제로 활동적인 고령화 사회를 위한 본격적인 융복합 연구를 시도하였다.
    2) 활동적인 노화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즉, 인지기능/정신건강과 활동적 노화의 연관성 연구, 사회적/신체적 건강과 활동적 노화의 연관성 연구, 고령자의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건강에 모두 영향을 주는 고령친화적 커뮤니티 특성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된다.
    2. 연구 개요
    핵심 활동은 미시부터 중범위를 거쳐 거시에 이르는 보기 드문 융복합 DB 구축하는 것이다. 즉, Gene과 Brain(미시) 차원에서는 유전자-사회연결망 융복합 연구를 선도하는 Yale 대학의 Human Nature Lab(HNL)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신경심리지표 검사와 f-MRI 데이터를 수집하며 한 마을 모든 고령자의 사회연결망과 이 고령자 중 일부의 뇌 fMRI를 통합한 DB 구축하는 것이다. Social Network (중범위) 차원에서는 완전연결망(Global social network) DB 구축하는 것이고, Community (거시) 차원에서는 농촌지역인 강화도의 두개 면(面)에서 고령자 전수를 조사하고 서울 강남구의 대표 표본 1010명을 설문하여 도시-농촌 비교 연구를 통한 연구결과의 일반화 시도하는 것이다.
    3. 주요 연구 성과
    1) 학술지 게재 43편(SSI/SSCI급 8편; SCIE/SCOPUS급 8편; KCI급 27편)
    2) 네트워크 활동 실적 83건(학술회의 45건; 컨퍼런스 6건; 포럼 2건; 심포지엄 15건; 세미나/강좌 15건)
    3) 정부정책과 연계 및 반영 실적 39건(정책연구/사업기획 4건; 성과확산/홍보 35건)
    4) 사회과학분야 신진연구인력 양성 실적 94건(참여대학원생 연구실적 17건; 참여대학원생 학술대회 발표실적 59건; 참여대학원생 학위배출 실적 11건; 수상실적 5건; 기타 2건)
  • 영문
  • 1. Research Purpose
    1) The research group 'Active aging: from brain to social networks to communities’ tried full-scale convergence research for the active aging society.
    2) Active aging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areas. In other words, it consists o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 mental health and active aging,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physical health and active aging, and an analysis of age-friendly community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mental, physical and social health of the elderly.
    2. Outline of Research
    The core activity is to build an innovative convergence DB ( from micro to mezzo to macro level). In the Gene and Brain (micro) dimension, we are collaborating with the Human Nature Lab of Yale University, which leads the research on gene-social networking, and collecting neuropsychological index and f-MRI data. In the Social Network (mezzo) dimension, our group constructs a global social network DB. And in the Community (macro) dimension, the survey conducted on two elderly people in two areas (Ganghwa Island and Seoul Gangnam-gu) to attemp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research.
    3. Major Research Results
    1) Publications 43 (SSI / SSCI 8; SCIE / SCOPUS 8; KCI 27)
    2) Network activity 83 (conferences 51; forums 2; symposium 15; seminars / lectures 15)
    3) Linked to government policy 39 (policy research / business plan 4; result diffusion / public relations 35)
    4) Training of new researchers in social sciences 94 (publications 17; conferences 59; graduate degrees 11, awards 5, others 2)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 목적
    ▶ 본 연구단은 ‘활동적인 고령화: 뇌에서 사회연결망을 거쳐 공동체로’ 라는 주제로 활동적인 고령화 사회를 위한 본격적인 융복합 연구를 시도
    ▶ 활동적인 노화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함
    ⦁ 첫째, 인지기능/정신건강과 활동적 노화의 연관성
    ⦁ 둘째, 사회적/신체적 건강과 활동적 노화의 연관성
    ⦁ 셋째, 고령자의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건강에 모두 영향을 주는 고령친화적 커뮤니티 특성에 대한 분석
    2. 연구 개요
    핵심 활동: 미시부터 중범위를 거쳐 거시에 이르는 보기 드문 융복합 DB 구축
    ▶ Gene (미시)
    ⦁ 유전자-사회연결망 융복합 연구를 선도하는 Yale 대학의 Human Nature Lab(HNL)과 공동연구
    ▶ Brain (미시)
    ⦁ 약 1억원의 예산으로 신경심리지표 검사(N=195)와 f-MRI 데이터(N=80) 수집 완료
    ⦁ 한 마을 모든 고령자의 사회연결망과 이 고령자 중 80명의 뇌 fMRI를 통합한, 세계적으로 희소한 DB 구축
    ▶ Social Network (중범위)
    ⦁ 완전연결망(Global social network) DB 구축: 강화도 두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 전수에 대한 친구관계가 모두 포함된 사회연결망 자료 수집. 하나의 면에만 머물렀던 소형단계의 한계를 극복하며 더 많은 wave의 패널 데이터 구축
    ⦁ 강화도 K면: 전수조사임에도 높은 응답률의 4차 패널 DB 구축 (4년간 응답률: 95%, 94%, 82%, 96%)
    ⦁ 강화도 L면: 신규 L면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의 전수조사 완료. 1044명 중 948명 설문참여(응답률: 90.8%), 749명 건강검진(참여율: 79%) 완료
    ▶ Community (거시)
    ⦁ 농촌지역인 강화도의 두개 면(面)에서 고령자 전수를 조사하고 서울 강남구의 대표 표본 1010명을 설문하여 도시-농촌 비교 연구를 통한 연구결과의 일반화 시도
    ⦁ 활동적 주체로서 노인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도시] 지표를 개발하고 도시-농촌 비교 연구
    ⦁ 강남 ‘건강장수프로그램’: 강남구 만 65세 이상 노인 405명을 대상으로 강남구복지관 4곳에서 무료 건강상담과 교육 시작. 정책 프로그램 준비 완료(복지관: 강남00복지관, 00시니어플라자, 00노인복지관, 00종합사회복지관)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 주요 연구 실적
    ▶ 본격적인 융복합 연구
    ⦁ 연구 설계 단계에서부터 데이터 수집, 분석에 이르기까지 사회학-의학-심리학-사회복지학 교수진들이 함께 참여하여 소형단계에서부터 공동연구원과 연구보조원이 함께 참여하는 전체회의(70회) 및 워크샵(11회) 실시
    ▶ 유례없는 양질의 융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전수조사임에도 높은 응답률(4년간, 95%, 94%, 82%, 96%)을 보이는 강화도 K면 패널데이터 구축
    ⦁ Statistical power를 높이기 위하여 강화도의 새로운 마을 L면에 대한 전수조사 실시 (응답률 90.8%)
    ⦁ 완전사회연결망과 다양한 biomarkers가 결합된 유례없는 융복합 패널 DB 구축
    ⦁ 채혈을 통해 혈당, 지질, 유전자 정보 수집, 건강검진을 통해 혈압, 골밀도, 체성분 수집, 모발 추출을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수집, fMRI를 통해 뇌 영상자료 수집
    ▶ 활발한 국제협력 연구
    ⦁ Yale Univ.의 Human Nature Lab (이하 HNL)
    - Yale HNL은 PNA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IF: 10.414) 등 국제 저널에 사회연결망-유전자 관계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출판한 융복합 연구 선도 기관
    - Yale HNL의 소장 N. Christakis는 Yale Univ.의 사회학, 생물학, 생명공학, 의학교수로 2009년 타임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명>, 2010년 Foreign Policy <Global Thinker Top 100> 선정
    ⦁ NSHAP: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5년간 약 231억 원을 지원받아 미국 고령자의 대표 표본 DB 구축
    - NSHAP의 연구책임자는 KSHAP의 공동연구원, KSHAP의 연구책임자는 NSHAP의 자문위원으로 활동
    ▶ 효율적인 예산운영
    ⦁ SSK 예산: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진 모두 소형 시작부터 중형 3년차까지 6년간 연구활동수당 지급 전혀없음 (약 2억 3천만원 절약), 예산의 대부분을 직접적으로 DB를 구축하는 비용으로 소요 (전체 예산의 87%)
    ⦁ 국내 다른 대형 사업단과의 표본 공유 및 공동연구를 통한 예산 절감: CMERC, KURE, MINDMORE와의 표본 공유 및 공동 연구를 통한 예산 절감. CMERC 및 MINDMORE의 연구책임자는 KSHAP의 공동연구원
    ⦁ 책임연구자 소속 대학 교내 매칭펀드: 연구책임자가 속한 학교로부터 두 개의 매칭펀드 지원받음
    ⦁ 국제 사업단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예산 절감: Yale대학의 Human Nature Lab으로부터 대형 사업단 선정 시 사용할 $56,000의 매칭펀드 확보
    ⦁ 병원으로부터의 매칭펀드: 강남구조사를 위해 외부 의료기관 및 복지기관과 공동연구 진행. 강남세브란스 혈액분석비(약 1,500만 원), 참포도나무병원 X-ray 촬영비(4,000만 원), 강남대실버산업연구소 건강장수클럽운영비(약 600만 원)를 지원받아 총 6100만원의 매칭펀드를 대형 사업단을 위하여 확보
    2) 주요 연구 성과
    ▶ 학술지 게재 43편(SSI/SSCI급 8편; SCIE/SCOPUS급 8편; KCI급 27편)
    ▶ 네트워크 활동 실적 83건(학술회의 45건; 컨퍼런스 6건; 포럼 2건; 심포지엄 15건; 세미나/강좌 15건)
    ▶ 정부정책과 연계 및 반영 실적 39건(정책연구/사업기획 4건; 성과확산/홍보 35건)
    ▶ 사회과학분야 신진연구인력 양성 실적 94건(참여대학원생 연구실적 17건; 참여대학원생 학술대회 발표실적 59건; 참여대학원생 학위배출 실적 11건; 수상실적 5건; 기타 2건)
    2. 활용방안
    ▶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융복합 DB
    ⦁ 우리 사업단은 다른 사업단과는 달리 연구의 디자인부터,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발표까지의 전 과정을 생의학과 사회과학이 함께 하는 본격적인 융복합 사업단으로서 융복합 data set을 panel 형태로 수집
    ⦁ 세계적으로 드문 이러한 DB 구축은 우리 연구단의 큰 특성화 전략이며 이 전략이 우리의 자생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
    ▶ 연세대학교 Signature 융복합 수업: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위해 대학원 융복합 수업 개설
    ⦁ 진정한 융복합 연구자를 키워내기 위하여 KSHAP 국내 연구진들이 합심하여 2017년 1학기부터 대학원 수준의 융복합 과목을 개설
    ⦁ 연세대학교의 signature 수업으로서 많은 지원을 받고 있는 이 수업이 시작된 지 1년 만에 6개의 연구논문이 출간될 계획이며, 매년 정기적으로 열리게 될 계획
    ▶ 국내 다른 연구기관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연구
    ⦁ CMERC, KURE, MINDMORE 연구소와의 유기적인 연계는 단순히 효율적인 예산 사용을 위한 것이 아니라, 특성화를 위한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것임
    ▶ 외국 연구 기관과의 국제 협력 연구
    ⦁ Yale Univ.의 HNL이나 Columbia Univ.의 INCITE 연구소와 협력 관계 정립
    ⦁ 단순한 연구자 개인 사이의 협력관계가 아니라 연구소 간의 협력으로서 그 효과가 지속적임
    ⦁ 미국 NSHAP에서의 인터쉽을 제도화 (5년째 연구보조원 6명이 Univ. of Chicago의 National Opinion Research Center에서 NSHAP자료를 분석하는 인턴십을 수행)하여 차세대 학자 양성
  • 색인어
  • 고령화, 융복합, 유전자, 뇌, 사회연결망, 공동체, 건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