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시장경제, 사회연결기술, 시민사회 간 상호작용
Interactions of Markets, Social Technology, and Civil Socie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04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황용석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공동연구원 현황 정예림(연세대학교)
박선주(연세대학교)
김재영(충남대학교)
장병희(성균관대학교)
김양은(중앙대학교)
이제호(서울대학교)
정승화(연세대학교)
정성은(성균관대학교)
신동희(성균관대학교)
최재원(순천향대학교)
표나성(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단의 비전: 초연결 사회에서의 가치 공유 현상 탐구
    본 연구단은 초연결화 되고 있는 사회에서 경제적 가치의 창출과 이러한 가치가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생태계 내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이제껏 사회과학은 인간중심주의로서 자연과 인간의 이분법에 기반 해서 인간, 사회관계, 기업 등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비인간 행위자로서의 연결 기술이 급속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연결 기술과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 기술이 사회적 생태계로서 작동될 때 초연결 플랫폼이라고 한다. 이는 단순한 네트워크가 아닌 능동적으로 사회 문제를 재구성하고 관여하는 관계 기술이다. 초연결 플랫폼이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그 어떤 행위도 연결 기술을 배제하고 사회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 기술은 사회 구조와 개인 경험 간의 접점을 확대시킨다. 개인의 사적 공간이 공적 공간으로 전환되는 등 미시와 거시적 차원에서 개인 경험이 상호 공유되고 끊임없이 전환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경영학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하고자 한다.

    2. 연구단의 목표 : 시장경제-시민사회 영역 내․영역 간 상호작용의 분석과 이론화
    본 연구단의 목표는 연결 사회의 두 영역인 시장경제 영역과 시민사회 영역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치 공유 현상을 분석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결 기술을 둘러싼 시장-사회의 행위 주체들 간 상호작용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여 초연결 사회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시장경제 영역 내 상호작용이란 기업과 소비자 망의 연동성과 공동 가치 창출 현상을 말한다. 시민사회 영역 내 상호작용이란 정책적 제도와 시민의 상호연결 플랫폼을 말한다. 시장경제와 시민사회 간의 미시적 수준의 영역 간 상호작용이란 소비자로서의 삶과 시민으로서의 삶이 상호 수렴하는 현상을 말한다. 시장경제와 시민사회 간의 거시적 수준의 영역 간 상호작용이란 기업, 산업 망, 그리고 사회 전체의 협력적 생태계를 의미한다.

    3. 중형단계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인터넷, 모바일, 소셜 미디어 등의 다양한 사회 연결 기술을 통해 시장 경제 및 시민 사회에서 연결성이 확산되고 있다. 시장경제 영역에서는 개인 간의 상호작용과 경험의 공유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로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고객과의 연계 활동, 상호작용, 상호 경험을 통해 학습을 가속화하고 의사결정을 보다 현명하게 하고 있다. 시민사회 영역에서도 연결 기술 영향력의 증가로 시민의 관계망이 확산되고 있으며, 법·제도 환경도 새로운 생태계를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가치와 도전 과제를 제공하는 연결성은 개인-개인, 소비자-기업, 시민-정부 등의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깊이 관련하고 있으며, 경제·사회적 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단은 사회 연결 기술의 확산과 더불어서 전개되고 있는 시장 경제의 변화와 시민 사회의 상호작용을 주제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단은 초연결 사회로의 구조적 변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거 독립적으로 전개되어오던 이론적 개념과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정책 및 제도적 대안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점차 중첩되는 소비자와 시민의 역할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융합 연구와, 기업, 산업 망 및 시민사회의 상호 연동성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융합 연구를 수행한다.
    그동안 사회과학에서는 영역 간 융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시민사회를 다루는 커뮤니케이션학과 시장경제의 주체를 응용적으로 다루는 경영학과의 융합 연구가 수행된 사례가 드물다. 시민사회와 사회 기술의 연동성을 다루던 연구진과 기업과 소비자망의 연계성을 다루던 연구진 간의 융합 연구를 통해서만이 초연결 사회의 미래를 보다 정확히 개념화하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수렴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구축하고, 한국 사회를 위한 바람직한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 기대효과
  • 1. 학술적 기대 효과
    1.1 이론
    사회변화의 중심개념으로 연결플랫폼 개념화. 전통적인 사회과학은 인간과 사회집단 및 조직을 중심으로 이론이 발전해 왔다. 다수의 연구들은 기술을 사회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간주하고 행위자로서 인간 및 사회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단은 연결플랫폼을 하나의 행위자로 간주하고 인간, 사회, 시장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연결된 주체로 간주하고 있다. 즉, 기술과 인간, 기술과 사회, 기술과 시장 간의 이원적인 관계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연결주체의 상호영향성이 작동되는 생태계인 연결 플랫폼을 중요한 설명 개념으로 고려하고 있다. 연결 플랫폼은 네트워크상의 주체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발전하는 능동적인 연구대상인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시도는 연결밀도가 높고 복잡해진 네트워크 환경에서 플랫폼의 구조 및 연결로직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설명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큰 차별성을 갖는다.
    동일한 사회현상의 양면적 접근을 통합.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상호통합 하여 관찰 및 분석함으로써 각 수준별 행위 및 가치에 학제적 이론화를 가능케 한다.

    1.2 방법론
    연결 플랫폼에 대한 수리적 접근 방법. 본 연구단은 다양한 학제적 특성을 결합하여 다차원적 연구방법을 접목하고자 한다. 연결플랫폼의 작동구조를 탐구하는 수리적 접근방법은 연결기술을 매개로 개인 및 사회적 수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기반의 행동측정기법. 개인수준의 인지, 태도, 그리고 행동 탐구를 위한 전통적인 실험연구와 서베이 방법을 넘어서서 소프트웨어 기반의 행동측정방법을 이용한 로그분석기법은 소셜미디어와 같은 복잡해진 미디어 이용행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1.3 연구주제의 확장
    영역 및 층위 별 주제 메트릭스. 본 연구단은 시장경제와 시민사회라는 두 개의 큰 연구 영역 간 상호작용을 미시와 거시, 그리고 이들을 매개하는 플랫폼의 층위로 구분하여 층위 간 연구주제 메트릭스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다층적 주제접근은 개념 중심적 연구가 갖는 주제의 한계성을 벗어나서 주제간 연관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다양한 변인에 의해 설명될 수밖에 없는 초연결사회의 동학적 측면을 입체적으로 기술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결과의 국가사회 및 경제적 활용 가치
    2.1 국가사회 수준
    제도적 규제에서 자율규제로의 이론적 틀 제공. 초연결 사회는 전통적인 매개집단(intermediary group)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개인 또는 기업과 같은 네트워크 상의 개별 주체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규제의 특성은 표현의 영역에서 규제와 개인권리의 상충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도 및 법령에 의한 제도적 규제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개인, 기업 등의 제반 주체들이 참여하는 자율규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단이 수행할 연구는 제도와 시민간의 상충관계를 분석하고 자율-공동규제의 구조 및 자율규제기구의 거버넌스 문제를 탐구함으로서 한국사회에 제도적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네트워크 시민능력모형 개발을 통한 국가적 시민교육목표 제시. 연결사회에서 개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단이 수행할 창의적, 협업적, 소통적 능력 등 다면적 능력모형은 학교 및 시민교육의 중요한 목표를 제시하고 실제 학교교육 등에 접목가능하다. 연구팀A가 수행할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사업 등은 이러한 이론적 모델을 직접 적용할 것으로 연구와 교육이 결합되어 국가적으로 중요한 연구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2.2 시장경제 수준
    기업이 직면한 연결 사회의 불확실성 감소. 불확실한 사회연결기술 환경에서 본 사업단의 연구를 기반으로 기업의 내부 정책이 예측가능하게 수립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기업이 소비자에 대한 가치공유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한국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사회와 시장 양 측면에서 공공적 가치를 강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기업의 관계 모형 제시. 기업이 제휴하고 연결 지을 관계의 효과를 탐색하고 관계구조가 기업에 어떤 이익과 위험을 주는 가를 제시함으로써 최적화된 관계전략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이고 경험적 증거를 제시한다.
  • 연구요약
  • 1. 연구의 전반적인 틀
    본 연구단은 ‘초연결 플랫폼에서 시장경제-시민사회 간 상호작용의 이론화와 예측’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융합된 두 팀 간에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두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역 내 융합 연구를 통한 시너지. 소형단계의 연장선상에서 중형단계로 진입하면서 각 연구팀의 내부적인 융합 연구를 진행한다. 시장경제 연구팀은 기업-소비자 상호연결 플랫폼의 형성과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시민사회 연구팀은 제도-시민 상호연결 플랫폼의 형성과 변화 현상에 대해 연구한다.
    영역 간 융합 연구를 통한 시너지. 두 팀 간의 합병을 통해 시장경제 영역과 시민사회 영역 간의 수렴 현상을 탐구한다. 미시적 수준에서의 융합 연구진은 소비자로서의 네트워크와 시민으로서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된 새로운 삶의 형태와 의미에 대해 연구한다. 거시적 수준에서의 융합 연구진은 기업들의 산업 내 연결망과 시민사회 간의 가치 공유 현상을 탐구한다.

    2. 영역 내 융합 연구
    2.1 시장경제 영역 내의 융합 연구
    시장경제 영역 내의 융합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상호연결 플랫폼에 대하여 탐구한다. 첫째, 기업의 소비자 연계 플랫폼 운영 형태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그래프 이론과 최적화 이론을 이용해 기업의 효율적인 소비자망 관리에 대한 연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기업-소비자 연결망 기반의 서비스 가치를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한다. 둘째, 연계 플랫폼 전략에 따른 소비자망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상의 소비자 활동을 연구한다. 평판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 평판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2.2 시민사회 영역 내의 융합 연구
    시민사회 영역 내의 융합 연구는 제도와 시민 간의 상호연결 플랫폼에 대해 연구한다. 첫째, 소통 플랫폼의 발전과 진화에 따른 미디어/사회제도의 변화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소통플랫폼의 영향의 증대에 따른 미디어 지형의 변화와 소통플랫폼의 등장에 따른 가치의 충돌과 사회제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소통 플랫폼에서의 여론과 개별시민의견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소통플랫폼에서의 인지된 여론이 개별 시민 의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3. 영역 간 융합 연구
    3.1 미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
    미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는 소셜 플랫폼을 기반으로 형성된 연결된 삶에 대해 탐구한다. 첫째, 상업적 연결망과 사회문화적 연결망의 수렴 현상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및 설문을 통한 개인화 정보 서비스의 효과적 활용 방안 제시를 위한 연구, 개인의 선호도와 다양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근사 알고리즘 기반 추천 시스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둘째, 소비자-시민, 프로슈머, 정보생산자-소비자의 연결망 내 사회 경제적 행위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시민의 연결망 내 사회 경제적 행위가 상호간에 어떻게 공유되고 전파되는지에 대한 연구, 연결망 내에서 프로슈머, 정보생산자-소비자의 사회 경제적 행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3.2 거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
    거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는 연결 사회 내의 기업과 사회 간의 협력 거버넌스에 대해 연구한다. 첫째, 관계 포트폴리오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제휴 포트폴리오의 최적화를 네트워크와 결합해 관계 포트폴리오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와 상호작용의 패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둘째, 연결 사회에서의 시민사회와 기업의 상호 협력과 견제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시민단체와의 공동으로 기업들이 수행하는 사회 책임 활동에 대한 사례를 기반으로 연결 사회에서의 시민사회와 기업의 상호 협력에 대한 연구, 연결 사회에서의 시민사회와 기업의 상호작용과 경제적·관계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의 전반적인 틀

    본 연구단은 ‘초연결 플랫폼에서 시장경제-시민사회 간 상호작용의 이론화와 예측’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융합된 두 팀 간에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두 가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역 내 융합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소형단계의 연장선상에서 중형단계로 진입하면서 각 연구팀의 내부적인 융합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장경제 연구팀은 기업-소비자 상호연결 플랫폼의 형성과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시민사회 연구팀은 제도-시민 상호연결 플랫폼의 형성과 변화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역 간 융합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두 팀 간의 합병을 통해 시장경제 영역과 시민사회 영역 간의 수렴 현상을 탐구하였으며, 미시적 수준에서의 융합 연구진은 소비자로서의 네트워크와 시민으로서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된 새로운 삶의 형태와 의미에 대해 연구한다. 거시적 수준에서의 융합 연구진은 기업들의 산업 내 연결망과 시민사회 간의 가치 공유 현상을 탐구하였다.

    2. 영역 내 융합 연구

    2.1 시장경제 영역 내의 융합 연구
    시장경제 영역 내의 융합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상호연결 플랫폼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첫째, 기업의 소비자 연계 플랫폼 운영 형태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그래프 이론과 최적화 이론을 이용해 기업의 효율적인 소비자망 관리에 대한 연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기업-소비자 연결망 기반의 서비스 가치를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둘째, 연계 플랫폼 전략에 따른 소비자망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상의 소비자 활동을 연구하였다. 평판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 평판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2 시민사회 영역 내의 융합 연구
    시민사회 영역 내의 융합 연구는 제도와 시민 간의 상호연결 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소통 플랫폼의 발전과 진화에 따른 미디어/사회제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는데, 이를 위해 소통플랫폼의 영향의 증대에 따른 미디어 지형의 변화와 소통플랫폼의 등장에 따른 가치의 충돌과 사회제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소통 플랫폼에서의 여론과 개별시민의견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소통플랫폼에서의 인지된 여론이 개별 시민 의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영역 간 융합 연구

    3.1 미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
    미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는 소셜 플랫폼을 기반으로 형성된 연결된 삶에 대해 탐구하였다. 첫째, 상업적 연결망과 사회문화적 연결망의 수렴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및 설문을 통한 개인화 정보 서비스의 효과적 활용 방안 제시를 위한 연구, 개인의 선호도와 다양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근사 알고리즘 기반 추천 시스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둘째, 소비자-시민, 프로슈머, 정보생산자-소비자의 연결망 내 사회 경제적 행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시민의 연결망 내 사회 경제적 행위가 상호간에 어떻게 공유되고 전파되는지에 대한 연구, 연결망 내에서 프로슈머, 정보생산자-소비자의 사회 경제적 행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3.2 거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
    거시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융합 연구는 연결 사회 내의 기업과 사회 간의 협력 거버넌스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관계 포트폴리오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 연구 이를 위해 제휴 포트폴리오의 최적화를 네트워크와 결합해 관계 포트폴리오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와 상호작용의 패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둘째, 연결 사회에서의 시민사회와 기업의 상호 협력과 견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단체와의 공동으로 기업들이 수행하는 사회 책임 활동에 대한 사례를 기반으로 연결 사회에서의 시민사회와 기업의 상호 협력에 대한 연구, 연결 사회에서의 시민사회와 기업의 상호작용과 경제적·관계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영문
  • 1.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teams have sought two research plans to maximize the benefits of cooperation among research teams to achieve the goal of ‘the theorization and prediction of interaction between the market economy-civic society’
    First, for the inner-team integration research at the middle level of scale project, the market economy research team has conducted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interconnected platform between corporates and consumers, while the civic society research team has conducted the research on those of interconnected platforms between institution and citizens. Second, for the inter-team integration research, the convergence of the fields of market economy and civic society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unity of the two research teams, which also examined the new forms of life and their meanings in the networked citizen-consumer society at the micro level. At the macro level, the unified team explored the industrial network and value sharing in the civic society through the network.

    2. The inner discipline convergence study

    2-1. The convergence study within market-economy area
    The convergence study within the market economy area explored the interconnected platforms between cooperates and consumers. The research team conducted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onsumer networks based on the graph theory and the optimization theory, and also examined the issue of cooperate-consumer network-based service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user experience data. Subsequently, the research team has developed the alogism to enhance the level of trust of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2-2 The convergence study within civic society area
    The convergence study within civic society area first examined the interconnected platform between institution and citizens. First, platforms, the value conflict and institutional change due to the emergence of new communication was investigated. Second the study examined not on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ublic opinion and individual opinions on the communication platform, but also the influence of perceived public opinion on the individual opinions.

    3. The inter discipline convergence study

    3-1 The study of convergence between market-society and civic society at the micro level
    The study of convergence between market-society and civic society at the micro level explored the connected life grown from social media. First, in th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between commercial network and socio-cultural network, the research team suggested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private information service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traditional survey methods, and developed algorithm for the recommendation systems considering both the personal preference and the diversity among consumers. In addition, the research team provided the explanations of how economic activities within consumer-citizen network are shared and diffused.

    3-2. The study of convergence between market-society and civic society at the macro level
    The study of convergence between market-society and civic society at the macro level examined the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business and society within the super-connected society. Using network typology in the conjunction with relational portfolio, the research focused on the network structure and interaction patterns. Furtherm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conomical and relational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civic society and coperates in the super-connected society in relation to the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performed by mutual control and cooperation between civic society and cooperat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인터넷, 모바일, 소셜 미디어 등의 다양한 사회 연결 기술을 통해 시장 경제 및 시민 사회에서 연결성이 확산되고 있다. 시장경제 영역에서는 개인 간의 상호작용과 경험의 공유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로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고객과의 연계 활동, 상호작용, 상호 경험을 통해 학습을 가속화하고 의사결정을 보다 현명하게 하고 있다. 시민사회 영역에서도 연결 기술 영향력의 증가로 시민의 관계망이 확산되고 있으며, 법·제도 환경도 새로운 생태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사회변화에 주목하여 본 연구단은 초연결화 되고 있는 사회에서 경제적 가치의 창출과 이러한 가치가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생태계 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제껏 사회과학은 인간중심주의로서 자연과 인간의 이분법에 기반 해서 인간, 사회관계, 기업 등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비인간 행위자로서의 연결 기술이 급속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연결기술과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이 확산되고 있다. 초연결 플랫폼이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그 어떤 행위도 연결 기술을 배제하고 사회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 기술은 사회 구조와 개인 경험 간의 접점을 확대시킨다. 개인의 사적 공간이 공적 공간으로 전환되는 등 미시와 거시적 차원에서 개인 경험이 상호 공유되고 끊임없이 전환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경영학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단은 연결 사회의 두 영역인 시장경제 영역과 시민사회 영역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치 공유 현상을 분석적으로 이해하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연결 기술을 둘러싼 시장-사회의 행위 주체들 간 상호작용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여 초연결 사회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단은 초연결 사회로의 구조적 변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거 독립적으로 전개되어오던 이론적 개념과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시장영역과 시민영역의 각기 영역 내 융합연구와 영역 간 융합연구를 통해 새로운 정책 및 제도적 대안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단은 중형 3단계를 통해, 점차 중첩되는 소비자와 시민의 역할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융합 연구와, 기업, 산업 망 및 시민사회의 상호 연동성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융합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영역 내 융합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소형단계의 연장선상에서 중형단계로 진입하면서 각 연구팀의 내부적인 융합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장경제 연구팀은 기업-소비자 상호연결 플랫폼의 형성과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시민사회 연구팀은 제도-시민 상호연결 플랫폼의 형성과 변화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영역 간 융합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두 팀 간의 합병을 통해 시장경제 영역과 시민사회 영역 간의 수렴 현상을 탐구하였으며, 미시적 수준에서의 융합 연구진은 소비자로서의 네트워크와 시민으로서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된 새로운 삶의 형태와 의미에 대해 연구하였다. 거시적 수준에서의 융합 연구진은 기업들의 산업 내 연결망과 시민사회 간의 가치 공유 현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단은 이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장경제와 시민사회의 수렴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구축하고, 한국 사회를 위한 바람직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3가지 차원에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학술적 기여로는 연결플랫폼의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단은 연결 플랫폼을 하나의 행위자로 간주하고 인간, 사회, 시장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능동적 주체로 간주한다. 즉, 기술과 인간, 기술과 사회, 기술과 시장 간의 이원적인 관계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연결 주체의 상호영향성이 작동되는 생태계인 연결 플랫폼을 중요한 개념으로 고려한다. 연결 플랫폼은 네트워크 상의 주체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가 발전하는 능동적인 연구 대상인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시도는 연결 밀도가 높고 복잡해진 오늘날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플랫폼의 구조 및 연결로직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기존의 연구와 큰 차별성을 갖는다. <연결사회와 가치공유>라는 개념을 통해 시장 영역과 시민 영역 간의 가치공유 현상을 탐구하고 이론적 체계화를 추구한다. 초연결 사회를 등장하게 하는 요인으로서 연결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연구방법론의 체계화를 통하여 학술적 기여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기여인데, 시민 사회 수준과 시장 경제 수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시민 사회 수준에서 연결 플랫폼을 둘러싼 제도와 시민 간의 상충 관계를 분석하고 자율 또는 공동 규제의 구조 및 자율 규제 기구의 거버넌스 문제를 탐구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제도적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네트워크 시민능력모형 개발을 통해 국가적 시민 교육 목표를 제시한다. 연결 사회에서 개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단이 수행할 창의적, 협업적, 소통적 능력 등 다면적 능력 모형은 학교 및 시민 교육에 있어 중요한 목표를 제시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업 등에 이러한 이론적 모델을 직접 적용할 예정으로 연구와 교육이 결합되어 국가적으로 중요한 연구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시장 경제 수준. 기업이 직면한 연결 사회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불확실한 사회 연결 기술 환경에서 연구단의 연구를 기반으로 기업의 내부 정책이 예측 가능하게 수립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기업이 소비자에 대한 가치 공유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한국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와 시장 양 측면에서 공공적 가치를 강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기업의 관계 모형을 제시한다. 기업 망의 효과를 탐색하고 관계구조가 기업에 어떤 이익과 위험을 주는가를 제시함으로써 최적화된 관계 전략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경험적 증거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확산과 협력체계 구축이다. 첫째, 연구결과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정책세미나 및 포럼 등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시장 영역과 시민 영역 간의 가치 공유 현상에 대한 연구성과를 사회적, 정책적으로 확장한다. 또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온라인 공표 시스템을 강화하여 연구 결과물의 사회적 확산을 실현시킨다. 둘째, 협력 체계 구축. 본 연구팀이 구축하고 있는 기업, 공공기관, 정부기구, 학회, 언론사 연구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네트워킹을 적극 활용하여, 네트워크 확산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형 단계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타 연구단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대형 연구로 발전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만들 것이다.
  • 색인어
  • 초연결 사회, 가치 공유, 공동 가치 창출, 기업과 소비자의 연계 플랫폼, 사회 연결 기술, 소셜 미디어, 연결 시장, 소비자 망, 기업 망, 시민사회, 제도 망, 네트워크 시민 능력, 시민 참여, 소통 플랫폼, 네트워크 분석, 추천 시스템, 평판 시스템, 멀티 플랫포밍, 관계 포트폴리오, 네트워크 토폴로지, 인터넷 자율규제, 디지털 리터러시, 협력 거버넌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