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외에서 참여로 :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체육수업 개선 연구
From the place of alienation to the place of harmony : A study to improve, modify, and develop the way of PE class for maladjust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644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7월 01일 ~ 2016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조미혜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2년의 기간에 거쳐 단계별로 진행된다.
    개발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실제 부적응 학생의 체육수업 시간에 적용하여, 이들의 기본적 태도,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 등, 정서와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실행의 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여.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미흡사항에 대한 수정과 보완의 과정을 거치고, 이를 더욱 체계적이고 완성도 있는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으로 개선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 태도 등의 긍정적인 변화
    2. 각급 학교에서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 활용
    3. 학교 학생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
    4. 올바른 학생 문화, 학교 문화 형성 및 정착
    5. 학교 현장의 정상화
    이는 소외와 왕따 등 학교 부적응 학생들이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로 이끌어 줄 수 도록, 학교의 체육수업의 현장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청소년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며, 올바른 학생・학교문화의 정착을 통해 학교현장의 정상화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의 문제시 되고 있는 청소년 소외 집단인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는 과정을 통해, 나눔과 배려, 협동과 팀워크 등과 같은 사회성 관련 가치들을 가르치고, 이를 통해 학생의 기본적 태도와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중점내용은 ‘학교 부적응 학생에게 필요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무엇이며, 이러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이 부적응 학생의 정서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학교부적응 학생의 긍정적 정서와 태도 변화를 위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체육교사의 역할을 무엇인가?‘,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학생에게 어떠한 영항을 끼치는가?’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제행동, 학교 부적응 학생, 스포츠교육모형 등에 대한 다양한 문헌과 이를 활용한 각종 사례를 수집한다. 수집된 선행연구들의 분석과정을 통해 학교 부적응 학생에게 적합한 요소들을 추출하고, 이를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 후 프로그램 진행에서 교사의 수업관찰, 학생 심층면담, 수업참여일지 등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며, 이들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학생의 변화를 살펴보고, 프로그램을 보완・개선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총 2년 과제로써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 및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음

    1년차 연구에서는 학교 부적응 학생, 학교체육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학교 부적응 학생의 개념과 범위,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음. 또한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체육교사의 역할을 도출하여 제시하였음

    2년차 연구에서는 G도에 위치한 D고등학교의 학교 부적응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정서변화 프로그램과 태도변화 프로그램을 주1회, 1회 2시간씩 16차시, 총 16주간 운영하였음

    프로그램 실행 후, 연구 참여자의 정서 및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음. 그 결과 우울, 스트레스, 자존감의 정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협동, 배려, 규칙준수의 태도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

    결과적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학생의 정서(우울, 스트레스, 자존감)와 태도(협동, 배려, 규칙준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고 판단됨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 maladjustment students and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by observing the change of the emotion and the attitude of the students for 2 years.

    For the first year, we were focusing on constructing the theological system of the concept of the maladjustment students and the effect of the physical education by literature research about maladjustment students and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trying to develop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maladjustment students. Moreover we are suggesting the role of PE teacher for successful operating of this program.

    For the second year, we were applying this program to 26 maladjustment students at D high-school in G state for 2 hours once a week for 16 times.

    After finishing the program, the students were involved with in-depth interview to verify the change of the emotion and the attitude of the subjects. For the result, it showed positive changes not only at the aspects of emotion like depression, stress, self-esteem but also at the point of attitude such as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rule observance.

    As the result,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is verified that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for maladjustment students is effective in emotion(depression, stress, self-esteem) and attitude(cooperation, consideration, rule observance) in positiv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총 2년 과제로써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와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년차 연구에서는 학교 부적응 학생, 학교체육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학교 부적응 학생의 개념과 범위, 정의적 영역에서의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수, 연구자, 현장교사 등 학교 부적응, 생활지도, 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의 전문가들은 본 연구의 전문가 협의진으로 구성하여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체육교사의 역할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최초 축구, 농구, 패드민턴, 플로어볼, 체력단련, 등산, 자전거, 호신술의 8개 종목으로 구성・개발되었으나 프로그램 실행 교사, 연구 참여자의 변경 등의 이유로 볼링, 넷볼, 배드민턴, 플로어볼, 호신술, 라인댄스(+라인댄스 경연대회), 아프리카 운동화 보내기 프로젝트, 플라잉디스트의 8개 종목으로 수정・보완되어 실행되었다.
    2년차 연구에서는 G도에 위치한 D고등학교의 학교 부적응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정서변화 프로그램과 태도변화 프로그램을 1회 2시간, 주1회, 16차시로 총 16주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중・후, 연구 참여자의 정서 및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우울, 스트레스, 자존감의 정서적 측면과 협동, 배려, 규칙준수의 태도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학생의 정서(우울, 스트레스, 자존감)와 태도(협동, 배려, 규칙준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각 학교의 상황과 여건에 맞춰 수정・보완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학생의 변화는 물론, 올바른 학생문화 나아가 바람직한 학교문화의 형성 및 정착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교 부적응 학생을 “소외”에서 “참여”의 자리로 옮겨지는 것을 가능케 할 것이다. 즉,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 변화와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는 학교생활에 바르게 적응하고 매사에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소유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 부적응 학생의 긍정적 변화는 학생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며, 이는 사회적 범죄의 감소를 유도하여 안전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수준별 수업의 개념을 넘어, 다양한 수준과 다양한 계층의 통합이라는 사회・국가적 요구에 부합될 것이며, 올바른 학생문화와 학교문화를 형성하고 대한민국 학교체육의 발전과 건전한 사회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문제행동, 학교 부적응 학생,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