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총 2년 과제로써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와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년차 연구에서는 학교 부적응 학생, 학교체육과 관련된 문 ...
본 연구는 총 2년 과제로써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와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년차 연구에서는 학교 부적응 학생, 학교체육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학교 부적응 학생의 개념과 범위, 정의적 영역에서의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수, 연구자, 현장교사 등 학교 부적응, 생활지도, 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의 전문가들은 본 연구의 전문가 협의진으로 구성하여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체육교사의 역할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최초 축구, 농구, 패드민턴, 플로어볼, 체력단련, 등산, 자전거, 호신술의 8개 종목으로 구성・개발되었으나 프로그램 실행 교사, 연구 참여자의 변경 등의 이유로 볼링, 넷볼, 배드민턴, 플로어볼, 호신술, 라인댄스(+라인댄스 경연대회), 아프리카 운동화 보내기 프로젝트, 플라잉디스트의 8개 종목으로 수정・보완되어 실행되었다.
2년차 연구에서는 G도에 위치한 D고등학교의 학교 부적응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정서변화 프로그램과 태도변화 프로그램을 1회 2시간, 주1회, 16차시로 총 16주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중・후, 연구 참여자의 정서 및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우울, 스트레스, 자존감의 정서적 측면과 협동, 배려, 규칙준수의 태도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학생의 정서(우울, 스트레스, 자존감)와 태도(협동, 배려, 규칙준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맞춤형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각 학교의 상황과 여건에 맞춰 수정・보완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학생의 변화는 물론, 올바른 학생문화 나아가 바람직한 학교문화의 형성 및 정착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