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이자람의 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에 나타난 브레히트의 한국화 연구: 텍스트와 공연의 문화적 융합현상과 문화상호주의 양상 연구.
Jaram Lee’s Pansori Adaptation of Brecht’s and , and : Intercultural Approach to the Texts and the Performa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201340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인수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이자람의 창작 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를 통해 서구 연극과 한국 전통 공연의 융합 양상과 해외 공연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그와 더불어 세계화 시대에 유럽의 문화적 유산을 수용하여 한국의 전통적 자산을 확장시키는 예술 창작의 모델을 탐구 제시하고 한국 문화의 세계화가 가지는 정치적 사회문화적 함의를 타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자람의 <사천가>와 <억척가>는 창작 판소리로서,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사천의 선인>, <억척 어멈>을 한국 현대 사회의 현실에 맞게 판소리 형식으로 각색 개작한 것이다. 이자람은 서구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을 완충시키고 재창작하여 익숙하지만 새롭고 새롭지만 익숙한 예술적 창작물을 만들어내야 했다. 이자람은 <사천가>와 <억척가>에서 이 모든 쉽지 않은 과제들을 완수하는 것에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사천가>와 <억척가>는 두 작품 모두 국내와 국외에서 모두 관객과 평단의 호의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학술적인 연구 면에서는 아쉬운 점이 있다. 이자람의 <사천가>와 <억척가>가 보여주는 동시대성과 실험성에 주목은 하고 있으나, 하나의 성공 사례로서 언급이 되는 수준일 뿐 성취도 높은 예술작품으로서의 심층적인 분석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자람의 <사천가>와 <억척가>를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 분석하여 기존의 학술적 연구들을 심화 확장 시키고자 한다. 이는 국내의 공연 예술가와 학자들에게 서구 고전의 현대화 그리고 한국화의 방법론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국 학술계에 한국의 젊은 예술가의 활동을 소개하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의 국제적 담론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이자람의 <사천가>와 <억척가>의 희곡 텍스트와 공연에 대한 연구는 문학 텍스트에 대한 동시대적 고찰이라는 면에서 뿐만 아니라, 공연 예술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 면에서도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은 현시대에 활발한 활동을 벌이면서 예술적 성취를 이루어내고 있는 예술가의 작업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그 미학적 사회문화적 의미를 평가하고 부여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예술적 자산의 가치를 발견하고 높이게 될 것이다.
    두 번째로는 남성작가의 사회비판적 작품을 여성 예술가의 시선으로 각색함으로써 생겨나는 초점과 주제의식의 변화를 추적하여 <사천가>와 <억척가>가 드러내 보이는 여성주의적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여성주의와의 연관성을 밝히게 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지구촌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문화상호주의적인 공연예술과 그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해석의 틀이 끊임없이 논의되어지는 국제적인 공연 예술 담론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또한 기존에 행해진 문화상호주의에 대한 연구가 한국에서 창작된 텍스트에 대한 분석과 연구로 이어져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인 기여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이자람의 <사천가>와 <억척가>의 드라마터지와 창작 과정에서 발생한 미학적 사회 문화적 이슈들을 해결하는 방식 등에 대한 연구는 현시대의 젊은 세대의 창작 예술가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자람의 선례는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젊은 세대의 예술가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그들이 창작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교육의 현장에서 젊은 세대의 예술가들을 양성하고 지도하는 교수들과, 일반교양 과목에서 동시대를 반영하는 예술가와 작품을 소개하고 공연 예술을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교수들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예술 경영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우리의 전통 공연 양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공연을 창작하고 이를 가지고 해외 공연을 염두에 두고 있는 작품들을 기획하고 홍보하는 경우 유용한 선례 연구가 될 것이다. 오늘날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공연 작품들이 꾸준히 해외로 진출하여 그곳의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이러한 공연들이 스스로 어떠한 미학적 사회-문화적 의미를 추구할 것인가에 대한 인식의 기초를 다지는데 본 연구가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브레히트의 텍스트가 한국화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점들이 문화적으로 번역되었고 생략 또는 첨가 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서구의 고전 희곡이 한국의 현대성과 만나는 지점을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사천가>와 <억척가>가 보여주는 문화적 번역과 각색의 과정이 드러내는 한국 사회 현실을 발견해보고자 한다. 이것은 동시에 이자람에 의해 각색된 텍스트를 즐긴 한국 관객의 문화와 정치 의식을 읽어내는 단초가 될 것이다.
    두 번째는 공연의 측면에서 <사천가>와 <억척가>가 보이는 서사극에서 판소리로 장르와 형식이 변형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자람은 서구 고전 희곡을 판소리 속으로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 문화인 판소리 형식을 확장하고 재창조한다. 이자람이 전통적인 판소리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현대적 장르들을 혼합한 양상과 그 효과를 살펴보고, 서사극 형식이 판소리 형식으로 전이될 수 있는, 혹은 판소리가 서사극 형식을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원인들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 때 브레히트가 의도했던 소외효과를 통한 관객의 사회의식 고양과 사회 개혁 실천이 판소리라는 장르로 바뀌면서 관객들과의 소통 면에서 어떤 효과를 얻게 되었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이자람의 <사천가>와 <억척가>의 해외 공연에 주목하여 서구의 고전이 한국의 전통 공연 양식과 융합되어 해외 관객과 만나는 양상을 고찰하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사천가>와 <억척가>의 해외공연 리뷰들과, 두 공연의 기획과 제작을 진행했던 판소리 자의 해외공연 기획서 등을 살펴보고, 문화상호주의 공연에 대한 연극 이론들을 바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젊은 예술가를 바라보는 서구 사회의 시선을 정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여전히 국제관계에서 암묵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동양에 대한 서구 우월주의나 오리엔탈리즘의 잔재가 이자람의 공연을 소비하는 서구 관객들의 태도에도 스며들어 있는지, 혹은 이자람의 공연이 해외 관객들과의 소통 면에 있어서 새로운 평가와 분석의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은지 진단해 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연구는 젊은 판소리 예술가인 이자람과 그의 공동창작 팀 판소리자가 서사극의 완성자로 알려진 브레히트의 <사천의 착한 선인>과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한국화 하여 각색한 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에 대한 연구이다. 서로 다른 문화들을 한데 섞어 새로운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문화상호주의 공연 이론과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 및 새로운 여성 정체성과 주체성의 제시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 두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서사극과 판소리가 만나면서 생기는 현대적 판소리의 모습, 젊은 여성 예술가 이자람이 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여성의 삶에 대한 주제의식에 주목하였다.
    본연구의 수행 및 결과는 크게 세 가지 면에서 이루어졌다. 하나는 2015년 폴란드의 크라코프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EAST ASIA THEATRES: TRADITIONS-INSPIRATIONS- EUROPEAN / POLISH CONTEXTS에 참가하여 “An Intercultural Call from the Third World: Jaram Lee’s Brecht Pansori, Sacheonga”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한 것이다. 본 발표의 주요 내용은 <사천가>의 공동창작 과정 및 공연 내용과 형식을 소개하고 문화상호주의 관점에서 가지는 의의를 설명하는 것이었다. 이 발표문은 논문으로 완결되어 폴란드에서 출판을 앞두고 있다. 두 번째는 “문화상호주의 공연으로서 <사천가>의 각색 전략”라는 제목으로 한국연극학회지 2016년 제58권에 논문을 게재한 것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사천가>가 세계 제2차대전 독일에서 쓰여진 희곡을 어떻게 21세기 한국 사회의 이야기로 바꾸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원작과 각색을 비교하여 무엇이 달라지고 무엇이 강조되었는지, 그것을 판소리라는 형식에 어떻게 담아냈는지를 살피고, 그 의의를 탐색해 보았다. 세 번째는 2017년 한국연극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브레히트의 <억척어멈>의 한국화에서 드러난 한국적 모성신화의 확장과 변용: 극단 자유의 <그 여자, 억척어멈>, 연희단 거리패의 <억척어멈>, 판소리 자의 <억척가>”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한 것이다. 본 발표는 제목에서 언급되고 있는 세 편의 공연이 브레히트의 원작 속의 중요 인물인 억척어멈과 카트린을 한국화하면서 한국문화 속의 모성을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내용이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국제학술대회 참여 및 출판을 통해 한국 예술 및 예술가의 활동상을 영어권 문화에 알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한국의 학자로서 세계적인 학술 활동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자람과 같이 외국의 원작을 한국화하여 재창작하는 창작자들이 창작과 각색의 참고자료로 본 연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브레히트의 작품 및 이자람의 각색 속의 여성인물들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여성주의 이론 및 젠더 이론의 연구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examines and analyzes <Sacheon-ga> and <Ukchuk-ga> by young Korean pansori artist, Jaram Lee and her collaborative group Pansori Za. These two modern pansori are adaptations of Bertolt Brecht’s epic plays <A Good Person of Setzuen> and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In order to interpret and evaluate these works, I use intercultural performance theory, which illuminates the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performances that draw in and intermix elements from different cultures, and feminist theory, which criticizes patriarchal systems of the society and suggests new possibilities of women’s identities and subjectivities. Using these two theories, I focus on how epic theatre and pansori meet, resulting in a traditional yet comtemporary form of pansori, and how Jaram Lee, as a young Korean woman, expresses women’s lives and experiences using Brecht’s plays as a creative platform.
    The execution of this research project resulted in three major achievements. Firstly, I participate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titled “East Asia Theatres: Traditions-Inspirations-European/ Polish Contexts” held in Krakow, Poland, in 2015. My presentation, titled “An International Call from the Third World: Jaram Lee’s Brecht Pansori, Sacheonga,” introduces and describes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the creation of Sacheonga and its performance and style. It also explores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 performances. Secondly, I published an academic paper titled “Text Adapting Strategies of Sacheonga as Intercultural Performance from the Third World” on the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volume 58 in 2016. This paper anaylizes how Jaram Lee transferred the original stroy, written by a German playwright during the World War 2,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of Korea in 21st century. Comparing Sacheon-ga with the original story, I examine what has been changed and emphasized, how Sacheon-ga conveys them in the form of pansori, and what are its significances. Thirdly, I participated in the Spring Conference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and presented “Three Korean Adaptations of Brecht’s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This paper examines how each of the three Korean adaptations of Brecht’s play, Street Theatre Troupe’s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Theatre Company Jayu’s The Woman, Mother Courage, and Jaram Lee’s Ukchukga, reflect and/or subvert the patriarchal assumptions in the original play, especially focusing on the two main female characters, Mother Courage and Katrina.
    I expect that this research project will contribute to introducing Korean art and artist’s works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i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the publication of the paper in English. I also hope that this research project will be of use to those artists who adapt Western texts and use them as resources for their new artistic works. Finally, I believe that my feminist analysis of Brecht’s works and Korean adaptations of his works, especially Jaram Lee’s works, will contribute to the enrichment of feminist discourse in Korean theat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이자람의 창작 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가 보이는 서구 연극과 한국 전통 공연의 융합 양상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세계화 시대에 유럽의 문화적 유산을 수용하고 한국의 전통적 자산을 확장시키는 예술 창작의 모델을 탐구 제시하고 한국 문화의 세계화가 가지는 정치적 사회문화적 함의를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브레히트의 원작의 한국화, 서사극의 판소리 공연 형식으로의 변용, <억척가>와 <사천가>의 해외공연 및 수용 양상을 연구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특히 문화상호주의 이론과 여성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품 및 그 정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 및 결과 면에서는 연구 1년차에는 독일 현대사, 브레히트에 대한 비평 문학, 판소리 이론 그리고 문화상호주의 이론에 대한 기초조사 및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2년차에는 <사천가>에 대한 심층분석을 하고, 폴란드에서 열린 국제 학술대회 EAST ASIA THEATRES: TRADITIONS-INSPIRATIONS- EUROPEAN / POLISH CONTEXTS에서 “An Intercultural Call from the Third World: Jaram Lee’s Brecht Pansori, Sacheonga”라는 제목으로 <사천가>의 공동창작 과정 및 공연 내용과 형식을 소개하고 문화상호주의 관점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사천가>가 <사천의 선인>을 한국적 맥락 속으로 가져오는 방식을 분석, 이를 바탕으로 서구 중심적인 세계화의 현실 속에서 <사천가>의 각색 작업이 가지는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탐색하는 논문인 “문화상호주의 공연으로서 <사천가>의 각색 전략”을 한국연극학회지에 게재하였다. 3년차에는 <억척가>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여 한국연극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 브레히트의 작품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한국화한 세 편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 각각의 작품이 드러내는 한국적 가부장제의 전제와 그에 대한 각 창작자들의 접근 방식을 분석하는 “브레히트의 <억척어멈>의 한국화에서 드러난 한국적 모성신화의 확장과 변용: 극단 자유의 <그 여자, 억척어멈>, 연희단 거리패의 <억척어멈>, 판소리 자의 <억척가>”를 발표하였다. 또한 2차년도에 당초 연구 계획을 수정하여 <사천가>와 <억척가>의 해외공연과 수용 양상 연구 대신 이자람과 판소리 자의 마지막 작품인 <이방인의 노래>에 대해 연구하고자 결정함에 따라 <이방인의 노래> 자료 조사를 시작하였다.
    본연구는 국제학술대회 참여 및 출판을 통해 영어권 문화에 한국 예술 및 예술가를 소개하고 국제적인 학술 담론 형성에 기여하며, 문화상호주의 공연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 및 문화상호주의 공연 창작자들의 학술적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또한 <사천가>와 <억척가> 및 이와 관련된 한국 연극들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서 한국 연극의 gender 이론 논의의 활성화 및 한국 연극사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영어권 문화에서 한국 예술 및 예술가를 소개.
    2015년 폴란드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An Intercultural Call from the Third World: Jaram Lee’s Brecht Pansori, Sacheonga”는 완결된 논문의 형태로 제출되어 출판을 기다리고 있다. 본 논문은 <사천가>의 바탕이 되고 있는 한국 전통 문화인 판소리를 소개하고, 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한국의 젊은 예술가들의 활동을 소개하며, 이들의 예술 활동이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가지는 의의를 분석 평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영어를 사용하는 학자들 및 독자들에게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알리고 그 정치적 문화적 의의를 알릴 것으로 기대된다.
    2) 문화상호주의 공연에 대한 학술적 담론의 활성화
    논문 “문화상호주의 공연으로서 <사천가>의 각색전략”의 경우 성공한 문화상호주의 공연으로서 21세기 비서구권 문화상호주의 공연 창작의 모델로 <사천가>를 평가하면서 이자람과 공동 창작자들이 브레히트의 원작을 한국적 맥락에서 재창작하는 과정에서 변형과 첨삭의 양상을 분석한다. 이때 창작자들이 원문화와 수용문화 사이의 간극을 해결하여 극적 효과를 최대화 하는 방식과 그 정치적 함의를 국제사회의 정치적 역학, 한국적인 가부장제 문화의 비판 및 전복,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전통의 현대화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규명하고 논의한다. 이는 서구 고전의 한국화라는 측면과 전통의 재창조라는 측면 두 가지 모두에서 현재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예술적 시도들에 대한 학문적 담론 형성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문화상호주의 공연 창작자들의 학술적 참고자료로서 활용
    서구 고전을 원작으로 삼아 현재 한국의 현실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동시대 연극 창작자들 다수가 시도하는 창작 방식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물인 논문 “문화상호주의 공연으로서 <사천가>의 각색전략”은 창작자들이 한국적 맥락에서 서구의 고전을 접근하는 데 있어 일종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작의 선례에 대한 심층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창작 시도의 참고자료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3) gender 이론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
    한국연극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후 학회지 투고를 위해 준비 중에 있는 <억척가>에 대한 논문 “브레히트의 <억척어멈>의 한국화에서 드러난 한국적 모성신화의 확장과 변용: 극단 자유의 <그 여자, 억척어멈>, 연희단 거리패의 <억척어멈>, 판소리 자의 <억척가>”는 각 작품들이 브레히트의 원작을 한국적으로 각색함에 있어 여성 인물들을 어떻게 변용시키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 작품들이 원작이 가지고 있는 가부장제적 전제들을 어떻게 수용, 확장 혹은 수정하는 지 그 양상을 살핀다. 브레히트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학술적 시도들이 이제껏 많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gender 담론의 다양화 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4) 한국연극사 연구에 기여
    -준비 중인 논문 “브레히트의 <억척어멈>의 한국화에서 드러난 한국적 모성신화의 확장과 변용”은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브레히트의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원작으로 하여 한국화를 시도한 작품 3편을 비교분석한다. 브레히트와 연관되어 한국 연극이 어떤 시도를 해왔는지 정리하고 고찰함으로써 역사적 맥락에서도 학술적 기여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5) <이방인의 노래> 연구 및 논문 집필
    -본 연구의 심화와 완결을 위해 2018년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atre Research Conference에 참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자람과 판소리 자의 마지막 작품인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즈의 “Bon Voyage, Mr. President”를 판소리로 각색한 <이방인의 노래>를 2018년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atre Research Conference의 주제인 “Theatre and Migration”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분석하고 정리하여 발표자로 참가하고자 한다. (현재 Bursart Application에 지원 완료) 이 작품은 이자람의 서구 텍스트의 판소리화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다. <억척가>에서 대두되기 시작한 세계화와 자본주의의 시대에 인간답게 사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윤리적인 화두가 그 답을 찾는 작품이다. <이방인의 노래>는 이자람의 현대 판소리 창작의 완결작으로서 그녀와 판소리자의 활동을 학술적으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타진하는 최종적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이자람, <사천가>, <억척가>, 브레히트,<억척어멈>, <사천의 선인>, 서사극, 판소리, 문화상호주의, 연희단 거리패,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극단 자유, <그 여자, 억척어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