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 중 인지적 이차과제의 제시 여부에 따른 변화를 최대한 현실과 비슷한 상황인 보행 길이를 짧게(short), 편하게(normal), 길게(long)로 구분하여 노인 집단과 대조군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보행안정성 지수(BI)와 보행 매개 변수(보행길이, 보행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 중 인지적 이차과제의 제시 여부에 따른 변화를 최대한 현실과 비슷한 상황인 보행 길이를 짧게(short), 편하게(normal), 길게(long)로 구분하여 노인 집단과 대조군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보행안정성 지수(BI)와 보행 매개 변수(보행길이, 보행폭)를 통하여 비교 분석 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에 참여할 노인 집단과 대조군인 젊은 성인 집단은 각 2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할 것이며, 연구 참여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설명 및 자발적 참여 의사를 확인후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을 받을 것이며다.
연구 도구는 트레드밀 위에서 보행 중 신체질량중심의 값과 보행 길이 및 보행 폭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K Motus 3-D 동작 분석 시스템(Vicon Peak, U.S.A.)을 이용할 것이며, 실험 시작 전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카메라 보정(calibration)을 실시할 것이다. 참여자의 실제 보행 동작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신체 주요 부위에 총 35개의 원형 반사마커(reflective marker)를 부착할 것이며, 이 반사 마커를 천장에 고정된 6개의 적외선 카메라가 추적하여 컴퓨터에 자동으로 저장할 것이다.
연구 절차는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약속한 날짜와 시간에 동작분석 실험실로 들어오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의자에 앉아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을 하기 전 본 연구자에 의하여 실험의 목적과 전반적인 절차에 관한 설명을 다시 한 번 듣고 그 이해 정도를 판단 받을 것이다. 참여자는 트레드밀 보행 전, 준비된 반타이즈 또는 타이트한 수영복으로 환복할 것이며, 보행에 불편함이 없는 운동화를 신을 것이다. 트레드밀 보행 전,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한 신체의 무리를 방지하기 위한 5분간의 스트레칭을 실시할 것이며, 운동학적 자료 수집을 위한 반사마커를 신체의 주요 부위에 부착할 것이다. 반사 마커를 부착하기 전 보행 중 움직임으로 반사 마커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콜 거즈를 이용하여 피부 부위를 닦고 혹시 털이 많은 경우 참여자의 사전 동의 하에 면도를 실시 후 반사 마커를 부착할 것이다. 본 실험을 위한 트레드밀 보행 전 참여자는 본인의 편안한 보행 속도와 보행 길이를 찾기 위한 보행을 최대 3분간 실시하였으며, 중간에 속도 조절 등 모든 트레드밀 조작은 참여자가 언어로 표현하면 본 연구자가 직접 조작할 것이다.
보행 길이는 Chong et al(2009)의 연구에서 .31-.40m, .41-.50m, .51-.60m, .61-.70m, .71-.80, .81m 이상으로 10cm씩 총 6 단계로 보행 길이를 구분한 방법과 .31-.40m에서 .51-.60m까지는 BI가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나 그 이후의 차이가 적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체력 등을 감안함과 동시에 결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편안한 보행 길이의 20%씩을 감하고 더한 길이를 사용할 것이다. 보행 길이를 변경 중의 측정 자료는 제외할 것이며, 모든 트레드밀의 조작 일체는 연구자가 직접 담당할 것이다.
보행이 시작되면 연구자에 의하여 Springer et al(2006)의 연구에서 인지적 이차과제로써 그 적절성이 보고된 수학 연산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숫자 300에서 500사이의 세자리 숫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제시할 것이며, 주어진 숫자부터 시작하여 7씩 연속적으로 뺄셈을 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이때 주어질 숫자는 사전 연습시에 참여자에게 노출시키지 않을 것이다.
자료 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은 PSA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참여자 집단(노인, 젊은 성인)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기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할 것이다. 참여 집단과 보행 길이(짧게, 편하게, 길게)에 대한 BI, 보행 매개 변수(보행 길이, 보행 폭)의 차이와 더불어 집단 간의 상호작용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 분석(two-way ANOVA test)를 실시한 후, 걷기 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Scheffe의 사후분석(post-hoc)를 실시할 것이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설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