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장기 생존 - 여유자원, 기업 기부금,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long-term firm survival - Slack resource, corporate giving, and human capital suppor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59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노태우
연구수행기관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기업의 장기생존에 관한 기존 연구는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불확실성(uncertainty)의 증가로 인해 기업들의 미래 생존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Knight, 1921; Mitchell, 1989, 1994). 기업의 생존 실패는 기업의 주주뿐 아니라 종업원, 협력업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과 기업이 속한 사회에 엄청난 손실을 유발하기에 기업들의 장기 생존 기반 구축과 관련된 이슈는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Brammer & Millington, 2003; Freeman, 1984).
    전 세계적으로 수 백 년 이상 생존한 기업들이 존재하지만 기업들의 평균 수명은 20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de Geus, 1997, 2002). 한국의 경우도 상장 기업의 평균 수명은 23년 정도이고, 특히, 고용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 기업의 경우 10년 이상 생존율은 25%미만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KERI, 2008). 최근 한국 사회의 초 고령 사회로 급격한 전환과 근로자들의 삶의 질 추구에 대한 욕구 증가 등으로 인해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어 ‘기업의 장수(corporate longevity)’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들의 지나친 주주가치 중심의 경영으로 인해 기업의 평균 수명이 점점 단축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해(KERI, 2008), 주주-이해관계자 가치 균형을 통해 기업의 장기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 모색을 위한 기반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Hillman & Keim, 2001; John & Lisa, 2008). 특히, 최근의 경영학의 주요 연구들이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데 착안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Dawkins & Lewis, 2003; Waddock & Graves, 1997).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관심은 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성과 간의 관계에 맞추어 져 있다(Surroca, Tribó, & Waddock, 2010; Waddock & Graves, 1997). 하지만 Oliver(1991)에 따르면, 기업이 장기적인 성과 혹은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것은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기업의 핵심역량을 유지하여 지속적인 성과를 내면서 동시에 그러한 환경변화에 맞는 제도적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한다(Dimaggio & Powell, 1991; Powell, 1988).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성과가 특정한 관계에 놓여 있기 보다 그 둘 간의 균형을 통해서 기업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Oliver, 1991; Surroca et al., 2010). 즉, 기업의 장기 생존에 대해서 자원준거관점의 기존 연구들이 중단기적 결과물인 재무적 성과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이론을 도입해 자원준거관점이론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성과로 기업의 생존과 번영에 미치는 선행요인을 밝히고자 한다(Brønn & Vidaver-Cohen, 2009; Orlitzky, Siegel, & Waldman, 2011).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기업들의 생존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회적 현상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자원준거관점을 보완하는 이론적 도구로 제도적 이론을 도입해 한국 기업들이 장수할 수 있는 선행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최근 많은 한국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과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장기 생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러한 활동들이 어떠한 프로세스에 의해서 기업이 오랫동안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Dawkins & Lewis, 2003; Godos-Díez, Fernández-Gago, & Martínez-Campillo, 2011; Matten & Moon,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IMF 경제 위기 이후에 기업의 창설이 줄고 있는 한국 기업 환경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장기생존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오랜 시간 다양한 환경 변화를 경험하면서 여러 차례 생존의 위기를 극복한 한국의 장수 기업들(long-lived companies)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 기업의 지속 가능성(corporate sustainability) 확보, 나아가 지속 가능한 한국 사회 건설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여유자원(slack resource)과 장기 생존에 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제시한 가설은 잠재적 여유자원(potential slack resource) 및 실현된 여유자원(realized slack resource)가 기업의 장기생존에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 그리고 각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로 기업의 기부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용한 분석을 위해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 중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여유자원과 기업 기부금이 시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고려해 시간대응(time-dependent)방식을 취하였다. 한국 시장에 발생한 1997년 금융 위기 이후에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변화가 있음을 고려하여 분석에 사용된 사건들은 2000년 이후 기업들의 상장폐지를 기업의 소멸로 간주하여 총 479개 중 56개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시된 가설이 모두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업의 장기생존 (long-term business survival, LBS)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략경영에서의 기존연구는 주로 다각화, 혁신, 선발자 우위, 지배구조 등이 LBS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LSB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론적 배경으로 RBV와 institutional theory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LBS에 미치는 요인으로 slack resource와 corporate giving을 제시하며, 두 이론(RBV, institutional theory)은 slack resource와 corporate giving이 가지는 효과에 각각 설명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상호 보완적임을 확인하고 통합적 시각을 제시하는 가설을 제시한다. LBS에 대해 slack resource와 corporate giving의 slack resource에 대한 mediating 및 moderating effect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서 생존분석을 도입하였고, 한국신용정보(NICE)가 제공하는 KISVALUE 데이터를 통해 IMF 위기 후 안정기의 시작을 2000년으로 보고 이 시점에 상장된 기업 455개 기업의 2012년까지 생존을 분석하였다.
  • 영문
  • Long-term business survival (LBS) is subject to a variety of facto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strategic management, major factors that affect LBS are diversification, innovation, first-mover advantages, and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his study, employing the resource-based view (RBV) and the institutional theory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 explanation of LBS, suggests that slack resources and corporate giving as valid factors that affect LBS. We also put forward a comprehensive hypothesis that integrates the resource-based view and the institutional theory, which provide independent explanations for the impact of each of these two factors on LBS, and corroborates that the impacts of these two factors are actually mutually complementary.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of slack resources and corporate giv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g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lack resources and LB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giving on slack resources, we conduct a survival analysis of 455 companies in the Korean securities market based on the KISVALUE data provided by NICE(National Information and Credit Evaluation). These companies underwent IPO in 2000, a year from which the Korean economy started to recover after the outbreak of the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We examine the survival rate of these companies from 2000 to 2012.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업의 장기생존 (long-term business survival, LBS)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략경영에서의 기존연구는 주로 다각화, 혁신, 선발자 우위, 지배구조 등이 LBS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LSB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론적 배경으로 RBV와 institutional theory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LBS에 미치는 요인으로 slack resource와 corporate giving을 제시하며, 두 이론(RBV, institutional theory)은 slack resource와 corporate giving이 가지는 효과에 각각 설명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상호 보완적임을 확인하고 통합적 시각을 제시하는 가설을 제시한다. LBS에 대해 slack resource와 corporate giving의 slack resource에 대한 mediating 및 moderating effect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서 생존분석을 도입하였고, 한국신용정보(NICE)가 제공하는 KISVALUE 데이터를 통해 IMF 위기 후 안정기의 시작을 2000년으로 보고 이 시점에 상장된 기업 455개 기업의 2012년까지 생존을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우선, 여유자원는 외부환경 변화에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조직역량이다. 따라서 여유자원이 흔들리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기업이 정규화(routine)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의 장기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무엇보다 기업의 일차적 목적인 경제적 성과를 달성하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다. 둘째, 경쟁기업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방식보다 경영자는 실제로 기업 내부에서도 외부에서도 존경을 받을 수 있는 기업의 사회 기부르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흔히 기업의 사회기부와 같은 자선적 활동은 주로 모방적 동형화에 의해서 실행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기업의 아이덴티티가 없는 사회로의 일방향적 기여는 사회로부터 올바른 인식을 받기가 힘들다. 셋째, 여유자원을 만들기 위한 1차적 노력이 성공한다면 경영자는 기업의 사회기부의 일정부분을 사회와 공유하는 방식과 공동으로 함께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지녀야 한다. 다시 말해서, 기업의 이미지 메이킹이나 명성에 어떠하나 영향을 미칠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그 이유는 유아자원이 높아지면 주주들은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이익을 일정부분 가져가지만 주주는 이윤 창출 과정에 대한 감시자 역할을 하므로 해당 기업이 속해 있는 사회로의 기여를 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대와 실질적인 해소정도가 차이가 클수록 기업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청렴한 이미지나 사회적 책임의 명성정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 색인어
  • 장기생존, 자원준거관점, 여유자원, 생존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