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철학적 비유와 상징 : 17세기 조선조 지식인의 사유모형과 통합적 세계관 연구
The philosophical metaphors and symbols : A study on the thinking model and integral world view in the 17th Chosun Dynasty’s schola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211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승영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7세기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다양한 사유체계들을 비유와 상징이라는 도구를 통해 들어다 보고자 한다. 우리가 표피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17세기 철학사를 재단할 때와는 다르게, 그들의 문집 속에는 비유와 상징이라는 형상사유를 통해 통합적 세계관을 지향하고 회통적 세계관을 추구하는 모습들이 나타난다. 이것은 17세기 조선조 지식인들이 통합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17세기라는 시대의 강을 건너고자 했던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학설에서 한 발 비켜서서 직접 텍스트를 독해함으로써 17세기 조선조 지식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통합적 세계관을 드러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7세기 조선조 지식인들의 비유와 상징을 통한 철학적 전개과정의 의미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는 조선철학사를 재정립하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유가의 다양한 학문적 분파가 파생된 이유는 다름 아닌 비유와 상징을 통해 표상된 경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가 지식인들과 도가적 세계관을 지닌 지식인들도 유가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이해한 비유와 상징을 또 다른 비유와 상징으로 풀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비유와 상징은 언어적 한계에서 비롯된 만큼 비유와 상징은 또 다른 비유와 상징을 낳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연구요약
  • 17세기 지식인들의 사유모형을 분석해 본바 유,불,도 전통의 사유모형이 드러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비유하고 있는 사례를 통해볼 때 17세기 조선조 유가 · 도가 · 불가의 지식인들의 사유구조는 많은 부분에서 서로 소통융합하고 있는 점이 분석된다. 이런 점에서 당시 지식인들의 사유구조를 통합적인 사유모형으로써 체계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7세기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다양한 사유체계들을 비유와 상징이라는 도구를 통해 연구해 보았다. 우리가 표피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17세기 철학사를 재단할 때와는 다르게, 그들의 문집 속에는 비유와 상징이라는 형상사유를 통해 통합적 세계관을 지향하고 회통적 세계관을 추구하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이것은 17세기 조선조 지식인들이 통합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17세기라는 시대의 강을 건너고자 했던 것을 입증한다.
    17세기 조선조 지식인들의 비유와 상징을 통한 철학적 전개과정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의 다양한 학문적 분파가 파생된 이유는 다름 아닌 비유와 상징을 통해 표상된 경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교 지식인들과 도교적 세계관을 지닌 지식인들도 유교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이해한 비유와 상징을 또 다른 비유와 상징으로 풀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비유와 상징은 언어적 한계에서 비롯된 만큼 비유와 상징은 또 다른 비유와 상징을 낳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7세기 지식인들의 사유모형을 분석해 본바 유교, 불교, 도교 전통의 사유모형이 드러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비유하고 있는 사례를 통해볼 때 17세기 조선조 유교 • 도교 • 불교의 지식인들의 사유구조는 많은 부분에서 서로 소통융합하고 있는 점이 분석되었다. 이런 점에서 당시 지식인들의 사유구조를 통합적인 사유모형으로써 체계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researched various thinking process through metaphors and symbols which was intellectuals pursued in 17th Chosun Dynasty. It is different from when we studied the theory of 17th philosophy, compared that it showed up the philosophical theory aimed to integrating view of the world by metaphors and symbols in thinking of their anthology on surface. It proves that intellectuals tried to pass the 17th Chosun Dynasty based on integrating view of the world.
    It is as in the following that how to look into a meaning of philosophical development process through metaphors and symbols of 17th Chosun Dynasty’s scholars.
    Firs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reason why many academic factions of Confucianism were derived started with a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represented scripture by metaphors and symbols.
    Al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Buddhism scholars and Taoism scholars interpreted metaphors and symbols which they understood by themselves as another metaphors and symbols just like Confucianism scholars.
    Because metaphors and symbols began with language limitations and therefore metaphors and symbols had nothing to do but bring about another metaphors and symbols
    In analysis of private models of 17th scholars, there were traditional private model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rough many metaphoric cases, it was analyzed that private models of Confucianism scholars, Buddhism scholars, and Taoism scholars communicated each others in many parts.
    In this regard, the scholars of those days were able to draw private models into integrated private models systematical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7세기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다양한 사유체계들을 비유와 상징이라는 도구를 통해 연구해 보았다. 우리가 표피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17세기 철학사를 재단할 때와는 다르게, 그들의 문집 속에는 비유와 상징이라는 형상 사유를 통해 통합적 세계관을 지향하고 회통적 세계관을 추구하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이것은 17세기 조선조 지식인들이 통합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17세기라는 시대의 강을 거너고자 했던 것을 입증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 철학을 대중화하려는 작업으로써 17세기 조선조 철학 사상에 등장하는 다양한 철학적 개념들을 현대화 또는 대중화하려는 시도였고 이것이 어느 정도 완성되었다. 기존의 선행 연구는 지식인들의 문집 내용을 성리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철학적인 특징과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집에 보이는 ㅂ유적 ㅅ유 체계 속에 나타난 유, 불, 도의 비유와 상징들을 추출하여 지식인의 사유모형을 찾아보는 것이 독창성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비유와 상징의 모형을 찾아 분석한 결과 회통적 세계관과 통합적 지향성이 입증되었다. 그래서 향후 철학적 지형도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7세기 조선조 철학사의 연구에 있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색인어
  • 상징. 비유. 통합. 회통. 유교. 불교. 도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