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수는 명대 심의수 사를 대상으로 하여 사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사는 술자리의 오락용으로 창작되다 北宋에 이르러 사대부들의 생각과 감정을 노래하는 서정용으로 창작되었다. 시와 유사한 이러한 효용성은 명대 이르러서도 지속된다. 명대 유행한 ...
본 연수는 명대 심의수 사를 대상으로 하여 사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사는 술자리의 오락용으로 창작되다 北宋에 이르러 사대부들의 생각과 감정을 노래하는 서정용으로 창작되었다. 시와 유사한 이러한 효용성은 명대 이르러서도 지속된다. 명대 유행한 花間集과 草堂詩餘의 영향으로 인해 五代와 北宋詞 풍의 사들이 창작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대의 정치적 상황과 사회문화적 상황이 반영되면서 사는 서서히 변모하기 시작한다. 특히 明末淸初 여성사가 대거 등장하면서 창작방식, 창작목적 등 여러 변화가 생기는데, 이중 창작목적은 여성사의 창작상황이 남성문인과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여성사의 창작은 남성문인처럼 문장력을 인정받거나 사회적인 교유관계를 넓히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목적의식 없이 사를 짓는 것은 사에 대한 새로운 효용성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여성사의 효용성이 밝혀지면 명대 새로 생겨난 사의 효용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의 명사의 효용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수에서는 명대 여성사를 대표하는 심의수 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명대 여성문인이 어떤 목적으로 사를 창작하고 어떤 효과를 얻었는지 그 효용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明詞의 효용성을 기반으로 당시 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하겠다.
기대효과
첫째, 명대 여성의 정서적 취향과 사유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명대 가족문화를 비롯한 여성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명대 여성사의 효용성을 근거로 하여 명사의 효용성을 규명할 수 있다. 넷째, 송대에서 청대로 이어지는 詞史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다 ...
첫째, 명대 여성의 정서적 취향과 사유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명대 가족문화를 비롯한 여성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명대 여성사의 효용성을 근거로 하여 명사의 효용성을 규명할 수 있다. 넷째, 송대에서 청대로 이어지는 詞史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조선의 여성사 연구에 학문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여섯째, 여성작가의 생애를 고증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연구요약
첫째, ‘개인서정’ 면에서 본 사의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명대 여성사는 명대 여성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명대 여성문인은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여성으로서의 삶을 준수해야만 했다. 심의수 또한 명대여성으로서의 삶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틈틈 ...
첫째, ‘개인서정’ 면에서 본 사의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명대 여성사는 명대 여성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명대 여성문인은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여성으로서의 삶을 준수해야만 했다. 심의수 또한 명대여성으로서의 삶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틈틈이 사를 창작하였다. 이로 인해 이별과 그리움이라는 내용과 주제 면에선 이전 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창작동기와 배경 면에선 명대 여성의 삶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창작동기와 배경 면에서 이러한 명대적인 특성은 사의 기능과 효용성, 사에 대한 인식 면에서 이전과 다른 차이를 형성하였을 것이다. 이에 심의수의 개인감정을 노래하고 있는 사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사가 개인에게 어떤 기능과 효용성이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가족교유’ 면에서 본 사의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심의수 가족은 오강 심씨와 엽씨 양대 문학세가의 결합으로서 명대 문학세가를 대표한다. 심의수는 남편 엽소원과 끊임없이 창화하였으며, 엽환환, 엽소환, 엽소란의 세 딸들과 시사를 주고받으며 교유하였고, 나머지 가족들과도 항상 시사를 주고받으며 대화하였다. 이러한 가족 간의 소통과 교유는 심의수의 사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있다. 또한 친정 심씨 집안의 沈自徵(1591-1627), 沈自炳(1602-1645), 張倩倩(1594-1627) 등과 교유한 것도 적지 않다. 이처럼 사가 가족이긴 하지만 성별을 초월한 소통과 교유에 활용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송대에는 주로 남성문인간의 소통과 교유에 사가 활용되었고, 안부를 묻는 서신으로서의 기능 또한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셋째, ‘문화 활동의 기억’ 면에서 본 사의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심의수 사에는 명대의 다양한 문화 활동이 반영되어 있다. 다양한 세시풍속, 여성들의 술 문화, 종교참배를 위한 여행, 죽은 이에 대한 애도 등 다양한 명대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심의수 사에 나타난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명대 사의 효용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고는 명대 문학세가를 대표하는 오강 심씨 집안의 여성문인 심의수의 사문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성사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심의수 사에 나타난 여성사의 효용성은 다음의 세 측면에서 파악된다. 첫째 개인서정의 측면에서 심의수는 명대를 살아가는 한 여 ...
본고는 명대 문학세가를 대표하는 오강 심씨 집안의 여성문인 심의수의 사문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성사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심의수 사에 나타난 여성사의 효용성은 다음의 세 측면에서 파악된다. 첫째 개인서정의 측면에서 심의수는 명대를 살아가는 한 여성으로서 지니는 보수적인 여성의 모습과 더불어 이러한 시대적 한계를 뛰어넘는 여성자의식을 표출하였다. 둘째, 가족 교유의 측면에서 심의수는 일상생활 속에서 사를 통해 남편 엽소원, 딸 엽환환, 엽소환, 엽소란, 아들 엽섭과 끊임없이 교유하였으며, 친정 오강 심씨 집안의 沈自徵(1591-1627), 沈自炳(1602-1645), 張倩倩(1594-1627) 등과 빈번하게 교유하였다. 이러한 가족교유는 문학세가가 문단의 중심이 되었던 명대의 시대적 특성을 보여준다. 셋째, 문화 활동의 기억 면에서 심의수는 명대 다양한 절기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시뿐만 아니라 사에서도 노래하였다. 특히 칠석 같은 여성적 절기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어 명대 여성문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사대부여성들의 음주문화, 종교참배, 애도 등 다양한 명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영문
There were many women writers in Ming-dynasty, Shen Yixiu represented them. She wrote 190 Ci, the number is considerable. But women’s writing wasn’t considered being useful. Women couldn’t sit for the examinations and they had no opportunity to serve ...
There were many women writers in Ming-dynasty, Shen Yixiu represented them. She wrote 190 Ci, the number is considerable. But women’s writing wasn’t considered being useful. Women couldn’t sit for the examinations and they had no opportunity to serve in office. So women writers wrote Ci-poetry just for themselves. They just wrote their emotions and thoughts, family life, culture activities in Ci-poetry. Shen Yixiu also wrote Ci poetry by those reasons. First Shen Yixiu wrote her own emotions and thought. occasionally self-consciousness were revealed in her Ci poetry. Second Shen Yixiu wrote Ci poetry with her husband, three daughters, one son, two brothers, sister in law together. This phenomenon occurred in Jiangnan regonal society in Ming dynasty, it called ‘Literature family group’. Shen Yixiu’s Ci poetry reflected this ‘Literature family group’. Third, Shen Yixiu performed a role as a wife, mother in her family. So she prepared to observe holidays every year, went to worship at a Buddhist temple and so on. Her Ci poetry were reflected those activiti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고는 명대 문학세가를 대표하는 오강 심씨 집안의 여성문인 심의수의 사문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성사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심의수 사에 나타난 여성사의 효용성은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된다. 즉 개인서정, 가족교유, 문화 활동의 기억이라는 세 측면에서 ...
본고는 명대 문학세가를 대표하는 오강 심씨 집안의 여성문인 심의수의 사문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성사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심의수 사에 나타난 여성사의 효용성은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된다. 즉 개인서정, 가족교유, 문화 활동의 기억이라는 세 측면에서 사를 짓고 감상하였던 것이다. 첫째 개인서정의 측면에서는 심의수는 명대를 살아가는 한 여성으로서 지니는 보수적인 여성의 모습과 더불어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는 여성자의식을 표출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여성상을 고수해가는 한편 문학여성, 지식여성으로서 느낄 수밖에 없는 여성자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심의수 사는 이러한 자의식의 내면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둘째, 가족 교유의 측면에서 심의수는 일상생활 속에서 사를 통해 남편 엽소원, 딸 엽환환, 엽소환, 엽소란, 아들 엽섭과 끊임없이 교유하였으며, 친정 오강 심씨 집안의 沈自徵(1591-1627), 沈自炳(1602-1645), 張倩倩(1594-1627) 등도 빈번하게 교유하였다. 이처럼 사를 통해 남편 이외의 가족들, 즉 아들, 딸, 친정동생, 친정올케 등 다양한 인물들과 교유한 것은 여성문인이 대거 등장한 명대이기에 가능한 문화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명대 이전의 사가 남성문인들의 술자리에서 주로 오락적으로 활용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는 새로 생긴 사의 효능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화 활동의 기억 면에서 심의수는 명대 다양한 절기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시뿐만 아니라 사에서도 노래하였다. 특히 칠석 같은 여성적 절기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어 명대 칠석문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여성들의 술 문화, 종교참배를 위한 여행, 죽은 이에 대한 애도 등 다양한 명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이에 심의수 사는 명대 문화 활동을 반영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심의수 사의 효용성은 개인서정, 가족교유, 문화 활동의 기억이라는 세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심의수 사에 나타난 개인서정은 주로 계절로 인한 자신의 슬픔을 노래하거나 식물적 이미지를 통해 자신을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명대 다른 여성사도 마찬가지다. 명 ...
심의수 사의 효용성은 개인서정, 가족교유, 문화 활동의 기억이라는 세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심의수 사에 나타난 개인서정은 주로 계절로 인한 자신의 슬픔을 노래하거나 식물적 이미지를 통해 자신을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명대 다른 여성사도 마찬가지다. 명대 정원문화가 발달하면서 전에 비해 여성들이 계절의 변화를 보다 쉽게 알아차리고, 정원에 심어진 다양한 식물들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덕분이다. 이를 통해 심의수로 대표되는 명대 문학여성들의 정서적 취향과 사유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가족교유를 통해서는 명대 가족문화와 더불어 가족 내 여성들의 문화 활동을 살펴볼 수 있다. 심의수 가족은 오강을 대표하는 문학세가로 가족 구성원들의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 문학적 교유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학세가는 특히 강남지방을 중심으로 많이 출현하였는데, 나중에는 명대 사회 전반에 걸친 추세가 되었다. 집안의 문학여성과 교유하고 이들의 작품을 출판하여 문집으로 보관하며 다른 집안의 문학여성과 활발하게 교유하는 등, 문학세가의 가족문화는 명대 사회의 가장 큰 트렌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문화 또한 전례 없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여성의 사회문화적 지위도 동반 상승하였다. 심의수 사에 나타난 가족교유를 통해 이러한 명대 사회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문화 활동의 기억 면을 통해서는 명대 여성 문화와 여성의 사회문화적 지위를 가늠해볼 수 있다. 심의수는 시어머니를 보필하고 8남5녀의 자녀들을 키워내면서 틈틈이 문학 활동을 하였다. 특히 20년 동안 집을 비운 남편 때문에 집안 행사나 자녀교육 등은 그녀에 의해 유지되었다. 따라서 그녀의 사에는 한 해 동안 치러야할 명절과 집안 행사, 자녀들과의 문화행사 참여 등이 많이 노래되어 있다. 이를 통해 명대 여성들의 명절 문화, 종교 활동, 집안행사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여성의 사회문화적 지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심의수 사의 효용성은 명대 여성사뿐만 아니라 명대 사의 효용성을 파악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그밖에 심의수 사의 효용성 연구는 명대 여성작가의 생애를 고증하는 데 새로운 연구방법이 될 수 있다. 사실 명대 여성문인의 생애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胡文楷의 歷代婦女著作考가 여성문인의 생애를 고증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인데, 이 책은 여성문집의 서발문 등을 통해 여성문인의 생애를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서발문 자료를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사의 題序와 내용을 보충한다면, 여성문인의 생애를 보다 구체적으로 고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대 여성사의 출현은 조성 여성 문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문학여성을 숭상하는 집안의 분위기, 여성문인을 중시하는 문단의 분위기 등은 조선통신사를 통해 곧바로 조선 문단에 전해지는데, 조선 문단의 발전 추세와 아울러 조선 여성문인의 출현과 여성문인 結社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게 된다. 조선 여성문학에 대한 연구는 국내의 명대 여성문학 연구에 비해 많이 진척되었지만, 명대 여성문학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통해 그동안 나온 조선 여성문학에 대한 연구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