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생활무용 학습 후 국제 댄스대회경험을 통한 진지한 여가로의 형성과정을 근거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유방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무용학습은 유방암 생존자들의 삶을 향상시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생활무용 학습 후 국제 댄스대회경험을 통한 진지한 여가로의 형성과정을 근거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유방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무용학습은 유방암 생존자들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중 하나이며 이와 관련된 자료형성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한 유방암환자들의 생활무용을 통한 국제대회경험이 진지한 여가로의형성과정을 통하여 많은 유방암환자 및 다른 질병의 환우들에게도 일상의 긍정적인 여가문화의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앞으로 진행 될 유방암 및 다른 암환자 관련분야의 여가 ...
본 연구를 통한 유방암환자들의 생활무용을 통한 국제대회경험이 진지한 여가로의형성과정을 통하여 많은 유방암환자 및 다른 질병의 환우들에게도 일상의 긍정적인 여가문화의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앞으로 진행 될 유방암 및 다른 암환자 관련분야의 여가경영, 여가문화연구의 선행 자료로서 활용도 높은 연구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정된 영역의 연구로 향후 다양한 모든 암환자를 대상으로 고려한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요약
중증 질환자의 많은 경우 스포츠를 행할 수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나 질환을 겪고 건강을 회복 중인 혹은 이미 회복한 경우라면 스포츠에 대한 그들의 관심은 지대하다. 그 중에서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생활스포츠가 일반인과는 다른 의미로 일상에 루틴이 될 수 있다. 본 ...
중증 질환자의 많은 경우 스포츠를 행할 수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나 질환을 겪고 건강을 회복 중인 혹은 이미 회복한 경우라면 스포츠에 대한 그들의 관심은 지대하다. 그 중에서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생활스포츠가 일반인과는 다른 의미로 일상에 루틴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생활무용 학습 후 국제 댄스대회경험을 통한 진지한 여가로의 형성과정을 근거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유방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 선정은 비확률 표집방법 중 의도적인 목적을 갖고 표집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댄스수업에서 함께 팀을 이루어 참여하고 있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존에 연구자가 봉사를 바탕으로 진행해 오던 참여자들을 선정함으로써 라포형성이 되어있고, 개별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을 실시할 예정이며, 1회 인터뷰시 30분가량 총 2회에서 3회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제대회의 출전과 효과에 대하여 목적으로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을 사용하여 지속적 비교방법(constant comparison)을 통한 탐색과 개방 코딩- 축 코딩—선택적 코딩의 과정을 통하여 유방암 환자들의 생활무용경험이 국제대회 경험을 통하여 진지한 여가로써 자리잡아 가는것에 대해 이론적 틀을 명확하게 구성하고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무용학습은 유방암 생존자들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중 하나이며 이와 관련된 자료형성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들의 국제댄스대회의 경험의 효과와 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유방암 환자들이 댄스대회를 통해 갖게 되는 효과와 그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사회화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들의 국제댄스대회의 경험의 효과와 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유방암 환자들이 댄스대회를 통해 갖게 되는 효과와 그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사회화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들을 마련하는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총 7명의 연구참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범주와 16개의 하위범주가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유방암 환자들은 대회와 무대라는 공간을 통하여 희열과 쾌감을 통해 마음의 소란을 경험하며 주관적인 만족 상태가 지속되었다. 또한 자신의 인생과 일상에 질적 수준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빈도수가 잦아지고 그 정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빈도를 높여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some effective ways of leisure through grounded theory by searching the effects and process of international dance competi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This is because it can be good documents for resocializa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some effective ways of leisure through grounded theory by searching the effects and process of international dance competi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This is because it can be good documents for resocialization or finding ways of enhancing quality of life by analyzing the effect and process of dancing contest of breast cancer patients. For this research we did in-depth interview on 7 patients. The results were cleared out with 6 upper categories and 16 lower categories. Breast cancer patients takes this as a opportunit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ental status. Breast cancer patients considers the stage and the competition to enhance their mood and achieve bliss. Furthermore, the patients have achieved to think in more positive ways.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increase the amount of competitions and programs that they are allowed to joi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들의 국제댄스대회의 경험의 효과와 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유방암 환자들이 댄스대회를 통해 갖게 되는 효과와 그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사회화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들의 국제댄스대회의 경험의 효과와 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여가방법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유방암 환자들이 댄스대회를 통해 갖게 되는 효과와 그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사회화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들을 마련하는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총 7명의 연구참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범주와 16개의 하위범주가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유방암 환자들은 대회와 무대라는 공간을 통하여 희열과 쾌감을 통해 마음의 소란을 경험하며 주관적인 만족 상태가 지속되었다. 또한 자신의 인생과 일상에 질적 수준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빈도수가 잦아지고 그 정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빈도를 높여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유방암 환자자들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 있다. 유방암환자에 대한 횡단적인 여가생활관련 연구는 많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여성성에 관한 재발견과 그러한 과정으로 해소되는 면면을 다각도로 바라보며 유추할 수 있다. 이색적인 ...
유방암 환자자들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 있다. 유방암환자에 대한 횡단적인 여가생활관련 연구는 많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여성성에 관한 재발견과 그러한 과정으로 해소되는 면면을 다각도로 바라보며 유추할 수 있다. 이색적인 대회경험을 체험하며 여성성 표출 과정을 통해 내적 권위 상승과 주목받는 무대의 희열과 퍼포먼스를 통한 해소작용 그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가치에 대한 생각의 변화가 암에대한 사고의 축소로 이어지며 삶의 질이 향상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는 바이다. 또한 그런 심리적 변화로 주변 대인관계에 소통의 폭이 넓어짐으로 정서친밀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방암 여자환자들의 여성성을 재생시켜주고 여가생활을 통한 정서적, 심리적 표출이 중요요소임을 인식하여 여가활동의 참여과정에서 여성성이 표현되는 과정으로의 접근과 그러한 부분들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이 장기적으로 사회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