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Kano 모델을 이용한 프로스포츠 구단의 SNS(Social Network Site) 품질 측정 및 평가 – 프로농구 구단을 대상으로 -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 Sports Team's SNS(Social Network Site) Quality Based on Kano Model - a Case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0860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전찬수
연구수행기관 남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소비자를 위한 SNS 품질의 정밀한 측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SNS 품질과 만족도, 신뢰, 충성도, 지속사용의도, 재구매의도 등과의 구조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적인 연구모형 검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김대진, 2011; 김동준, 황대욱, 2012; 김상혁, 양재훈, 2012; 김영민, 2012; 박현지, 최정순, 정해욱, 김영하, 2012; Hur, Ko, & Valacich, 2011). 즉, 스포츠소비자행동론(sport consumer behavior)의 관점에서 볼 때 스포츠 프로포티(sport property)인 프로구단과 팬들 사이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에서 SNS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상호 우호적이고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검증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실질적인 SNS 품질의 측정 및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SNS 품질요인 중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팬들의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과제에서는 프로스포츠 구단의 SNS 품질을 보다 정교하게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Kano 모델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4대 프로스포츠 중 하나인 프로농구 구단의 SNS 품질을 측정하고 품질요소를 평가하여 프로농구 구단에게 팬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SNS 품질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는 프로스포츠 구단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써 SNS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검증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SNS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의 연구이다. 즉, 프로스포츠 구단의 SNS 품질요인 중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팬들의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Kano 모델을 이용하여 보다 정교하게 측정 및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로는 스포츠경영(sport management) 연구영역에서 스포츠조직(sport organization)의 SNS 품질을 측정 및 평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sport marketing communication) 분야의 새로운 학문적 영역을 개념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프로스포츠 구단과 팬들 사이의 효율적인 관계구축이 가능한 SNS 활동을 통해 팬들의 요구사항을 빠르고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SNS 품질의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어 팬 중심의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SNS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유용한 자료를 프로스포츠 구단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국내 스포츠산업의 핵심 분야인 프로스포츠 구단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SNS(Social Network Site)의 품질(quality)을 Kano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팬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SNS 품질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프로스포츠 구단에서 보다 팬 친화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프로농구 시장의 현황에 따라 프로농구 리그의 경기일정을 고려하여 경기장을 직접 방문 후 팬들의 SNS 품질에 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할 것이다.
    를 위해 첫 번째로 프로농구 구단의 SNS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조사ㆍ분석하여 SNS 품질요소에 관한 설문 문항을 구성한 후 7명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프로농구 구단 프런트 2명, 스포츠경영 및 마케팅 학자 3명, SNS 전문가 2명) 회의를 통하여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검증을 실시 할 것이다. 그 후 예비조사(pilot study)를 통한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검증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완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프로농구 경기가 열리는 경기장에 직접 방문하여 SNS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팬 500명을 대상으로 프로농구 구단의 SNS 품질 측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로는 설문조사를 Kano 모델을 이용하여 프로농구 구단의 SNS 품질요소를 분류 및 평가하고, Timko의 고객만족계수(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여 평가함으로써 SNS 품질을 평가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국내 스포츠산업의 핵심 분야인 프로스포츠 구단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SNS(Social Network Site)의 품질(quality)을 Kano 모델을 이용하여 팬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SNS 품질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프로스포츠 구단에서 보다 팬 친화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프로농구 시장의 현황에 따라 프로농구 리그의 경기일정을 고려하여 경기장을 직접 방문 후 500명의 팬들을 대상으로 SNS 품질에 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500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22부를 제외한 47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Kano 모델을 이용하여 프로농구 구단의 SNS 품질요소를 분류 및 평가하고, Timko의 고객만족계수(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여 평가함으로써 SNS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원적 품질은 ‘카테고리 지원’, ‘접속 이용 용이’, ‘오류 다운 오작동’, ‘콘텐츠 생성 편집’, ‘24시간 접속 이용’, ‘PC, 모바일 이용 지원’, ‘웹사이트 링크’, ‘콘텐츠 인터페이서’, ‘URL 도달시간’, ‘사용 용이성’, ‘지식보유 및 신뢰’, ‘문제점 보상’ 등의 1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당연적 품질은 ‘충분한 정보제공’, ‘정보의 이해정도’,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의 검색’, ‘정보의 정확성’ 등 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력적 품질요소는 ‘기밀정보 보호’ 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the result from SNS(Social Network Sites) quality factors by using the Kano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nalysi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fessional sports team’s efficient and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00 spectators who attended a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and were selected from basketball stadiums from across South Korea. In total 478 survey data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excluding did not respond or had a trustless response.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among a total of 18 SNS quality factors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First, 12 quality factors were regarded as a one dimensional quality attributes. Second, 5 quality factors were must-be quality attributes. Third, 1 quality factor was considered a attractive qua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국내 스포츠산업의 핵심 분야인 프로스포츠 구단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SNS(Social Network Site)의 품질(quality)을 Kano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팬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SNS 품질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프로스포츠 구단에서 보다 팬 친화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프로농구 시장의 현황에 따라 프로농구 리그의 경기일정을 고려하여 경기장을 직접 방문 후 팬들의 SNS 품질에 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Kano 모델을 이용하여 프로농구 구단의 SNS 품질요소를 분류 및 평가하고, Timko의 고객만족계수(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여 평가함으로써 SNS 품질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카테고리 지원’, ‘접속 이용 용이’, ‘오류 다운 오작동’, ‘콘텐츠 생성 편집’, ‘24시간 접속 이용’, ‘PC, 모바일 이용 지원’, ‘웹사이트 링크’, ‘콘텐츠 인터페이서’, ‘URL 도달시간’, ‘사용 용이성’, ‘지식보유 및 신뢰’, ‘문제점 보상’ 등의 12개 항목이 일원적 품질로 분류되었다. 당연적 품질요소로 분류된 항목은 모두 5개로 ‘충분한 정보제공’, ‘정보의 이해정도’,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의 검색’, ‘정보의 정확성’ 등으로 나타났다. 매력적 품질요소는 ‘기밀정보 보호’ 1개 항목이 이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카테고리 지원’, ‘접속 이용 용이’, ‘오류 다운 오작동’, ‘콘텐츠 생성 편집’, ‘24시간 접속 이용’, ‘PC, 모바일 이용 지원’, ‘웹사이트 링크’, ‘콘텐츠 인터페이서’, ‘URL 도달시간’, ‘사용 용이성’, ‘지식보유 및 신뢰’, ‘문제점 보상’ 등의 12개 항목이 일원적 품질로 분류되었다. 이들 속성은 프로농구 경기장을 방문한 팬들이 항상 원하고 있는 SNS 품질 속성으로 성과수준에 따라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당연적 품질요소로 분류된 항목은 모두 5개로 ‘충분한 정보제공’, ‘정보의 이해정도’,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의 검색’, ‘정보의 정확성’ 등으로 나타났다. 이 항목들은 충족되면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여 만족을 주지는 못하지만 만약 충족이 되지 않으면 불만을 주는 품질요소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마땅히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품질요소를 말한다. 매력적 품질요소는 고객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며 고객감동의 원천이 되는 품질요소로 타 프로스포츠 또는 같은 프로농구 구단과 차별화를 확보할 수 있는 주문획득 인자(order winner)로 작용할 수 있는 품질요소를 말하며 ‘기밀정보 보호’ 1개 항목이 이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농구 팬이 기대하지 못했던 것을 충족시켜 고객의 기대를 초과하는 만족을 줄 수 있는 품질요소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프로스포츠 구단의 SNS 품질요인 중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팬들의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Kano 모델을 이용하여 보다 정교하게 측정 및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로는 스포츠경영(sport management) 연구영역에서 스포츠조직(sport organization)의 SNS 품질을 측정 및 평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sport marketing communication) 분야의 새로운 학문적 영역을 개념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프로스포츠 구단과 팬들 사이의 효율적인 관계구축이 가능한 SNS 활동을 통해 팬들의 요구사항을 빠르고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SNS 품질의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어 팬 중심의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SNS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유용한 자료를 프로스포츠 구단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프로농구 구단, Kano 모델, SNS, 품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