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지 허버트의 『성전』과 그의 기독교관 연구
The Study on George Herbert's 『The Temple』 and his View of the Christian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0547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황지인
연구수행기관 배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허버트는 『성전』을 ‘교회 현관’, ‘교회’, ‘교회 군대’의 3부분으로 나누어 종교적 주제를 구체화한다. 이 세 부분은 교회의 물리적 ․ 영적 공간 이동을 동시에 의미한다. ‘교회’라는 표제로 묶인 시편들 앞에 배치된 ‘교회 현관’은 ⌜잠언⌟과 같이 신자들의 도덕적 성숙을 권고하는 교훈시들로 구성된다. 허버트는 ‘교회’ 부분에서 인간의 구원 ․ 갈등 ․ 회복의 문제를 제시하면서 보편적인 인간 삶의 실존적 고뇌를 신의 개입으로 극복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며 신과 인간의 관계를 정립한다. 신의 지상 명령이자 기독교의 궁극적인 목표인 세계복음화를 강조하기 위해 허버트는 『성전』의 결론부분으로 ‘교회 군대’를 배치한다. “교회 승리자들(Church Triumphants)”을 바라보며 나아가는 군대를 그리고 있는 ⌜교회 군대⌟는 “제도로서의 교회가 인류역사에서 어떤 방향성을 갖고 심판의 날까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가를 서술”(백정국 264)하고 있다.
    ⌜교회 군대⌟가『성전』의 구조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종종 제기되어 왔다. 많은 비평가들은 이 시를 단순히 무시하거나 한 온전한 전체로서의『성전』에서 분리된 것으로 여긴다. 마츠(Martz)는 “확실히 첫 번째 두 부분은 마지막 두 부분보다 훨씬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교회 군대」는 이전 시들의 부록으로 쓰려한 것처럼 보인다”(289)라고 평가하고 있고, 피쉬(Fish)는 “보들리언도서관과 윌리엄스도서관본에 근거하여「교회 군대⌟의 한 원고는 하나의 빈 페이지로, 다른 원고는 5장의 빈 페이지로 분리된 채 이전의 시들과 떨어져 있다”(142)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루비(Rubey)와 스튜어트(Stewart), 그리고 맬콤슨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반대의 입장을 취한다. 루비는 ⌜고통⌟(“Affliction”) 시편들의 발전 과정을 『성전』의 구조적 전형으로 간주하면서, “개인의 회심의 역사를 나타내는 ⌜교회 현관⌟이 교회의 상징적인 역사인 기독교인 집단의 맥락 속에서 해석되는 개인의 신앙 생활사를 나타내는 ‘교회’로, 또 거기서부터 전세계의 역사인 에덴동산에서 최후심판까지를 나타내는 ⌜교회 군대⌟로 진행해 나가는 과정이 성전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120)고 주장한다. 스튜어트는 “허버트가 ‘교회’에서 ⌜교회 군대⌟와 똑같은 주제를 다룬 시인⌜섭리⌟를 포함시킴으로써 ⌜교회 군대⌟에 대해 독자를 준비시켰고, ⌜교회 군대⌟가 부록처럼 보이지만 성전의 더 큰 시적 구조에 적절한 대단원”(107)이라고 주장한다. 맬콤슨의 주장에 따르면, “비평가들은 『성전』에 있는 아름다운 시들을 제국과 참된 교회가 서로 의존적인 ⌜교회 군대⌟의 기묘한 시각으로부터 떼어내려는 자신들의 바램에 대해 좀 더 회의적일 필요가 있다”(76).
    신의 궁극적인 계획은 세계복음화이고, 교회 군대가 되어 세계복음화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기독교에서 교회의 존재 이유이다. 그러므로 교회와 교회 군대는 분리될 수 없다. ⌜교회 군대⌟는 스튜어트의 말처럼『성전』의 부록이 아니라『성전』의 더 큰 시적 구조의 대단원이고, 따라서 성전의 결론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참된 교회를 통해 세계 복음화를 주장한 허버트의 우주적· 세계적 기독교관을 살펴볼 것이다. 그동안 국내외 대부분의 연구들은 『성전』의 주요구성요소 중 ‘교회’ 부분을 중심으로 인간의 영적갈등과 회복에 대해 즉 개인의 신앙 생활사적 측면을 다루었다면 교회의 세계화의 측면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였거나 부분적 또는 산발적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교회’ 부분에 편중되어 개인의 영적 성전을 세우는 허버트의 작업에 대부분 초점을 맞추어온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우주적이고 세계적인 영적 성전을 세우는 허버트의 작업을 면밀히 조사할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깊이 있게 연구되지 않았던 교회의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과거 ‧ 현재 ‧ 미래에 걸친 교회의 발전과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허버트의 우주적이고 세계적인 기독교관을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회’ 부분에서 세계 복음화의 전초기지인 참된 교회에 대한 염원을 다루는 시편들과 세계 복음화의 계획과 염원을 기초에 두고 있는 시편들을 연구하고 참된 교회를 바탕으로 세계 복음화를 향해 나아가는 ‘교회 군대’를 다루게 된다. 그 결과 그동안 종종 제기 되어 온, 그의 시 ⌜교회 군대⌟가 『성전』의 구조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연구와 더불어 해결될 것이다. 아울러 허버트의 시에 대한 재평가와 17세기 영시의 주요 분야의 주요 관심사들 중 하나인 기독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 문제를 좀 더 분명히 밝혀 보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신의 지상명령이자 그리스도인의 최종목표인 세계복음화는 교회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주제이다. 참된 교회를 통한 세계복음화에 대한 허버트의 기독교관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종교시의 한 핵심적인 주제를 새로운 측면에서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이 같은 결과는 그동안 학부 및 대학원에서 ⌜교회 ⌟부분에 편중한 개인의 신앙생활사적 주제들에 친숙 해 있는 학생들에게 허버트의 세계적인 기독교관 이라는 『성전』의 새로운 주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성전』전체에서 ⌜교회 군대⌟가 갖는 의의와 앞부분들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자극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익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히 취급된 『성전』에 나타난 세계적 기독교관에 대해 일관된 맥락에서 집중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허버트에 대한 균형 잡힌 재평가 및 종교시 연구의 확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허버트의 시에 나타난 교회의 세계화와 관련된 시편들, ⌜영국 교회⌟(“The British Church”), ⌜교회의 분열과 분파⌟(“Church-Rent and Schismes”), ⌜희생 제물⌟(“The sacrifice”), ⌜섭리⌟(“Providence”),「교회 군대」(“The Church-militant”)를 검토 할 것이다. ⌜교회의 분열과 분파⌟와 ⌜영국 교회⌟에서는 참된 교회에 대해, ⌜희생 제물⌟, ⌜섭리⌟ 그리고 「교회 군대」에서는 세계 복음화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1부 ‘참된 교회로서의 기독교’에서는 세계 복음화의 전초기지인 교회가 죄로 인해 더럽혀지지 않는 깨끗하고 거룩한 성전이 되어 신의 계획에 유용한 참된 교회가 되길 바라는 허버트의 염원에 초점을 맞추며 ⌜영국 교회⌟와 ⌜교회의 분열과 분파⌟의 시편들을 다룬다. ⌜영국 교회⌟에서 허버트는 부패한 카톨릭과 미개한 청교도를 비난하면서 “행복한 중도(via media)”(Ray 35)의 입장에서 참된 교회를 지향한다. 그는 교회의식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카톨릭을 지나치게 화려한 여성, 즉 지나치게 치장하고 “음탕하게” 행동하고 “유혹하는 요부로, 형식을 파괴해 버린 청교도를 옷을 입지 않은 단정치 못한 미개하고 원시적인 여성으로 비유하면서 이러한 극단적인 두 여성이 놓치는 “어머니의 찬미와 영광”을 강조한다. 그는 자신의 이점을 드러내기 위해 “성스러운 의식”의 옷을 걸친 어머니처럼 아름다운 중용을 지키며 우아하고 쾌적한 예배방식을 따르는 영국교회를 영국제국의 개신교의 최고의 모델로 제시한다. ⌜교회의 분열과 분파⌟에서는 신성한 교회에 외부의 죄의 세력이 침입해서 야기되는 교회의 타락과 부패, 분열과 분쟁을 다룬다. 허버트는 “화려했던 장미”, 즉 아름답게 빛나는 성전이었던 교회에 부패와 분열을 가져온 분파들을 “많은 발과 털”을 가진 벌레로 묘사한다. 화자는 어느 특정한 분파들이 아닌 이 모든 분파들이 교회의 부패에 책임이 있음을 암시하고 분열이 일어나게 한 교회의 리더십을 간접적으로 공격한다. 2부 ‘세계 복음화로서의 기독교’에서는 ⌜희생 제물⌟, ⌜섭리⌟ 그리고 「교회 군대」를 중심으로 신의 계획과 세계 복음전파에 대해 살펴본다. 전 세계의 구원을 위해 희생제물이 되는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다룬 ⌜희생 제물⌟은 시 전체에 인간 구속을 위해 자발적으로 고통을 당하며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신의 사랑과 죄와 영적 죽음에서 자신들을 구원하려는 신의 계획에 무지한 채 그리스도에게 고통을 가하려는, 영적으로 눈먼 인간의 증오가 대조되어 나타난다. 우주 만물의 기본 법칙인 신의 섭리를 다룬 ⌜섭리⌟는 우주 만물에 대한 신의 복음화 계획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은 그의 뜻에 따라 모든 우주 만물을 다스리며 그의 뜻을 아는 자들의 찬양과 영광을 받고 그들을 통해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간다. 섭리가 역사를 안내하는 내용을 다룬⌜교회 군대⌟는 동쪽에서 서쪽에 이르기까지 지구 전체로 이동하면서 청교도적 승리가 아닌, 참된 교회의 종말론적 움직임과 죄의 세력을 없애는 스페인 제국을 통해 유럽과 서인도를 연결시키면서 구약에서 새로운 율법시대를 통해 바로 종말까지의 역사 전체에 걸친 그리스도의 배우자 이야기를 기록한다.
    본 연구에서 인용한 허버트의 시와 산문은 F. E. Hutchinson (ed.), The Works of George Herbert (London: Oxford UP, 1941)에 따른 것으로 이후 인용문 뒤에 행수와 함께, W 로 약칭하여 쪽수를 표기하고, Hutchinson의 주석은 Hutchinson으로 약칭하여 쪽수를 표기한다. 교회의 청교도와 로마 카톨릭의 극한성, 신의 계획, 그리고 세계복음화를 다룬 연구서인 Stanley Stewart의 George Herbert. 〔Boston: Twayne Publishers, 1986〕, Cristina Malcolmson의 George Herbert: A Literary Life. 〔London: Palgrave Macmillan, 2004〕, Richard Strier의 Love Known: Theology and Experience in George Herbert's Poetry. 〔Chicago: The U of Chicago P, 1983〕를 참조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이『성전』의 ⌜교회 ⌟부분을 중심으로 개인의 신앙생활사적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세계화의 측면에 대한 연구가 소홀했었다. 본 연구는 세계복음화의 전초기지인 참된 교회와 관련된 시편들 그리고 ⌜교회 군대⌟ 에 초점을 맞추어 그리스도인의 최종목표인 세계복음화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개인의 신앙생활에 국한 되지 않은, 세계화에 대한 허버트의 기독교적인 시각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교회⌟ 와 ⌜교회 군대⌟가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이 증명될 것이다. 즉 ⌜교회 군대⌟가 『성전』의 구조에서 분리된 것이 아니라『성전』의 대단원이고 결론이라는 점을 더욱 명확히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허버트의 시에 나타난 교회의 세계화와 관련된 시편들, ⌜영국 교회⌟(“The British Church”), ⌜교회의 분열과 분파⌟(“Church-Rent and Schismes”), ⌜희생 제물⌟(“The sacrifice”), ⌜섭리⌟(“Providence”),「교회 군대」(“The Church-militant”)를 검토 할 것이다. ⌜교회의 분열과 분파⌟와 ⌜영국 교회⌟에서는 참된 교회에 대해, ⌜희생 제물⌟, ⌜섭리⌟ 그리고 「교회 군대」에서는 세계 복음화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1부 ‘참된 교회로서의 기독교’에서는 세계 복음화의 전초기지인 교회가 죄로 인해 더럽혀지지 않는 깨끗하고 거룩한 성전이 되어 신의 계획에 유용한 참된 교회가 되길 바라는 허버트의 염원에 초점을 맞추며 ⌜영국 교회⌟와 ⌜교회의 분열과 분파⌟의 시편들을 다룬다.
    ⌜영국 교회⌟에서 허버트는 부패한 카톨릭과 미개한 청교도를 비난하면서 “행복한 중도(via media)”(Ray 35)의 입장에서 참된 교회를 지향한다. 그는 교회의식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카톨릭을 지나치게 화려한 여성, 즉 지나치게 치장하고 “음탕하게” 행동하고 “유혹하는 요부로, 형식을 파괴해 버린 청교도를 옷을 입지 않은 단정치 못한 미개하고 원시적인 여성으로 비유하면서 이러한 극단적인 두 여성이 놓치는 “어머니의 찬미와 영광”을 강조한다. 그는 자신의 이점을 드러내기 위해 “성스러운 의식”의 옷을 걸친 어머니처럼 아름다운 중용을 지키며 우아하고 쾌적한 예배방식을 따르는 영국교회를 영국제국의 개신교의 최고의 모델로 제시한다.
    ⌜교회의 분열과 분파⌟에서는 신성한 교회에 외부의 죄의 세력이 침입해서 야기되는 교회의 타락과 부패, 분열과 분쟁을 다룬다. 허버트는 “화려했던 장미”, 즉 아름답게 빛나는 성전이었던 교회에 부패와 분열을 가져온 분파들을 “많은 발과 털”을 가진 벌레로 묘사한다. 화자는 어느 특정한 분파들이 아닌 이 모든 분파들이 교회의 부패에 책임이 있음을 암시하고 분열이 일어나게 한 교회의 리더십을 간접적으로 공격한다.
    2부 ‘세계 복음화로서의 기독교’에서는 ⌜희생 제물⌟, ⌜섭리⌟ 그리고 「교회 군대」를 중심으로 신의 계획과 세계 복음전파에 대해 살펴본다. 전 세계의 구원을 위해 희생제물이 되는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다룬 ⌜희생 제물⌟은 시 전체에 인간 구속을 위해 자발적으로 고통을 당하며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신의 사랑과 죄와 영적 죽음에서 자신들을 구원하려는 신의 계획에 무지한 채 그리스도에게 고통을 가하려는, 영적으로 눈먼 인간의 증오가 대조되어 나타난다.
    우주 만물의 기본 법칙인 신의 섭리를 다룬 ⌜섭리⌟는 우주 만물에 대한 신의 복음화 계획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은 그의 뜻에 따라 모든 우주 만물을 다스리며 그의 뜻을 아는 자들의 찬양과 영광을 받고 그들을 통해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간다. 섭리가 역사를 안내하는 내용을 다룬⌜교회 군대⌟는 동쪽에서 서쪽에 이르기까지 지구 전체로 이동하면서 청교도적 승리가 아닌, 참된 교회의 종말론적 움직임과 죄의 세력을 없애는 스페인 제국을 통해 유럽과 서인도를 연결시키면서 구약에서 새로운 율법시대를 통해 바로 종말까지의 역사 전체에 걸친 그리스도의 배우자 이야기를 기록한다.
    본 연구에서 인용한 허버트의 시와 산문은 F. E. Hutchinson (ed.), The Works of George Herbert (London: Oxford UP, 1941)에 따른 것으로 이후 인용문 뒤에 행수와 함께, W 로 약칭하여 쪽수를 표기하고, Hutchinson의 주석은 Hutchinson으로 약칭하여 쪽수를 표기한다. 교회의 청교도와 로마 카톨릭의 극한성, 신의 계획, 그리고 세계복음화를 다룬 연구서인 Stanley Stewart의 George Herbert. 〔Boston: Twayne Publishers, 1986〕, Cristina Malcolmson의 George Herbert: A Literary Life. 〔London: Palgrave Macmillan, 2004〕, Richard Strier의 Love Known: Theology and Experience in George Herbert's Poetry. 〔Chicago: The U of Chicago P, 1983〕를 참조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이『성전』의 ⌜교회 ⌟부분을 중심으로 개인의 신앙생활사적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세계화의 측면에 대한 연구가 소홀했었다. 본 연구는 세계복음화의 전초기지인 참된 교회와 관련된 시편들 그리고 ⌜교회 군대⌟ 에 초점을 맞추어 그리스도인의 최종목표인 세계복음화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개인의 신앙생활에 국한 되지 않은, 세계화에 대한 허버트의 기독교적인 시각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교회⌟ 와 ⌜교회 군대⌟가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이 증명될 것이다. 즉 ⌜교회 군대⌟가 『성전』의 구조에서 분리된 것이 아니라『성전』의 대단원이고 결론이라는 점을 더욱 명확히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dissertation aimed to examine Herbert’s poems related to the globalization of the church, such as “The British Church”, “Church-Rent and Schismes”, “The sacrifice”, “Providence”, and “The Church-militant”. Through “The British Church” and “Church-Rent and Schismes”, true church was examined and through “The sacrifice”, “Providence” and “The Church-militant”,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was dealt.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Christianity as the true church', the poems of “The British Church” and “Church-Rent and Schismes” are dealt, which reflected Herbert's hope that churches, as a base of global evangelization, would become clean and holy temples from sins and useful true churches.
    In “The British Church” , Herbert condemned the barbaric Puritans and corrupt Catholics and directed to the true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Happy mean (via media)" (Ray 35). He compared the Catholic Church's ceremony to excessively gorgeous woman, who was excessively showy and behaved "lasciviously" like "seductress". Also, he compared the Puritan to untidy and uncivilized primitive woman because the Puritan destroyed the form. Between two extremes, he stressed "the mother of praise and glory" which two extreme women missed. He suggested the Church of England as the best model of protestants of the British Empire which had pleasant way of worship as like the elegant mother wearing "sacred ceremony" clothes to reveal one's own advantage and following the middle way.

    In “Church-Rent and Schismes”, he dealt with corruption, fragmentation and conflict of the church because of the invasion of the forces of sins from outside to sacred church. He described the beautifully shining temple as "gorgeous roses" and the sectarian divisions bringing corruption and conflict as a worm "a lot of feet and hair". The speaker indirectly attacked the leadership of the church, suggesting that all sects had the responsibility for the church corruption.
    In the second section "Christianity for Evangelization of the World", God's plan and the preaching of the gospel were examined by “The sacrifice”, “Providence”, and “The Church-militant”. “The sacrifice” described the story of Christ who became sacrifice for redemption of the world. In the poem, Christ suffering voluntarily for human redemption and God's love devoting his life were compared with the spiritually blind human's hatred and ignorant human without knowing God's plan to save themselves from sin and spiritual death.
    “Providence” dealt with God's providence as the basic laws of the universe and focused on God's divine plan for the evangelization. God governed the universe according to His will, got the praise and glory of those who know his will, and he made the history of salvation. In the “The Church-militant”, there was the story that providence guided the history. The militant moved to a whole district from east to west that was non-Puritan victory, and linked between Europe and West India by the Spanish Empire to eliminate the forces of sin and eschatological movements of the true Church. It recorded about the spouse of Christ throughout the history from Old Testament era, New Law era, and to the end of the world.
    The prose and poetry of Herbert in this study were cited from "F. E. Hutchinson (ed.), The Works of George Herbert (London: Oxford UP, 1941)" and after the citation the number of rows and page number with W abbreviation were marked. For Hutchinson's Commentary, the page number was denoted with abbreviation as Huchinson. The books dealt with Puritans, the extremes of Roman Catholic, God's plan, and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were referred such as Stanley Stewart's George Herbert〔Boston: Twayne Publishers, 1986], Cristina Malcolmson's George Herbert: A Literary Life. 〔London: Palgrave Macmillan, 2004〕, and Richard Strier's Love Known: Theology and Experience in George Herbert's Poetry. 〔Chicago: The U of Chicago P, 1983].
    So far, most studies have been done in terms of an individual’s private life of faith based on the section of “the Church” of The Temple. This study focused on the poems related to the true church as an advanced base for the world evangelization and “The Church-militant”, and reviewed the world evangelization of the ultimate goal of Christians. This study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point of view of Christian Herbert on globalization without limited to the individual’s lif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Church-militant” will be demonstrated. In other words, “The Church-militant” will be highlighted as a finale and conclusion of The Temple, rather than just a separated part from the structure The Temp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성전』은 허버트의 개인적인 삶에서 시작하여 우주 전체로 확장된다. 인간 개개인으로부터 죄를 몰아낸 신은 전 세계로부터 어둠과 죄를 몰아내고 세계전체에 복음을 전파 할 계획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 교회”, “교회의 분열과 분파”, “희생”, “섭리”, 그리고 “교회 군대”의 시편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 시편들에서 허버트는 신의 세계적이고 우주적인 복음화에 초점을 맞춘다. 교회의 머리는 예수 그리스도이고 그것의 지체는 성도들이다. 허버트는 세계 복음화의 전초기지인 교회가 깨끗하고 거룩한 성전이 되어 신의 계획에 유용한 참된 교회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다. 우주만물을 주관하는 신은 그의 섭리에 따라 교회를 통해 그의 역사를 이루어가며 교회는 그리스도의 재림 때까지 신의 뜻을 계속해서 성취해 간다고 허버트는 주장한다. “참된 교회”와 “세계 복음화”라는 범주에서 그의 시편들을 연구함으로써 본 논문은 허버트의 종교적 사상과 시적 성취를 좀 더 잘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신은 우리 개개인의 인생에 대한 계획과 세계 전체에 대한 계획을 갖고 있으며, 우리 개개인에 대한 계획을 통해 그의 우주적인 역사를 이루어간다고 허버트는 주장한다. 따라서 신의 주권에 따르며 그의 계획에 조화롭게 동참함으로써 그의 영광을 나타내는 것이 기독교인의 존재이유이다. 개인의 삶에서 죄를 몰아낸 신은 개개인의 교회, 그리고 여러 개인들의 집합체인 교회를 통해 세상의 죄를 몰아내려는 세계복음화를 계획하고 있는 것이다.
    허버트는 신성한 역사를 이루기 위해 악의 세력과 싸우는 신의 투사인 교회의 거룩함과 순결을 강조한다. ⌜영국 교회⌟에서 허버트는 지나친 의식을 강조하는 로마 카톨릭과 이와 반대로 지나치게 의식을 피하고 원시적인 청교주의를 비판하면서 양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영국 교회를 찬미한다. 그는 영국 교회가 로마 카톨릭과 청교주의가 놓치고 있는 중도적 입장인 신에 대한 찬미와 영광을 나타냄으로써 신의 은총과 사랑을 받는 참된 교회로 묘사하고 있다. ⌜교회의 분열과 분파⌟에서 허버트는 거룩한 성전이 죄의 세력에 의해 침해되어 생기는 무례 ‧ 부정 ‧ 불결 ‧ 논쟁 ‧ 질투 등에 의한 분열과 분파들을 묘사하고 있다. 죄의 침입에 의한 이같은 결과물들은 교회의 거룩한 문명을 파괴하고 결국 신의 세계복음화를 막는다고 그는 주장한다. 전 세계의 구원을 위해 희생제물이 되는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다룬 ⌜희생 제물⌟은 시 전체에 인간 구속을 위해 자발적으로 고통을 당하며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신의 사랑과 죄와 영적 죽음에서 자신들을 구원하려는 신의 계획에 무지한 채 그리스도에게 고통을 가하려는, 영적으로 눈먼 인간의 증오가 대조되어 나타난다. 한 죄인의 눈물로, 하나의 향유로 완화된 핏방울들은 두 반구 모두를 위한 것이다. 여기서 구원은 개인적이면서도 세계적이다. ⌜섭리⌟에서 허버트는 신이 만물에 대한 자신의 뜻과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한다. 인간은 “정확하고 초월적이며 신성한” 신의 계획 안에 있고, 신은 인간 개개인의 계획을 통해 자신의 우주적인 계획을 이루어간다.「교회 군대」는 구약에서 새로운 율법시대를 통해 종말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역사 전체를 다룬다. 참된 교회는 죄의 세력과 싸우며 세계 복음화를 향해 전진하며 세계의 종말을 향해 나아간다고 허버트는 주장한다.
    결국 허버트에 따르면 인간 구원과 사역에 함께한 신의 은총은 그의 우주적 역사 가운데에서도 함께한다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의 모든 움직임인 하늘과 땅에서 행해지는 모든 것은 신의 사랑과 은총에 의해 지배된다. 이렇게 우주만물을 주관하는 신은 그의 섭리에 따라 교회를 통해 그의 역사를 이루어간다. 교회는 신의 뜻에 합당하게 세상에서 악을 몰아내고 신의 거룩함으로 그곳을 채우며, 또한 최종 목적지를 향해 전진하여 신의 사랑이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나타날 때 화려하게 배우자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 국내외 대부분의 연구들은 『성전』의 주요구성요소 중 ‘교회’ 부분을 중심으로 인간의 영적갈등과 회복에 대해 즉 개인의 신앙 생활사적 측면을 다루었다면 교회의 세계화의 측면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였거나 부분적 또는 산발적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교회’ 부분에 편중되어 개인의 영적 성전을 세우는 허버트의 작업에 대부분 초점을 맞추어온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우주적이고 세계적인 영적 성전을 세우는 허버트의 작업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따라서 그동안 깊이 있게 연구되지 않았던 교회의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과거 ‧ 현재 ‧ 미래에 걸친 교회의 발전과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허버트의 우주적이고 세계적인 기독교관을 조명하였다.

    2. 활용방안

    신의 지상명령이자 그리스도인의 최종목표인 세계복음화는 교회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주제이다. 참된 교회를 통한 세계복음화에 대한 허버트의 기독교관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종교시의 한 핵심적인 주제를 새로운 측면에서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이 같은 결과는 그동안 학부 및 대학원에서 ⌜교회 ⌟부분에 편중한 개인의 신앙생활사적 주제들에 친숙 해 있는 학생들에게 허버트의 세계적인 기독교관 이라는 『성전』의 새로운 주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성전』전체에서 ⌜교회 군대⌟가 갖는 의의와 앞부분들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자극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익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히 취급된 『성
  • 색인어
  • 조지 허버트, 성전, 참된 교회, 세계 복음화, 기독교관, 교회 현관, 교회, 교회 군대, 영국 교회, 로마 카톨릭, 청교도, 이교도, 개신교, 엘리자베스 1세, 칼뱅주의, 중도, 교회의 분열과 분파, 로드파, 아르미니우스파, 종파, 그리스도, 구원, 희생제물, 섭리, 종말, 재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