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일제 강점기 시대를 대상으로-
The cognitive semantics study metaphor used is sports news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3892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심지연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발간된 신문기사 중,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표현을 조사하여 개념 은유 이론 및 영상 도식 은유 이론과 같은 인지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은유들이 나타나는 양상과 의미 특성을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별 운동경기 종목별로 기사문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양상을 분석하고 의미 특성을 고찰하는 것 역시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국어학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은유를 시간의 흐름에 비추어 역사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시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자체만 본다면 일제 강점기 시대만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의 은유 분석 연구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012년 연구의 후속 연구라는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전쟁 도식 은유의 흐름을 고찰했던 2012년 연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좀 더 정밀한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적 연구의 첫 발자국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일제 강점기 시대의 기사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연구 대상을 확대하는 의의도 기대할 수 있다. 즉, 해방 이후의 텍스트만을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했던 기존의 은유 연구 범위를 넘어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은유에 대한 편견을 없애줄 수 있는 좋은 연구 결과물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유라는 개념은 사람들에게 문학 작품, 특히 시에서 사용된 여러 수사법 중의 하나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은유가 우리의 삶과 관련이 없는 별개의 것’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다. 그런데 인지언어학의 근간이 되는 체험주의 이론은 우리의 신체 경험을 바탕으로 따로 학습하지 않아도 그 경험을 통해서 의미를 파악하고 표현한다는 사실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이론인 개념 은유 이론 및 영상 도식 은유 이론 역시 이와 같은 체험주의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들 이론이 미국에서 처음 소개된 것이 1980년대이다. 그리고 이 이론이 국어의 경우에 적용되어 국어학계에서 논문이 발간된 것이 1990년대부터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의 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많다.
    하지만 이들 이론이 대두되기 몇 십 년 전, 그것도 처음 개념 은유 이론이나 영상 도식 은유 이론이 소개된 미국이 아닌, 한국의 언어 자료에서 영상 도식 이론으로 분석이 가능한 은유 표현이 추출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체험주의 및 인지언어학의 이론이 학자들만을 위한 이론만이 아니라, 실제 삶에 녹아 있는 살아있는 이론이며, 언어 종류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며 무의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설명해 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이용한다면, 일반인들에게 더 설득력 있게 체험주의 이론에 기초한 이들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발간된 신문기사 중,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표현을 조사하여 개념 은유 이론 및 영상 도식 은유 이론과 같은 인지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은유들이 나타나는 양상과 의미 특성을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별 운동경기 종목별로 기사문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양상을 분석하고 의미 특성을 고찰하는 것 역시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주된 대상은 일제 강점기 시대에 발행된 신문의 운동경기 기사문이다. 일제 강점기에 발행된 신문은 대표적으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두 신문인데,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확보가 용이한 ‘동아일보’의 창간호(1920년 4월 1일)부터 해방 전까지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대상 자료를 추출하여 정리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1920년 창간부터 해방 전까지 발행되었던 동아일보의 운동경기 기사문을 모두 조사하여 나타나는 은유 표현들을 수집할 것이다. 수집할 때에는 은유 표현이 사용된 날짜, 운동경기 종목, 해당 은유 표현의 기사 내용 등을 각 항목에 맞게 엑셀 파일로 정리할 것이다. 이 작업은 이후 진행되는 본격적인 연구에서 인지의미론적으로 분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에서 구축한 은유 표현 자료들을 인지의미론적인 관점에서 그 의미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특히 영상 도식 은유의 관점에서 어떠한 영상 도식 은유가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운동경기 기사문에서 사용된 영상 도식 은유의 종류 및 그 빈도를 고찰할 것이다. 동시에 각 영상 도식 은유에 해당하는 운동경기 기사문도 함께 제시할 것이다.
    이것은 이미 개념 은유나 영상 도식 은유 이론이 발표되기 몇 십 년 전의 자료에서도 이들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한 예들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따로 학습하지 않아도 이미 인간이 경험을 통해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 표현한다는 사실을 주된 내용으로 하며 인지언어학의 근간이 되는 이론인 ‘체험주의’ 이론을 뒷받침해주는 좋은 근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전체 운동경기 기사문에서 나타난 은유 표현에서 나타난 의미 특성 결과를 대상으로 그 당시 유행하던 운동경기 종목별로 하위분류하여 각 종목별로 어떠한 영상 도식 은유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운동경기들을 종목별로 하위분류하는 것은 그 당시 유행하던 운동경기 종목을 알아보는 것뿐만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황을 이해하는 기회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종목별로 나타나는 은유화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지금까지 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광범위한 관점에서 전체 운동경기 기사문을 살펴보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새로운 시각으로 은유의 양상을 살펴보는 의의도 갖는다고 본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발간된 신문기사 중,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표현을 조사하여 개념 은유 이론 및 영상 도식 은유 이론과 같은 인지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은유들이 나타나는 양상과 의미 특성을 주로 밝히는 것으로 진행했다.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별 운동경기 종목별로 기사문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양상을 분석하고 의미 특성을 고찰하는 것 역시 함께 연구에서 진행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lluminate mainly means properties and aspects metaphor that appears in the cognitive semantic aspects , such as newspaper articles of , by examining the metaphors appeared in athletics gisamun concept metaphor theory and visual scheme metaphor theory , published in the Japanese occupation era did. In addition to this, it was based on analysis of the metaphors that appear in gisamun aspects of an individual sport and each event is also held in conjunction studies to examine the meaning proper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발간된 신문기사 중,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표현을 조사하여 개념 은유 이론 및 영상 도식 은유 이론과 같은 인지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은유들이 나타나는 양상과 의미 특성을 주로 밝히는 것으로 진행했다.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별 운동경기 종목별로 기사문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양상을 분석하고 의미 특성을 고찰하는 것 역시 함께 연구에서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이 연구를 진행하는 주된 목적과 그 배경에 대해서 설명했다. 특히 그 연구의 배경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연구가 2012년에 진행된 연구의 후속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공시적인 관점에서 지금까지 다루지 않았던 일제강점기 시대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배경은 다른 연구자들에게 연구 대상을 확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3장에서는 연구의 대상 및 방법(범위)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대상은 일제 강점기 시대에 발행된 신문의 운동경기 기사문이다. 일제 강점기에 발행된 신문은 대표적으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두 신문인데,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확보가 용이한 ‘동아일보’의 창간호(1920년 4월 1일)부터 해방 전까지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자료를 추출하여 정리하는 작업을 위해 1920년 창간부터 해방 전까지 발행되었던 동아일보의 운동경기 기사문을 모두 조사하여 나타나는 은유 표현들을 수집하였다. 수집할 때에는 은유 표현이 사용된 날짜, 운동경기 종목, 해당 은유 표현의 기사 내용 등을 각 항목에 맞게 엑셀 파일로 정리하였다. 이 작업은 이후 진행되는 본격적인 연구에서 인지의미론적으로 분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역할이며, 이후 후속 연구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4장은 연구 결과를 설명하는 부분으로, 이미 구축한 은유 표현 자료들을 인지의미론적인 관점에서 그 의미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영상 도식 은유의 관점에서 어떠한 영상 도식 은유가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운동경기 기사문에서 사용된 영상 도식 은유의 종류 및 그 빈도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기대 효과 및 이 연구 결과를 어떻게 다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가 국어학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앞의 연구의 필요성 및 선행연구의 검토 및 결과 부분에서도 언급하기는 했지만, 이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은유를 시간의 흐름에 비추어 역사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시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자체만 본다면 일제 강점기 시대만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의 은유 분석 연구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012년 연구의 후속 연구라는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전쟁 도식 은유의 흐름을 고찰했던 2012년 연구에 이어서 한 발 더 나아가 좀 더 정밀한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적 연구의 첫 발자국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일제 강점기 시대의 기사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연구 대상을 확대하는 의의도 기대할 수 있다. 즉, 해방 이후의 텍스트만을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했던 기존 은유 연구 범위를 넘어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은유에 대한 편견을 없애줄 수 있는 좋은 연구 결과물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유라는 개념은 사람들에게 문학 작품, 특히 시에서 사용된 여러 수사법 중의 하나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은유는 우리의 삶과 관련이 없는 별개의 것’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다. 그런데 인지언어학의 근간이 되는 체험주의 이론은 우리의 신체 경험을 바탕으로 따로 학습하지 않아도 그 경험을 통해서 의미를 파악하고 표현한다는 사실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앞의 연구의 목적, 연구의 필요성 부분을 참조.

    본 연구의 주된 이론인 개념 은유 이론 및 영상 도식 은유 이론 역시 이와 같은 체험주의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들 이론이 미국에서 처음 소개된 것이 1980년대이다. 그리고 이 이론이 국어의 경우에 적용되어 국어학계에서 논문이 발간된 것이 1990년대부터라고 생각된다. 선행연구 조사를 위해 연구 논문들을 검색한 결과, 1990년대 초부터 체험주의에 기초한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연구된 개념 은유 또는 영상 도식 은유 관련 논문이 발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의 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많다.
    하지만 이들 이론이 대두되기 몇 십 년 전, 그것도 처음 개념 은유 이론이나 영상 도식 은유 이론이 소개된 미국이 아닌, 한국의 언어 자료에서 영상 도식 이론으로 분석이 가능한 은유 표현이 추출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체험주의 및 인지언어학의 이론이 학자들만을 위한 이론만이 아니라, 실제 삶에 녹아 있는 살아있는 이론이며, 언어 종류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며 무의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설명해 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이용한다면, 일반인들에게 더 설득력 있게 체험주의 이론에 기초한 이들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인지의미론, 은유, 개념 은유 이론, 영상 도식, 운동경기 신문 기사, 운동경기, 근원 영역, 목표 영역, 틀, 사상, 일제 강점기 시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