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창의성의 원리로서의 은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etaphor as a Principle of Creativ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0175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11월 01일 ~ 2015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선아
연구수행기관 한국교통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은유의 본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1) 우선 창의성의 메커니즘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창의성의 메커니즘과 은유의 메커니즘 사이의 공통점을 드러내고자 한다.(철학, 심리학) (2) 그런 다음 이 두 메커니즘 사이의 유사성이 단순한 표면적 우연적 유사성인지 보다 근본적인 인간의 인지 메커니즘과 관련 있는지를 검토해 볼 것이다.(인지과학) (3)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가 실제 예술 창작과 같은 창의적 활동을 설명하기에 적합한지를 검토하고 예술 관련 교과목에서 예술적 창의성을 설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교육적 활용)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진행된 은유 및 창의성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 분석하기 때문에 분야별 특성으로 인해 각각 간과되었거나 소홀히 다뤄졌던 은유와 창의성의 특성들을 발견함으로써 각 분야 연구들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참신한 주제를 통한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학제적 연구들이 시도될 수 있는 본보기가 되고 융합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창의성은 교육 분야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이기 때문에 창의성 원리에 대한 연구는 창의성 교육에 활용되어 학생들이 창의성이 무엇인가 하는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창의적 활동을 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의 은유와 창의성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은유와 창의성과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창의성의 원리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1) 창의성을 정의하는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타당한 창의성 정의를 도출하고 창의적 사고 메커니즘에 대한 주요 심리학적 연구인 퀘슬러의 이연연상 개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2) 은유를 다루는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의 선행 연구들을 창의성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한다.
    (3) 마지막으로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의 창의성 및 은유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은유의 원리와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창의성과 은유 사이에 공통 메커니즘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창의성 이론과 은유 이론을 검토하였다. 널리 받아들여지는 창의성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일반적으로 준비-숙고-통찰-검토의 과정을 거쳐 출현한다고 한다. 이 과정 중에서 숙고와 통찰 과정은 의식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경험적 연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최선의 설명 모델은 이와 관련되어 널리 인용되는 쾨슬러의 이연연상 개념이다. 이연연상은 전에는 서로 관련이 없던 두 가지 기술 혹은 사고의 기반이 갑자기 한데 얽히는 현상이다. 쾨슬러에 따르면 이연연상은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이미지 개념과 언어적 개념 사이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진행된다고 주장한다. 언어는 정확하고 엄밀하지만 유연성과 풍부함이 이미지에 비해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미지에서는 정보가 언어와 다른 방식으로 구조화되므로 서로 다른 표상 형식 사이의 상호작용이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은유는 서로 다른 개념 영역에 속하는 표현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과정으로 이해되므로 창의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인두르키야의 상호작용 은유 이론에 따르면 은유의 창의성은 근원 개념망과 목표 영역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나온다. 은유에서 근원과 목표는 서로 다른 개념망과 영역을 구성한다. 그런데 은유를 통해 근원에 관련된 개념망이 목표 영역에 투사되면서 목표 영역을 새롭게 구조화하여 새로운 닮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인두르키야의 은유이론에서 개념망과 영역 사이의 상호작용은 쾨슬러의 언어적 개념과 이미지 개념 사이의 상호작용과 유사하다. 영역은 지각적 경험의 형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이미지 표상과 유사하고 개념망은 언어적 표상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창조적 은유의 메커니즘과 창의성의 메커니즘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언어적 표상과 이미지 표상 사이의 상호작용은 은유를 비롯한 다양한 창조적 과정의 기본적 메커니즘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reviewed various theories of creativity and metaphor in order to search for common mechanism between creativity and metaphor. According to acknowledged studies on creativity, creativity generally goes through stages of preparation, incubation, insight and verification. Among these stages, incubation and insight are subpersonal and hardly accessible stages, so it is difficult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m.
    It is Koestler’s ‘bisociation’ that is the best explanatory model to understand these stages. bisociation is the sudden interlocking of two previously unrelated skills, or matrices of thought. Koestler explains that bisociation is unconscious process in which both images and verbal concepts operate and at the same time or in quick alternate. Verbal concepts are precise and accurate but lack flexibility and richness. Informations is constructed differently in images than verbal concepts, so we might expect that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forms of representation could contribute to produce novelty.
    New meaning is created during interaction between two different concepts in metaphor, so this process is closely related to creativity. According to Indurkhya’s interaction theory of metaphor, creativity of metaphor emerges from interaction between source concept network and target realm. In metaphor, source and target belongs to different concept network and realm. However, when source concept network is projected upon target realm in metaphor, target realm is reconstructed and new similarity is created.
    Indurkhya’s theory of metaphor is similar to Koestler’s bisociation theory in that both rely on interaction between two different representational systems: realm corresponds to images and concept network corresponds to verbal concepts.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verbal concepts and images which is common mechanism between metaphor and creativity the basic mechanism of various creative proces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창의성과 은유 사이에 공통 메커니즘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창의성 이론과 은유 이론을 검토하였다. 널리 받아들여지는 창의성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일반적으로 준비-숙고-통찰-검토의 과정을 거쳐 출현한다고 한다. 이 과정 중에서 숙고와 통찰 과정은 의식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경험적 연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최선의 설명 모델은 이와 관련되어 널리 인용되는 쾨슬러의 이연연상 개념이다. 이연연상은 전에는 서로 관련이 없던 두 가지 기술 혹은 사고의 기반이 갑자기 한데 얽히는 현상이다. 쾨슬러에 따르면 이연연상은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이미지 개념과 언어적 개념 사이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진행된다고 주장한다. 언어는 정확하고 엄밀하지만 유연성과 풍부함이 이미지에 비해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미지에서는 정보가 언어와 다른 방식으로 구조화되므로 서로 다른 표상 형식 사이의 상호작용이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은유는 서로 다른 개념 영역에 속하는 표현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과정으로 이해되므로 창의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인두르키야의 상호작용 은유 이론에 따르면 은유의 창의성은 근원 개념망과 목표 영역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나온다. 은유에서 근원과 목표는 서로 다른 개념망과 영역을 구성한다. 그런데 은유를 통해 근원에 관련된 개념망이 목표 영역에 투사되면서 목표 영역을 새롭게 구조화하여 새로운 닮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인두르키야의 은유이론에서 개념망과 영역 사이의 상호작용은 쾨슬러의 언어적 개념과 이미지 개념 사이의 상호작용과 유사하다. 영역은 지각적 경험의 형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이미지 표상과 유사하고 개념망은 언어적 표상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창조적 은유의 메커니즘과 창의성의 메커니즘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언어적 표상과 이미지 표상 사이의 상호작용은 은유를 비롯한 다양한 창조적 과정의 기본적 메커니즘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진행된 은유 및 창의성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분야별 특성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은유와 창의성의 특성들을 발견함으로써 각 분야 연구들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창의성과 은유에는 모두 이미지적 사고와 개념적 사고의 상호작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이후 창의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지적 사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킴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향후 연구가 활성화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이연연상, 창의성, 은유, 근원영역, 목표영역, 상호작용, 언어적 표상, 이미지 표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