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프랑스어에서 고유의 문화를 담당하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담겨 있는 문화들을 여러 관점에서 관찰함으로써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그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하여 프 ...
본 연구는 프랑스어에서 고유의 문화를 담당하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담겨 있는 문화들을 여러 관점에서 관찰함으로써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그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하여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측면의 학술적·교육적 가치들에 근거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첫째, 단어와 문화와의 관계에 주목한 새로운 관점의 문화읽기이다. 단어 속에는 다양한 문화가 녹아 있다. 단어는 양면성을 지니다. 그래서 언어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공유문화 적재어들처럼 문화의 흔적들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단어를 통해 문화로 접근하는 방법은 한 사회가 세상에 대해 깊이 성찰하여 남겨놓은 문화를 읽도록 해주는 새로운 문화읽기이다. 둘째, 문화와 프랑스어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선도적 콘텐츠이다. 프랑스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언어적 능력과 함께 문화적 능력을 습득해야만 의사소통 능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탐구하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은 언어에서 특별한 문화혜택을 받은 분야이기 때문에 담화 속에 나타난 단어에 의해 단어 내에서 현실화되고 변화하는 문화를 보여주어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문화를 습득하도록 하는 새로운 콘텐츠이다. 셋째, 한국과 프랑스 상호간에 사회·언어적 영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상호문화교육 자료를 형성한다. 한국어로 차용된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의 언어적·문화적 변용 양상을 연구하는 작업은 한국과 프랑스 간에 문화 교류가 이루어진 과정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구체화시킬 뿐 아니라 두 국가 간의 언어적, 사회적 영향을 탐구하도록 하여 두 국가의 기초적인 상호문화교육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과 상호문화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선별된 단어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첫째,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으로 어휘문화적 접근에 따라 프랑스어 단어들 가운데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겨 있는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의·식·주 범주로 나누어 대표적인 몇몇 단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담긴 프랑스 고유의 문화를 여러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단어가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들과 상징성들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나아가 그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뛰어넘는 특별한 공시를 밝혀주어 프랑스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둘째로, 상호문화적 접근에 따라 수여문화(프랑스)에서 보여준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가 한국 문화와의 접촉으로 수용문화(한국)에서 언어적, 문화적 측면으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는 과정들을 탐구하여 두 문화 속에 작용하는 언어적 요소들과 문화적 현상들에 대한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고 향후 두 문화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자료를 형성한다. 이러한 접근은 프랑스 문화교육을 위한 작업의 실마리를 제공함으로써 언어적 사실로부터 그 사회의 문화적 조직을 파악하도록 해줄 뿐 아니라 프랑스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문화 수업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을 마련해줄 것이다. 또한 한국과 프랑스의 상호문화교류를 위한 활성 방안의 기초 자료를 형성하도록 하여 두 문화 간의 관계를 새롭게 세워나가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학문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학문적 측면 - 어휘문화론 연구의 활성화 이 연구의 주제인 프랑스어 단어들에 대한 국내 연구 대부분은 어휘 분야에 치중되었다. 하지만 이 연구 ...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학문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학문적 측면 - 어휘문화론 연구의 활성화 이 연구의 주제인 프랑스어 단어들에 대한 국내 연구 대부분은 어휘 분야에 치중되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연구대상으로 다룸으로써 어휘와 문화를 하나로 통합하는 효율적인 방안인 동시에 한국에서 차용어로 사용되며 변화한 문화현상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어휘문화론이므로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적이며 효과적인 수단을 제시할 것이다. 나아가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프랑스어 어휘문화 유형을 살펴보도록 함으로써 국내에 미진한 어휘문화론 연구를 활성화시키며 유용한 자료도 제공할 것으로 본다. - 상호문화적 교육의 기초자료 형성 및 개발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순수하게 프랑스어에만 한정되어 타국가에서 차용어로 사용되며 변화한 어휘변화나 문화현상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이 연구는 하나의 공유문화 적재어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 두 국가 사이에 발생한 문화현상을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프랑스의 상호문화교류를 위한 활성 방안의 기초 자료를 형성하도록 하여 두 문화 간의 상호문화 교육 방식을 개발하도록 할 것이다. - 다문화 사회에 유용한 문화어휘사전의 연구 기반 확립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한국과 교류를 갖고 있는 다양한 국가의 문화어휘사전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과 프랑스 뿐 아니라 한국과 타문화 간의 문화어휘사전을 편찬하도록 하는 기반을 다진다. ■ 교육적 측면 - 새로운 문화강좌 개발 이 연구의 결과는 문화시대에 알맞은 획기적인 문화읽기 방식으로 새로운 문화강좌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프랑스어 학습자들에게 언어와 문화를 함께 교육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강좌개발이 필요한 현실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와 같은 취지에 잘 부합될 수 있다. -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문화어휘 유형 개발 및 목록 형성 한국에서 프랑스어를 배우고 가르치는 상황은 유럽의 환경과 매우 다르다. 한국에서 배우는 프랑스어는 추상적인 지식으로만 남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다른 학습 환경 속에 있는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들을 위한 프랑스어 교육은 어휘의 교수·학습에서 출발해야 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프랑스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문화어휘 유형의 개발과 목록 형성은 효과적일 뿐 아니라 상당히 유용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전력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본 연구의 활용 범위는 다양하며 그 기대효과 또한 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의 콘텐츠 개발이나 방법론 개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구요약
이 연구의 목표는 첫째, 프랑스 고유문화를 담당하고 있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의·식·주 분야별로 선별하여 그 속에 담긴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는 것이며 둘째, 이러한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었을 경우 새롭게 변화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하여 두 국가의 상호문화교 ...
이 연구의 목표는 첫째, 프랑스 고유문화를 담당하고 있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의·식·주 분야별로 선별하여 그 속에 담긴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는 것이며 둘째, 이러한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었을 경우 새롭게 변화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하여 두 국가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 어휘문화론의 형성 및 목표 공유문화 적재어라는 용어가 탄생하게 된 배경과 이를 연구하는 학문인 어휘문화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공유문화 적재어에 대한 정의와 연구 목표 및 전략이 구체적으로 확립되도록 길을 열어준 분야는 바로 어휘문화론이다. 어휘문화론은 어휘문화 연구를 목표로 하며 어휘로 문화에 입문하고 문화로 어휘에 입문하도록 한다. 어휘문화라는 용어는 어휘와 문화라는 두 형태의 합성어로써 두 가지 공시를 드러낸다. Galisson은 이 부분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여 공유문화 적재어란 개념을 탄생시켰다. 공유문화란 의사소통 능력의 주요소이며 원어민과 비원어민 사이의 장애물로 작용하는 문화로 교수/학습을 통해서만 습득이 가능한 문화이다. 그래서 이를 연구하는 어휘문화론은 문화 자체에 대한 연구가 목표가 아닌 모든 담화의 단어 속에서, 단어에 의해 실현되고 변형된 문화에 대한 연구이다. 이처럼 어휘문화론의 형성 및 목표에 대한 연구는 사회-언어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문의 변화과정을 추적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과정 중에 발달한 여러 이론들이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는 실제적 모델들을 살펴보도록 함으로써 교수자들에게 효과적이며 다양한 문화수업 방안을 찾고 개발하도록 해줄 것이다. 2.어휘문화적 접근 위에서 살펴본 어휘문화론의 주요 이론인 Galisson의 공유문화 적재어들 가운데 프랑스 의·식·주에 해당하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그 가운데 한국어에 차용된 단어들을 선별하여 어휘문화적 접근 방식으로 분석해본다. 이를 위해 단어 뒤에 숨겨진 상징성을 여러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프랑스 문화만이 보여주는 고유한 특징들을 탐구한다. 우선 의상과 관련된 ‘pantalon(culotte)'이라는 단어에 대해 어휘문화적 접근을 시도한다. pantalon(culotte)은 옷장 안에 걸려있는 의복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정치적·사회적·성적으로 다양한 상징성과 결부된다. 프랑스어의 관용어 표현 가운데 ‘La femme porte le pantalon(la culotte)’라는 표현이 있는데 프랑스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는 ‘바지’라는 의상의 역사적 흐름과 문화적 상징성을 모를 경우 이 표현을 ‘여성은 바지(반바지)를 입는다’로 해석한다. 하지만 이 표현은 ‘남편(남성)을 쥐고 흔든다’, 즉 ‘부인(여성)이 권위를 지닌다’를 뜻한다. Larousse 인터넷 사전의 기본 정의 항목 어디에도 ‘권위’를 상징한다는 내용은 찾을 수 없다. 이처럼 pantalon(culotte)은 기본적인 의미 외에 프랑스 문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에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라 할 수 있으며 이 단어는 프랑스에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상징성들을 드러낸다. 따라서 pantalon(culotte)이라는 단어와 연관된 표현이 프랑스 사회에서 어떻게 비춰졌으며 어떤 의미로 변화되어 갔는지를 살펴본다면 이와 같은 단어 뒤에 숨겨져 있는 다양한 문화적 상징성을 파악할 수 있다. 선별된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에 대해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다각적인 고찰이 이루어진다. 3. 상호문화적 접근 상호문화적 접근에서는 프랑스의 공유문화 적재어 중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단어의 어휘와 더불어 새롭게 변화된 문화 현상들은 무엇이며 이 단어 뒤에 숨겨진 두 문화 간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탐구하여 두 국가의 상호문화교류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한다. 따라서 어휘문화적 접근에서 연구한 프랑스 공유문화 적재어 가운데 한국어에 차용된 몇몇 단어들을 선별하여 단어 안에 담겨 있는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 교류 현상들을 상호문화적 관점으로 탐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동일한 문화영역을 중심으로 수여문화(프랑스)에서 보여주었던 한 단어의 언어적·문화적 측면들이 수용문화(한국)와의 접촉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과연 프랑스의 공유문화 적재어들은 한국어로 차용되면서 어떤 동화과정을 거쳤으며, 그런 과정 중에 언어적· 문화적 요소들은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이를 위해 어휘적 접근에서 살펴본 공유문화 적재어들의 차용 과정의 변용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과제는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숨겨진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함으로써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
본 과제는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숨겨진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함으로써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별된 공유문화 적재어들에 대해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과 상호문화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에서 어휘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어 단어들 가운데 한국어에 차용된 795개의 차용어들 중에서 의(19개)·식(26개)·주(12개)와 관련된 차용어들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이 중 각 항목별로 7개의 단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프랑스 내에서 밝혀주는 문화콘텐츠와 한국어로 차용되어 새롭게 탄생한 문화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단어들이 프랑스어 관용어 속에서 사용될 경우 나타나는 문화적 현상들과 그 안에 담긴 역사에 대해서도 자료를 수집하여 표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단어 뒤편에 숨겨진 문화적 흔적과 이로 인해 변화하는 의미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한국어에 차용된 프랑스 공유문화 적재어들은 의·식· 주라는 항목별로 선별된 단어들에 대해 우선 프랑스 내부적 관점으로 프랑스어 사전적 의미, 문화적 현상, 관용어 표현 속에 나타난 특별한 문화 현상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하고 연구하였다. 또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어로 차용된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 단어 속에 담긴 문화적 현상, 차용어의 변용 양상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 속에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서는 부가적 가치가 다양하게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어 속에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담겨 있어 개별 단어들에 대한 탐구가 프랑스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할 뿐 아니라 이들 단어가 사용된 관용어 표현들을 통해 담화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화들을 새롭게 접할 수 있었다. 한국어에서 의·식·주와 연관되어 차용된 프랑스어 단어들은 주거와 연관된 단어들이 의상이나 식품과 연관된 단어들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상이나 식품 영역에 대한 문화 개방이 폭넓게 이루어져 프랑스의 문화들이 다양하게 유입되면서 차용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의·식·주와 연관된 대부분의 프랑스어 차용어들이 문화 간 교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랑스어가 지닌 고유의 이국적인 어감이나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사용되는 경우였다. 프랑스어 차용어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의미가 왜곡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한국어 안에서 문화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다양함을 드러낸다는 점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rench words which are shared in Korea and to study the cultural contents hidden in these words. We intend to explore cultural phenomena in Korea created by these shared French words used in Korean. We car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rench words which are shared in Korea and to study the cultural contents hidden in these words. We intend to explore cultural phenomena in Korea created by these shared French words used in Korean. We carry out the study from two perspectives: the inward perspective of French culture and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First, from the French cultural perspective, we identified 795 French words shared in Korea and categorized them into three subgroups: costumes, food, and housing. We studied the content of the French culture and research for the birth of a new 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Then, we collected data about the dictionary meaning, cultural phenomena, and transformation aspects of the shared words embedded in Korean culture on the basis of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From our analysis of the data, we find that the shared words add multidimensional cultural value beyond their dictionary meaning. They contain diverse cultures and history associated with the words. This allows us to pursu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French culture and emergent cultural development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shared French words in Korean, we find that the costumes and food subgroups are larger in their size than the housing subgroup. This is because French culture associated with clothes and food have had greater influence on the Korean culture. Although shared French words often get distorted in their meaning in Korean cultural contexts, in most of the cases, they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by widening the cultural space and foster the cultural diversity made most cross-cultural exchang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과제는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숨겨진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함으로써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
본 과제는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숨겨진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함으로써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별된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과 상호문화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에서 어휘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어 단어들 가운데 한국어에 차용된 단어들 중에서 의·식·주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담긴 프랑스 고유의 문화를 사전적 의미, 문화적 현상, 관용어 표현 속에 나타난 특별한 문화 현상에 따라 탐구함으로써 그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뛰어넘는 특별한 공시를 밝혀주었다. 나아가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 문화와 한국 문화의 접촉으로 동일한 프랑스어 단어가 새로운 의미로 탄생하게 되는 과정들을 차용어의 문화 현상과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탐구함으로써 두 문화 속에 작용하는 언어적·문화적 요소들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탐구할 수 있었다. 프랑스 공유문화 적재어 속에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담겨 있어 개별 단어들에 대한 탐구가 프랑스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하고 이들 단어가 사용된 관용어 표현들을 통해 개별 단어 속에서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문화 현상들이 담화 속에 존재함을 확인했다. 나아가 한국어로 차용된 프랑스어 단어들은 대부분 문화 간 교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경우보다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의미의 왜곡이 일어나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 도입된 프랑스어 차용어들을 연구한 선행 논문들 가운데 전재연(2014)의 어휘 목록 자료를 기준으로 프랑스 문화가 상대적으로 많이 담겨있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의·식·주 별로 분류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과 〈새국어사전〉(이기문 감수, 1996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 도입된 프랑스어 차용어들을 연구한 선행 논문들 가운데 전재연(2014)의 어휘 목록 자료를 기준으로 프랑스 문화가 상대적으로 많이 담겨있는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의·식·주 별로 분류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과 〈새국어사전〉(이기문 감수, 1996)에 수록된 795개의 차용어들 중에서 의(19개)·식(26개)·주(12개)와 관련된 차용어들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이 중 각 항목별로 7개의 단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프랑스 내에서 밝혀주는 문화콘텐츠와 한국어로 차용되어 새롭게 탄생한 문화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단어들이 프랑스어 관용어 속에서 사용될 경우 나타나는 문화적 현상들과 그 안에 담긴 역사에 대해서도 자료를 수집하여 표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단어 뒤편에 숨겨진 문화적 흔적과 이로 인해 변화하는 의미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한국어에 차용된 프랑스 공유문화 적재어들은 의·식· 주라는 항목별로 선별된 단어들에 대해 우선 프랑스 내부적 관점으로 프랑스어 사전적 의미, 문화적 현상, 관용어 표현 속에 나타난 특별한 문화 현상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하고 연구하였다. 또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어로 차용된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 단어 속에 담긴 문화적 현상, 차용어의 변용 양상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 속에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서는 부가적 가치가 다양하게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어 속에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담겨 있어 개별 단어들에 대한 탐구가 프랑스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할 뿐 아니라 이들 단어가 사용된 관용어 표현들을 통해 담화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화들을 새롭게 접할 수 있었다. 새로운 의미로 탄생한 단어들은 프랑스인들의 실생활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어 프랑스인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 지식을 전해주며 친근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국어에서 의·식·주와 연관되어 차용된 프랑스어 단어들은 수적으로 통계적 결과를 창출하기에는 흡족하지 않지만 주거와 연관된 단어들이 의상이나 식품과 연관된 단어들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의상이나 식품 영역에 대한 문화 개방이 폭넓게 이루어져 프랑스의 문화들이 다양하게 유입되면서 차용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의·식·주와 연관된 대부분의 프랑스어 차용어들이 문화 간 교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랑스어가 지닌 고유의 이국적인 어감이나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사용되는 경우였다. 프랑스어 차용어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의미가 왜곡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한국어 안에서 문화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다양함을 드러낸다는 점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는 학문적·교육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학문적 측면 - 어휘문화론 연구의 활성화 이 연구는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연구대상으로 다룸으로써 어휘와 문화를 하나로 통합하는 효율적인 방안인 동시에 한국에서 차용어로 사용되며 변화한 문화현상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어휘문화론이므로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적이며 효과적인 수단을 제시할 것이다. - 상호문화적 교육의 기초자료 형성 및 개발 이 연구는 하나의 공유문화 적재어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 두 국가 사이에 발생한 문화현상을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프랑스의 상호문화교류를 위한 활성 방안의 기초 자료를 형성하도록 하여 두 문화 간의 상호문화 교육 방식을 개발하도록 할 것이다. - 다문화 사회에 유용한 문화어휘사전의 연구 기반 확립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한국과 교류를 갖고 있는 다양한 국가의 문화어휘사전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과 프랑스 뿐 아니라 한국과 타문화 간의 문화어휘사전을 편찬하도록 하는 기반을 다진다. ■ 교육적 측면 - 새로운 문화강좌 개발 이 연구의 결과는 문화시대에 알맞은 획기적인 문화읽기 방식으로 새로운 문화강좌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프랑스어 학습자들에게 언어와 문화를 함께 교육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강좌개발이 필요한 현실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와 같은 취지에 잘 부합될 수 있다. -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문화어휘 유형 개발 및 목록 형성 다른 학습 환경 속에 있는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들을 위한 프랑스어 교육은 어휘의 교수·학습에서 출발해야 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프랑스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문화어휘 유형의 개발과 목록 형성은 효과적이고 유용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전력이 될 것이다.
색인어
공유문화 적재어, 어휘문화론, 어휘문화적 접근, 상호문화적 접근, 차용어, 수여문화, 수용문화, 공시, 언어적 능력, 문화적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