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명-기술 진화의 통합적 관점에 기반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방법론 개발 A method for fusion of humanities/social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 based on holistic perspectives of social, biological and technological evolution
○ 사회-기술 시스템의 불안정과 급진적 혁신으로 인해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지향하는 혁신활동은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의 융합을 요구 ○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연구의 융합을 ...
○ 사회-기술 시스템의 불안정과 급진적 혁신으로 인해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지향하는 혁신활동은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의 융합을 요구 ○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연구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연구 영역과 방법을 창출하고, 단일 학문 분야로는 해결이 불가능한 사회의 복합적 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연구로 정의 ○ 또한 차세대 성장동력을 위한 기술혁명은 더 이상 과학·공학 분야 인접 기술만의 융합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성장동력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인문사회와의 수평적· 상승적 결합을 통한 통섭적 연구가 필요 ○ 본 연구는 추상적 개념에 머물고 있는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해결하고자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인문사회 및 생명과학기반 기술혁신 방법론 개발’, ‘인문사회-과학기술간 공진화 분석과 융합 방법론 개발’이 연차별로 진행되어 인문학과 사회과학이 과학기술에 적용되어 와해적 기술혁신을 창출하고, 기술혁신이 다시 인문사회의 변화를 가져오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함 ○ 본 연구과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3년간의 연구내용은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등 3개 학제의 개념, 이론, 사례를 개별분석 및 연계분석하며, 분석의 수준은 가능한 학제의 범위를 폭넓게 포괄하기 위해 분야수준과 개념(원리)수준으로 구분함 - 인문사회학과 자연과학 및 공학이 갖는 연계를 분석하며, 인문사회학적 접근방법이 제품/기술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함 - 각 학제가 보유한 학문분류가 존재하며, 분야수준에서 융합할 수 있는 관점이 존재하는 동시에, 각 학제의 특정 개념, 원리, 법칙 등이 다른 학제에 적용되어 융합되는 관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두가지 관점을 총괄적으로 포함하는 분석수준을 구성함
기대효과
○ 학문적 관점 - 인문사회 현상, 생물학적인 현상, 기술적 현상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사회-생명-기술의 진화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며 세 영역간의 결합된 학제간의 연구가 수행되고, 연결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해 줌 ...
○ 학문적 관점 - 인문사회 현상, 생물학적인 현상, 기술적 현상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사회-생명-기술의 진화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며 세 영역간의 결합된 학제간의 연구가 수행되고, 연결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해 줌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세부 분야의 개념간의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융합가능성과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분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술적 관점 - 인문사회 관점에서 출발하여 기술/제품을 개발하는 새로운 사용자 혁신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신기술/신제품 개발 의사지원 시스템 개발 기술을 향상시킴 - 데이터 마이닝과 같은 핵심 알고리듬에 대한 기술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인문사회-과학기술의 연계 정보의 시각화(visualization) 기술을 향상시키며,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분야의 학술연구 및 기술개발 영역의 의사지원시스템 개발 기술의 향상에 기여함 ○ 경제ㆍ산업적 관점 - 인문사회 관점에서 출발하여 제품/기술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주도 혁신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기업들은 기술과 제품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내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 - 대학과 연구 기관 측면에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분야간의 다양한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 되고 상업화까지 연결 가능한 “win-win model”을 실현 시킬 수 있음
연구요약
○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생명, 기술의 진화분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각 영역에서의 진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며, 각 영역의 세부분야간 연관관계를 심층 분석함 - 각 분야별 진화개념 분 ...
○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생명, 기술의 진화분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각 영역에서의 진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며, 각 영역의 세부분야간 연관관계를 심층 분석함 - 각 분야별 진화개념 분석과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은 진화의 개념이 적용된 사회진화학, 생명진화학, 기술진화학 등의 내용을 폭넓게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함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각 영역에서의 세부 분야와 개념들간의 관계를 제시하여 융합될 수 있는 분야와 개념을 도출함 ○ 인문사회 및 생명과학기반 기술혁신 방법론 개발 - 기술진화 및 융합 연계관계를 활용하여, 인문사회적 개념과 방법론이 제품/기술개발에 적용 가능한 융합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 관점에서 제품/기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과 개념을 역사학, 문학, 논리학, 사회학 등에서 추출하여 이를 실질적인 제품/기술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에서의 확산 및 진화 관점을 제품/기술 진화에 반영하여, 신제품이나 신기술이 확산되고 진화되는 양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과학기술간 공진화 분석과 융합 방법론 개발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융합의 동향과 공진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 이를 산업에 적용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함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공진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양방향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동적인 분석을 통해 시간적 특성을 제시함 - 기술/제품 진화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개발에 초점하여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분야와 동향을 예측 - 다년간의 인문사회-과학기술 연관표를 활용하여, 개발된 알고리듬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표분야로 IT를 선정하여 미래 융합 동향을 예측하고 제안된 접근법의 실질적인 적용을 얻어내기 위해 다수 성공적인 사례 도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생명, 기술의 진화분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각 영역에서의 진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며, 각 영역의 세부분야간 연관관계를 심층 분석함 - 각 분야별 진화개념 분 ...
○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생명, 기술의 진화분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각 영역에서의 진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며, 각 영역의 세부분야간 연관관계를 심층 분석함 - 각 분야별 진화개념 분석과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은 진화의 개념이 적용된 사회진화학, 생명진화학, 기술진화학 등의 내용을 폭넓게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함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각 영역에서의 세부 분야와 개념들간의 관계를 제시하여 융합될 수 있는 분야와 개념을 도출함 ○ 인문사회 및 생명과학기반 기술혁신 방법론 개발 - 기술진화 및 융합 연계관계를 활용하여, 인문사회적 개념과 방법론이 제품/기술개발에 적용 가능한 융합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 관점에서 제품/기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과 개념을 역사학, 문학, 논리학, 사회학 등에서 추출하여 이를 실질적인 제품/기술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에서의 확산 및 진화 관점을 제품/기술 진화에 반영하여, 신제품이나 신기술이 확산되고 진화되는 양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과학기술간 공진화 분석과 융합 방법론 개발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융합의 동향과 공진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 이를 산업에 적용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함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공진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양방향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동적인 분석을 통해 시간적 특성을 제시함 - 기술/제품 진화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개발에 초점하여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분야와 동향을 예측 - 다년간의 인문사회-과학기술 연관표를 활용하여, 개발된 알고리듬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표분야로 IT를 선정하여 미래 융합 동향을 예측하고 제안된 접근법의 실질적인 적용을 얻어내기 위해 다수 성공적인 사례 도출
영문
○ Analysis on the evolu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ociety-Nature-Technology - Deriving the concepts and fields that can be converged to explore the possiblity of fusion between society and technology - Analyzing the literature of social evol ...
○ Analysis on the evolu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ociety-Nature-Technology - Deriving the concepts and fields that can be converged to explore the possiblity of fusion between society and technology - Analyzing the literature of social evolution, life evolution and technology evolution
○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technology innovation based on society and life science - Suggestion of a fusion methodology to enable presenting technology/product development, using technology evolution
○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co-evolution between society and tecnology - forecasting the co-evolution of society and technology and applying the result to real cas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생명, 기술의 진화분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각 영역에서의 진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며, 각 영역의 세부분야간 연관관계를 심층 분석함 - 각 분야별 진화개념 분 ...
○ 인문사회-생명-기술간 진화와 연계 분석 -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생명, 기술의 진화분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각 영역에서의 진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며, 각 영역의 세부분야간 연관관계를 심층 분석함 - 각 분야별 진화개념 분석과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은 진화의 개념이 적용된 사회진화학, 생명진화학, 기술진화학 등의 내용을 폭넓게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함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각 영역에서의 세부 분야와 개념들간의 관계를 제시하여 융합될 수 있는 분야와 개념을 도출함 ○ 인문사회 및 생명과학기반 기술혁신 방법론 개발 - 기술진화 및 융합 연계관계를 활용하여, 인문사회적 개념과 방법론이 제품/기술개발에 적용 가능한 융합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 관점에서 제품/기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과 개념을 역사학, 문학, 논리학, 사회학 등에서 추출하여 이를 실질적인 제품/기술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에서의 확산 및 진화 관점을 제품/기술 진화에 반영하여, 신제품이나 신기술이 확산되고 진화되는 양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함 ○ 인문사회-과학기술간 공진화 분석과 융합 방법론 개발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융합의 동향과 공진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 이를 산업에 적용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함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공진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양방향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동적인 분석을 통해 시간적 특성을 제시함 - 기술/제품 진화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개발에 초점하여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의 융합 분야와 동향을 예측 - 다년간의 인문사회-과학기술 연관표를 활용하여, 개발된 알고리듬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표분야로 IT를 선정하여 미래 융합 동향을 예측하고 제안된 접근법의 실질적인 적용을 얻어내기 위해 다수 성공적인 사례 도출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 관점 - 인문사회 현상, 생물학적인 현상, 기술적 현상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사회-생명-기술의 진화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며 세 영역간의 결합된 학제간의 연구가 수행되고, 연결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해 줌 ...
○ 학문적 관점 - 인문사회 현상, 생물학적인 현상, 기술적 현상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사회-생명-기술의 진화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며 세 영역간의 결합된 학제간의 연구가 수행되고, 연결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해 줌 -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세부 분야의 개념간의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융합가능성과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분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술적 관점 - 인문사회 관점에서 출발하여 기술/제품을 개발하는 새로운 사용자 혁신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신기술/신제품 개발 의사지원 시스템 개발 기술을 향상시킴 - 데이터 마이닝과 같은 핵심 알고리듬에 대한 기술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인문사회-과학기술의 연계 정보의 시각화(visualization) 기술을 향상시키며,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분야의 학술연구 및 기술개발 영역의 의사지원시스템 개발 기술의 향상에 기여함 ○ 경제ㆍ산업적 관점 - 인문사회 관점에서 출발하여 제품/기술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주도 혁신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기업들은 기술과 제품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내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 - 대학과 연구 기관 측면에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분야간의 다양한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 되고 상업화까지 연결 가능한 “win-win model”을 실현 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