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배경 풍요로운 사회에서 이제까지 지속적인 성장만을 경험했던 소비자들에게는 소비를 줄여나가는 것은 새로운 도전이다. 한번 높아진 소비수준을 줄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경제 환경에서의 소비자의 소비절제를 위한 노력은 필수적인 요 ...
○ 연구배경 풍요로운 사회에서 이제까지 지속적인 성장만을 경험했던 소비자들에게는 소비를 줄여나가는 것은 새로운 도전이다. 한번 높아진 소비수준을 줄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경제 환경에서의 소비자의 소비절제를 위한 노력은 필수적인 요소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절제와 관련된 소비자의 성향이나 태도는 소비자의 행복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이다. 소비자학은 소비자의 행복을 추구한다. 소비자행복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감소시키는 요인에 대한 탐구는 소비자학의 주요 연구주제이다. 소비절제는 소비의 증가가 소비의 만족을 증가시킨다는 전통적인 경제학에 비추어볼 때는 소비자의 행복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나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 다양한 소비자의 출현은 소비증가가 소비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소비의 증가가 소비자의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처럼 소비절제가 오히려 소비자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비절제의 동기가 다양하다면 소비자만족이나 행복 또한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소비절제를 소득감소와 같은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설명한다면 소비자의 행복도는 매우 떨어질 수 있으나 소비절제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한다면 소비자의 행복은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절제의 다양한 동기를 고려하여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고자 한다.
○ 연구목적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소비절제의 동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소비절제의 동기를 경제적인 것에서만 찾지 않고, 사회적, 심리적, 경험적인 요인 등 다양한 곳에서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소비절제로 인한 소비자의 행복감을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의 독창성 본 연구는 소비자가 소비를 줄이거나 억제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서로 다른 동기의 소비절제는 소비감소라는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소비자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소비자행복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비경험이나 소비체험, 소비를 증가하는 것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었다면, 이와는 반대로 본 연구는 소비를 절제하는 것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바 없으며 해외에서도 아주 드물게 일부 영역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을 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소비절제의 다양한 유형을 탐색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소비절제행동이나 태도를 갖게 한 원인을 분석하며 소비절제로 인한 소비자의 행복감을 종합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연구의 독창성이 있다.
기대효과
○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경제적, 사회적, 자연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소비자의 다양한 성향이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며 이론 확립에 기여한다. 특히 소비절제 ...
○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경제적, 사회적, 자연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소비자의 다양한 성향이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며 이론 확립에 기여한다. 특히 소비절제와 관한 소비자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모형은 소비의 양적 지향을 추구하는 기존의 소비자행동모형에 대한 대안으로서 바람직한 소비자모델을 제안할 수 있다. 즉 과도한 소비와 과시소비 등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으로 소비절제모형을 개발한다. 소비절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소비절제의 다양한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행복을 이끌어낼 수 있는 소비절제의 유형을 탐색함으로써 소비자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틀을 제시할 수 있다.
○ 교육적, 정책적 활용 소비절제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바람직한 소비절제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정책수립의 방향에 기여할 수 있다. 소비를 추구하는 물질주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소비자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의 효율성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소비자교육의 목표인 소비자역량강화는 결국 소비자가 행복한 소비를 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소비절제의 다양한 동기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가 행복을 느끼면서 소비를 절제할 수 있는 방안에 대안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새로운 모형이 입증된다면 소비자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재무설계상담에서의 활용 재무설계분야에서 제안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소득수준에 적절한 소비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소비감소는 중요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분야 중의 하나이다. 소비는 오랫동안 이루어지 습관이며 가족상황 등 수요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비감소에는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인내와 고통이 뒤따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소비절제로 인한 고통보다는 행복에 초점을 두고 소비절제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소비자를 이해하게 된다면, 특히 행복을 느끼며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소비자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면 재무상담의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소비절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개인 또는 가족 간의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구요약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하나로서 소비절제와 관련된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 소비자가 소비를 절제하는 동기는 다양하다는 관점에서 소비절제의 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소비절제성향을 분석한다. 2) 소비절제 ...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하나로서 소비절제와 관련된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 소비자가 소비를 절제하는 동기는 다양하다는 관점에서 소비절제의 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소비절제성향을 분석한다. 2) 소비절제 스타일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3) 소비절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한다. 4) 소비절제성향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모형 :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유형→ 소비자행복
○ 용어의 설명 1)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유형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란 소비나 구매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소비성향을 말한다.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은 Nepomuceno & Laroche(2015)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추가적인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류하고 정교화하며 측정을 통하여 확인한다. 2)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사회,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경험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포함된다. 충동구매, 강박소비, 절약행동, 간소화 행동 등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소비절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련요인을 탐색하여 검증한다. 3) 소비자행복 소비자행복이란 소비자가 소비생활에서 느끼는 행복을 말한다. 소비자행복은 기업관점에서 제품에 대한 만족과는 달리 소비생활로 인해 느끼는 주관적 기쁨이나 만족을 의미한다. 최근 장현선(2014)의 연구에서는 소비행복 척도를 개발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소비행복은 4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소비능력 요인, 소비공유대상 요인, 소비자율성 요인, 소비자자신감 요인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절제가 이러한 소비자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 자료의 수집 : 본 연구는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다. 설문조사는 20-5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 분석방법 : 각 연구문제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소비자가 소비를 절제하는 동기는 다양하다는 관점에서 소비절제의 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소비절제성향을 분석한다 : 요인분석, 기술통계 2) 소비절제 스타일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 군집분석 3) 소비절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한다 : 회귀분석 4) 소비절제성향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회귀분석(또는 경로분석: 논문 수에 따라 서로 다른 분석 가능)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자발적-비자발적, 개인적-사회적 동기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지,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자발적-비자발적, 개인적-사회적 동기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지,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라 할당표집된 20-50대 719명에 대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의 행복은 소비자로서의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소비절제가 동기에 따라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유형의 소비절제가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은 동기에 따라 8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1)근검절약으로 인한 소비절제, (2)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 (3)자발적인 간소화로 인한 소비절제, (4)자급자족형 소비절제, (5)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 부분적으로 자발적인 소비절제로 (6)선택적 소비절제,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7)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와 (8)강박적 소비절제로 분류되었다. 8개 요인에 의해 소비절제 총 분산의 65.30%가 설명되었다. 둘째, 소비행복뿐만 아니라 일반적 행복을 증가시키는 소비절제는 자발적인 소비절제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비절제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발적이지만 사회적 동기가 작동하는 소비절제유형인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의 모든 하위영역의 행복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부정적 정서의 경험을 낮추는데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분적으로 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의 선택적 소비절제 또한 소비행복을 증진시키며 일반적 행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인 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는 예상하였던 바대로 소비행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가 작용하는 또 다른 유형인 강박적 소비절제는 소비행복보다는 일반적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강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감소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발적 동기 강화전략이 유용한데 특히 재무관리동기 부여가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적 동기의 유발이 소비절제의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anti-consumption life styles that contribute the consumers' happiness. For the purpose,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otives. Consumers' motives of reducing their consumption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anti-consumption life styles that contribute the consumers' happiness. For the purpose,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otives. Consumers' motives of reducing their consumption are voluntary or involuntary. Also, the motives are personal or social. This study assumed those motives of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ould affect consumers' happiness. In this study, consumers' happiness included both happiness as a consumer and happiness as a human-being. For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using SPS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eight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classified and they explained 65.30% of total variances. Cronbach α of each anti-consumption life style was high ranged from 0.777 to 0.889.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1)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frugality (2)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financial management (3)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voluntary simplicity (4)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self-production and (5) consumption reduction for environment protection. Partially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as (6) selective consumption reduction. In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were (7)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economic deficiency and (8)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tightwadism. Second, it was found that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s' happiness as a human-being as well as a consumer. They influenced not only general consumers satisfaction and but also consumers' autonomy and self-confidence. They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but decreased negative emotions. Among the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s, consumption reduction tendency because of financial management had the strongest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happiness. Third, consumption reduction for environment protection was anti-consumption life style of voluntary and social motives. This tendency influenced positively consumers' happiness. Especially it contributed consumers' happiness by decreasing negative emotions. Forth, selective consumption reduction was partially voluntary anti-consumption life style in which consumers tried to reduce consumption but allowed a small luxury for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is strategy can be effective for consumers' happiness. Especially, selective consumption reduction contributed consumers' happiness by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Fifth, anti-consumption life styles of involuntary and personal motive, as expected, tended to affect negatively consumes' happiness both as a consumer and as a human-being.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economic deficiency and consumption reduction because of tightwadism decreased consumers' happiness as a human-being more than as a consumer. The strategies of reinforcing the voluntary and social motives of consumption reduction and weakening the involuntary motives are needed. The results imply that reinforcing financial management motive and environment protection motive is very effective for adjusting to new social-economic environment demanding consumption reducti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자발적-비자발적, 개인적-사회적 동기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지,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자발적-비자발적, 개인적-사회적 동기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지,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라 할당표집된 20-50대 719명에 대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의 행복은 소비자로서의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소비절제가 동기에 따라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유형의 소비절제가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은 동기에 따라 8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1)근검절약으로 인한 소비절제, (2)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 (3)자발적인 간소화로 인한 소비절제, (4)자급자족형 소비절제, (5)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 부분적으로 자발적인 소비절제로 (6)선택적 소비절제,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7)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와 (8)강박적 소비절제로 분류되었다. 8개 요인에 의해 소비절제 총 분산의 65.30%가 설명되었다. 둘째, 소비행복뿐만 아니라 일반적 행복을 증가시키는 소비절제는 자발적인 소비절제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비절제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발적이지만 사회적 동기가 작동하는 소비절제유형인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의 모든 하위영역의 행복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부정적 정서의 경험을 낮추는데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분적으로 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의 선택적 소비절제 또한 소비행복을 증진시키며 일반적 행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인 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는 예상하였던 바대로 소비행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가 작용하는 또 다른 유형인 강박적 소비절제는 소비행복보다는 일반적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강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감소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발적 동기 강화전략이 유용한데 특히 재무관리동기 부여가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적 동기의 유발이 소비절제의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동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 ...
본 연구는 ‘소비자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소비절제’ 유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절제는 동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동기가 다른 소비절제가 소비자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실증적 모형은 소비의 양적 지향을 추구하는 기존의 소비자행동모형에 대한 대안으로서 바람직한 ‘소비절제모형’으로 역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절제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은 동기에 따라 적절히 분류되는가를 요인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8개의 요인으로 구분되는 소비절제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자발적인 소비절제유형으로 (1)근검절약으로 인한 소비절제, (2)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 (3)자발적인 간소화로 인한 소비절제, (4)자급자족형 소비절제, (5)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와, 부분적으로 자발적인 (6)선택적 소비절제, 비자발적인 소비절제인 (7)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와 (8)강박적 소비절제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비행복뿐만 아니라 일반적 행복을 증가시키는 소비절제는 자발적인 소비절제이다. 특히 재무관리를 위한 소비절제는 전체적인 소비행복과 소비행복의 하위요소인 소비생활만족, 소비자율성, 소비자신감뿐만 아니라 일반적 행복의 하위요소인 삶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비절제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절제를 하더라도 자발적으로 미래를 위해 또는 효율적인 재무관리를 수행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소비절제는 소비자생활의 만족과 더불어 자율성을 증진시키주며 소비자신감을 높여 결국 삶의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근검절약으로 인한 소비절제, 자발적 간소화를 위한 소비절제 또한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이 영향을 미치는 소비절제유형이다. 즉 자발적이고 개인적인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특히 재무관리의 습관화 또는 내재화는 소비절제로 인한 고통을 줄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소비자의 행복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무관리교육이 중요성을 행복차원에서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셋째,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자발적이지만 사회적 동기가 작동하는 소비절제유형이다. 다른 유형의 소비절제와 달리 환경문제예방을 위한 소비절제는 소비행복과 일반적 행복의 모든 하위영역의 행복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사회적, 공익적 동기의 유발이 소비절제의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넷째, 부분적으로 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의 선택적 소비절제 또한 소비행복을 증진시키며 일반적 행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특히 선택적 소비절제, 작은 사치를 즐기는 것은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소비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취향을 개발하여 소비절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은 유효한 전략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다섯째,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인 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는 예상하였던 바대로 소비행복을 감소시킨다. 소비생활만족도를 낮추며, 소비자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소비자율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전반적으로 행복감도 낮춘다. 삶의 만족도를 낮추고 긍정적 정서를 덜 느끼게 하며 부정적 정서를 더 느끼게 한다.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가 작용하는 또 다른 유형인 강박적 소비절제는 소비행복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소비자율성은 낮게 느끼게 한다. 이 유형의 소비절제는 일반적 행복에는 다른 유형의 소비절제보다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 강박적 소비절제는 소비행복보다는 일반적 행복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경제적 부족이나 강박과 같은 소비자의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비자발적이고 개인적인 동기는 제거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할 것이지만 제거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렇지만 소득증가나 강박성의 치료 등 적극적인 제거노력이 필요하다. 대안적으로는 자발적인 동기 또는 사회적 동기를 강화하는 전략을 함께 취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로 다른 유형의 소비절제성향들 간의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을 감안해본다면 경제적 부족으로 인한 소비절제성향이 높은 사람에게 (+) 상관이 있는 근검절약이나 재무관리의 동기를 적극적으로 부여하고, 선택적 소비절제행동의 실천을 권유해본다면 행복에 대한 부정적 효과가 일부 상쇄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