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소매유통기업의 마케팅 지원 도구 개발
Developing marketing supporting tools for retailer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2533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5월 01일 ~ 2018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정석봉
연구수행기관 경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사회네트워크분석은 복잡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체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네트워크 과학의 한 분야로, 최근에는 사회네트워크분석을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상품 및 고객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모델링하고, 그 분석 결과를 맞춤형 상품 추천, 상품 분류, 목표시장 선정 등에 활용하였다.
    반면, 사회네트워크분석을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응용하고자 했던 기존의 연구들은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과 그 활용 측면에서 다음의 한계를 갖고 있다. 먼저 선행 연구들은 표현 및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주로 이진 및 무방향 네트워크로 개체 간의 관계를 모델링 하였는데, 이와 같은 단순한 네트워크 모델은 활용 가능한 정보의 누락으로 인해 분석 결과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중심성 분석 등 기존에 제안된 일부 한정된 분석 기법만을 사용함으로 인해, 마케팅 분야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이 일부 영역에만 국한되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매유통기업을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지원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i)마케팅 활동의 분석 및 전략 수립에 효과적인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과 (ii)네트워크 분석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효과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기반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로 단계적인 연구주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1차년도의 기반연구에서는 마케팅 활동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가치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마케팅 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기업의 판매 성과와 상품 및 고객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간의 관계를 규명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판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네트워크 관점에서 규명하며, 나아가 소매유통기업의 마케팅 도구로써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차년도의 응용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을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응용하기 위한 응용기술을 개발하는 단계로써, 마케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을 개발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에 따른 trade-off와 분석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여 마케팅 활동에 적합한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의 개발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마케팅 지원도구를 개발하는 단계로, 실제 소매유통기업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 범위를 기업의 마케팅 활동 전반으로 확대할 것이다.
  • 기대효과
  • 사회네트워크분석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기존에는 파악할 수 없었던 개체 간의 다양한 관계속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 아직까지 마케팅 분야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은 일부영역에서 제한적으로만 활용되고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분석방법과 결과들은 소매유통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마케팅 지원도구는 기업에서 (i)각 상품의 관계속성에 따른 프로모션전략을 도출하고, (ii)기업 수준에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판매촉진전략 수립을 위한 해법을 제시하며, (iii)고객의 구매패턴에 근거하여 시장세분화 기준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 등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학문적/실무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한 소매유통기업의 상품 및 고객네트워크의 실증분석 결과는 마케팅 관점에의 각 개체가 가지는 이웃 개체 수 및 강도의 분포적 특징을 밝히는 초창기 연구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고객의 구매패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되고 비교·분석되는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은 기존의 단순한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을 연구하는 촉매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마케팅 활동에 적합한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 연구와 같이, 특정 목적에 적합한 ‘목적지향 네트워크 모델링의 방법’에 대한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 결과의 활용성과 신뢰성을 높여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상품 및 고객네트워크가 기업의 마케팅 지원도구로써 그 활용가치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마케팅 영역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 가치를 검증하게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 결과는 기업이 마케팅 활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것이다. 2차년도의 연구 결과는 기업이 상품의 관계속성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판매촉진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며, 3차년도의 연구결과는 마케팅 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장세분화전략 및 마케팅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외에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동선을 고려한 상품의 공간 배치, 이벤트 등의 프로모션 방향수립, 온라인 쇼핑몰의 메뉴구성 방향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마케팅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구매내역 및 고객 회원정보 등 정량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및 개발이 진행되지만, 동일한 방법론은 향후 온라인 후기, 상품평, Q&A 등의 텍스트 기반 데이터의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형화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터넷, SNS 상의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기업은 궁극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가 그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3차년도에 걸쳐 기반, 응용, 개발연구의 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별 연구 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반연구: 상품/고객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이 기업의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반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 가치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 먼저 네트워크 수준에서 상품 및 고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기업의 판매성과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소매유통기업의 고객 및 거래데이터를 확보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판매성과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할 것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의 이진 및 무방향 네트워크 외에 다양한 가중네트워크 모델링 방안을 제안하고 각 모델의 성능을 확인할 것이다. 이를 통해 (i)고객/상품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ii)판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네트워크 관점에서 규명하며, (iii)나아가 소매유통기업의 마케팅 도구로써,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응용연구: 방향·가중 네트워크 기반의 고객 구매상품 관계분석
    응용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분석하고 지원하는데 적합한 효과적인 (i)네트워크 모델링 방법 개발 및 이를 활용한 (ii)상품 수준의 판매촉진전략 도출을 목표로 한다. 선행 연구들은 상품이나 고객 간의 관계를 이진 및 무방향 네트워크로 모델링함으로써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고 분석 결과가 왜곡되는 위험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손실이 적으면서 마케팅적 필요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방향·가중 네트워크로 상품네트워크를 모델링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상품네트워크의 분석을 통해 마케팅 측면에서 효과적인 각 상품의 관계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한다.

    (3) 개발연구: 마케팅 분야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 활용방안
    개발연구에서는 응용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기업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마케팅 지원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i)상품네트워크에서 수리계획모형기반의 판매촉진전략과 (ii)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시장세분화전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상품네트워크에서 수리계획모형기반의 판매촉진전략’ 연구에서는 개별상품이 아닌 기업수준의 판매촉진전략을 연구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 수준에서의 판매촉진전략을 마케팅 목적에 따른 상품별 마케팅 자원(비용)의 투입량을 결정하는 최적화 문제로 정의한다. 이를 위하여 마케팅 비용 함수를 도출하고 방향·가중 상품네트워크 기반의 수리계획모형을 구축하며, 최적해를 구하는 효과적인 해법을 개발한다. 수리계획모형은 기업의 마케팅 목적에 따라 판매량 최대화, 매출 최대화, 마케팅 비용 최소화 등의 모형으로 구축될 수 있는데, 판매량 최대화는 시장점유율의 확대, 매출최대화 및 마케팅 비용 최소화는 기업의 수익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시장세분화전략’ 연구에서는 마케팅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장세분화 기준 수립 및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고객 구매패턴 기반의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방안을 제시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이 분야에서는 아직 시도되지 않은 사회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세분화 기준이 주어지면, 해당 기준에 의해 전체 고객들은 누락이나 중복 없이 하위집단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하위집단이 형성하는 상품네트워크는 각 집단의 구매패턴을 반영하게 되는데, 각 네트워크 간의 유사성을 확인하면 각 집단 간의 구매패턴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즉, 각 상품 네트워크 간의 유사성이 최소가 되도록 고객 집단을 구분하는 것이 구매패턴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시장세분화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개념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기준을 도출하거나, 이미 수립된 시장세분화 기준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안을 개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고객 구매패턴의 분석 방법과 마케팅 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활동의 분석 및 전략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더불어 제안된 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한 (1) 마케팅 관점에서의 상품 분류 체계, (2) 고객의 구매 행위에 기반을 둔 맞춤형 브랜드 추천 방안, (3) 상품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방안, (4)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시장세분화 방안 등을 제안하고, 실증 검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한다.
  • 영문
  •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analyzing customer purchase pattern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support effective marketing activities of compan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network modeling method for marketing activities based on various network theories. In addition, through the proposed network modeling methods, we propose (1) a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2) a customized brand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the purchase behavior of customers, (3) a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of product recommendation algorithm, and a (4) market segmentation plan using network analysis. We verify the effectiveness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사회네트워크분석은 복잡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체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네트워크 과학의 한 분야로, 최근에는 사회네트워크분석을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상품 및 고객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모델링하고, 그 분석 결과를 맞춤형 상품 추천, 상품 분류, 목표시장 선정 등에 활용하였다.
    반면, 사회네트워크분석을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응용하고자 했던 기존의 연구들은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과 그 활용 측면에서 다음의 한계를 갖고 있다. 먼저 선행 연구들은 표현 및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주로 이진 및 무방향 네트워크로 개체 간의 관계를 모델링 하였는데, 이와 같은 단순한 네트워크 모델은 활용 가능한 정보의 누락으로 인해 분석 결과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중심성 분석 등 기존에 제안된 일부 한정된 분석 기법만을 사용함으로 인해, 마케팅 분야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활용이 일부 영역에만 국한되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매유통기업을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지원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마케팅 활동의 분석 및 전략 수립에 효과적인 네트워크 모델링 방법과 네트워크 분석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세부적인 주제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세부 연구주제로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특정 분석기법 개발에 선행하여 (1)상품네트워크의 분석 결과와 기업의 판매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한 인터넷 종합쇼핑몰의 고객 구매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크기, 밀도, 포괄성 및 멱함수 지수 등 네트워크 수준의 구조적 특성 이 상품네트워크에서 갖는 의미를 해석하며, 각 특성이 쇼핑몰의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더불어, 네트워크의 모델링 방법에 따라 이진 및 가중 네트워크의 형태로 상품네트워크를 각각 구성하고 분석결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기업의 판매성과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델링 방법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마케팅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2)방향·가중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상품네트워크를 모델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객의 상품 구매내역을 활용하여 방향·가중네트워크를 모델링하고, 네트워크의 외향·내향 중심성을 활용한 상품분류 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더불어 상품분류 매트릭스를 활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방안도 제시하였다.
    한편, 마케팅에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목표시장의 도출을 위해서 (3)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시장세분화 전략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 정보와 상품네트워크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시장세분화를 수행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시장세분화를 위해 일반변수와 트랜잭션 기반 변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하이브리드 방법에는 일반변수의 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세분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상품 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는 새로운 시장세분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마케팅 활동을 위한 고객 추천 상품 및 대상의 선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4)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고객 행위에 기반을 둔 맞춤형 브랜드 추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객의 브랜드 방문이력 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고객 맞춤형 브랜드 추천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로 활용되는 협업필터링 기법을 오프라인 쇼핑몰 상황에 맞게 응용하였으며, 특히 고객의 가장 최근의 방문 브랜드정보가 아닌 해당일의 방문이력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5)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고객의 과거 구매패턴을 활용하여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을 높이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주로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했던 기존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여 (6)금융기관의 신용카드 상품에 확대하는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추천 시스템에서 주로 나타나는 ‘콜드스타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객의 다중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활용한 앙상블 기법을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기반연구의 목표인 「기업마케팅 활동에서 사회네트워크 분석의 활용가치」 연구를 툉해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네트워크가 연결정도 및 연결강도 측면에서 멱함수 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실증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다. 일반적인 사회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연결 수나 강도의 분포가 멱함수 분포를 보이고 있음은 기존의 여러 연구들을 통해서 밝혀졌지만,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네트워크 역시 멱함수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밝힌 연구는 본 연구가 처음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에게 고객의 구매패턴을 고려한 상품별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마케팅 전략수립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응용연구에 해당하는 「마케팅 전략을 위한 네트워크 모델링 및 분석방법」의 연구에서는 상품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모델링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상품의 관계속성을 찾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활용한 무방향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방향·가중네트워크를 활용한 상품네트워크의 모델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향·가중 상품네트워크는 각 상품의 방향성을 고려한 관계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정보는 묶음상품의 구성이나 교차판매, 가격할인, 추천시스템 구성 등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마케팅 활용에 요구되는 상품의 관계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각 상품의 외향 및 내향중심성을 기반으로 한 상품분류 매트릭스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상품분류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소매유통 기업의 운영자는 각 상품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해당 분류에 따른 적합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연구에 해당하는 「마케팅 지원도구 개발」연구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시장세분화 기법,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브랜드 추천 기법, 신용카드 추천 기법 등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장 세분화 기법은 기존의 인구통계학정보 등을 활용한 고객의 속성기반(attribute based)의 세분화 기법과 구매 트랜잭션 기반의 세분화 기법과 달리 이 두 가지 정보를 모두 활용하여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기준에 부합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이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 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장세분화방법은 기본적인 고객정보 및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구매패턴이 유사한 고객 집단을 인구통계학적인 일반변수 기준으로 세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에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브랜드 추천 기법은 새롭게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다양한 측위 기술을 비롯한 IoT 기술을 활용한 현 오프라인 시장에서, 고객의 쇼핑 행위를 감안한 맞춤형 추천 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방문이력 정보를 감안한 실시간 맞춤형 브랜드 추천에 관한 초창기 연구로써 그 기여가 있다고 하겠다.
    한펀, 쇼핑 시장을 확대하여 신용카드 추천 시장에도 사회네트워크분석의 개념의 도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신용카드 추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콜드스타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신용카드는 온라인 쇼핑과는 달리 보유 상품의 수가 제한적이고 그 수요가 지속적·반복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추천시스템과 같이 사용자의 상품 선호도에 기반을 둔 방식을 적용할 때는 고객 정보의 부족으로 콜드스타트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추천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신용카드 선호도를 제외한 다양한 고객 정보로 부터 다중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카드 추천에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는 금융기업이 고객의 특성에 맞는 금융상품을 효과적으로 추천하여 고객의 만족을 높이고 기업 수익 증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사회연결망분석, 사회네트워크분석, 협업필터링, 추천시스템, 마케팅전략, 가중네트워크, 상품분류, 시장세분화, 상품네트워크, 구매행위, 다중프로파일, 콜드스타트, 신용카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