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에 따른 잠재집단 프로파일 분석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Identifying latent profiles in the career-decision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career-related variabl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6760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아라
연구수행기관 건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를 통합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전문적으로 도울 수 있는 상담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학생의 진로결정 문제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발달과업이지만, 실제 많은 대학생들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며 이들의 정신건강과 사회적응을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진로결정문제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미결정과 관련된 원인과 변인 파악에 중점을 둠으로써 미결정자들의 다양한 문제를 동일한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거나, 인지, 정서 혹은 행동의 일부분으로 진로결정문제를 설명함으로써, 실제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문제의 어려움을 충분히 포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문제의 구체적인 이해’와 ‘통합적 관점에서의 진단 및 처치’의 목표를 가지고, 관련된 선행연구의 한계점들을 보완하여, 대학생들이 보유하는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정서․성격적, 행동적 변인을 사용하여 진로결정문제에 따른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진로 관련 주요 변인들이 각 유형을 구분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진로상담에서 초점을 두어야 할 방향성을 명확히 하며, 나아가 유형별로 대학생들이 보유하는 핵심 문제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 진로결정 문제 해결에 있어 ‘차별적인 진단과 차별적인 처치’가 가능한 전문적 상담 전략 마련을 추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진로상담 연구 분야에서 각각의 독립적인 변인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들을 설명하고자 했던 선행연구들의 시도를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개인의 진로결정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내용적, 방법적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시도는 추후 진행될 진로미결정 유형분류 연구 연구들에 통합적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 결과 제시된 유형과 유형별 개입방향성은 추후 상담 개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보다 진로상담사와 진로지도 기관에 대학생의 진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직접적인 개입의 방향성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주요 유형의 특성과 핵심문제를 제시하고, 각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안내해 줄 수 있다. 통합적 관점에서의 유형 분류와 핵심문제 해결을 위한 개입의 마련은 진로고민을 가진 대학생들을 심각한 부적응 문제로 나아가지 않도록 돕는 2차적 예방의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각 유형을 예측하는 변인의 확인과 더불어 추후 경험 가능한 진로장벽을 예상할 수 있게 도와주는 1차적 예방 기능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점차 활성화 되고 있는 대학교 진로교육 수업과 학생상담센터에서의 집단/개인 진로상담의 개발과 진행에 유용한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를 보다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과제는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지적/정서․성격적/ 행동적 요인을 고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결정문제에 대한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이 핵심적으로 가지는 문제를 파악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전국 소재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진 인지적 진로결정문제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완벽주의 척도, 정서․ 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자 한다. 설문 결과는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군집분석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다항로지스틱회귀계수를 사용하여 이러한 유형을 구분하는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각 변인의 영향력을 탐색하여, 대학생 진로문제를 이해하는 중요한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각 유형의 핵심문제 이해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에 대해 진로상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합함으로써 초점화된 개입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대학생 진로집단의 주요 유형과 그 특성을 밝히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들을 확인하며, 각 유형의 핵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담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진로문제에 따라 어떠한 집단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집단을 예측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659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문제, 진로준비행동,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불안, 비관적관점, 자아개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진로결정문제와 관련하여 총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은 ‘우유부단 우세형’, ‘중간형’, ‘결정과정 혼란형’, ‘지식정보 결핍형’으로 명명되었다. ‘우유부단 우세형’에 속한 대학생들은 진로결정과 관련하여 가장 어려움이 적다고 응답하였지만, 상대적으로 보았을 때 우유부단과 관련한 어려움을 보다 뚜렷하게 경험하고 있었다. ‘중간형’은 ‘우유부단 우세형’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특성은 유사하면서 진로결정과 관련된 문제가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결정과정 혼란형’은 진로결정 과정과 관련된 어려움을 가장 많이 호소하면서, 우유부단이라는 성격적인 어려움도 같이 보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식정보 결핍형’은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정보와 관련한 어려움이 가장 컸으며, 다른 집단에 비해 진로문제를 가장 크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생들의 불안, 비관적관점, 자아개념 요인과 진로준비행동이 집단을 분류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성격·정서·인지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각 집단의 특성에 적합한 차별적인 개입을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problem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career related factors (i.e., anxiety, identity, perfectionis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 on) on those latent classes. For the current study, final sample included 659 Korean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LCA) to identify different patterns of students` career decision problem.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 influence of predictors for classification. The study found four latent classes: indecision dominant class, middle-level class, confusion in decision process class, and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class. The indecision dominant class showed the lowest level in career decision problem compared with other classes but indecision problem dominant within class. The middle-level class showed similar pattern of career decision problem compared with the indecision dominant class but problem of decision making more. The confusion in decision process class showed sever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problem as well as indecision problem. The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clas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areer decision problem, especially lack of information about self and occupation. Additional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each distinctive career decision problem profile can be identified by some of predictors: anxiety, pessimistic point of view,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suggests that counselors make effort to develop the differential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 in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based on each class characteristi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문제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을 예측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659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문제, 진로준비행동,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불안, 비관적관점, 자아개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문제는 총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은 ‘우유부단 우세형’, ‘중간형’, ‘결정과정 혼란형’, ‘지식정보 결핍형’으로 명명되었다. ‘우유부단 우세형’은 진로결정관련 문제가 모든 하위영역에서 가장 낮았지만,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유부단 관련 어려움이 가장 뚜렷했다. ‘중간형’은 ‘우유부단 우세형’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특성은 유사하면서 진로결정과 관련된 문제가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결정과정 혼란형’은 진로결정 과정과 관련된 어려움을 가장 많이 호소하면서, 우유부단이라는 성격적인 어려움도 같이 보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식정보 결핍형’은 결정과정과 관련하여 다른 어려움보다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정보와 관련한 어려움이 가장 컸으며, 모든 하위영역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보였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를 제외한 불안, 비관적관점, 자아개념 요인과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의 진로관련 잠재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문제를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있어, 성격·정서·인지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처치를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대학생 진로상담 개입 및 상담자 교육에 활용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결정 관련 문제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어떠한 요인들이 그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 역시, 대학생들의 주호소 문제 중 하나인 진로문제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따라서 상담 현장에 있는 진로상담사들은 대학생의 진로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진로상담 내담자의 문제 평가 및 사례개념화 과정에서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된 주요 변인과 내담자 유형을 고려할 수 있다. 진로상담자에게 필요한 주요 역량으로 진로상담 뿐 아니라 심리, 정서 상담 역량이 필요하다는 제언에 따라, 진로상담사들이 내담자를 만났을 때, 심리적, 정서적 차원에서 ‘무엇을 보아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학생 개인이 어떤 집단에 속하는지에 따라, 해당 내담자가 경험할 수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의 내용과 수준을 제시하고, 각 집단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정서적, 성격적, 행동적 차원의 특성인지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이는 진로상담자들이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특성을 확인, 분류, 개입하는 전과정에서 방향성을 안내해 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게재를 통한 결과의 공유는 대학생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센터 및 상담자훈련 양성 기관의 상담 매뉴얼, 상담자 훈련과정 커리큘럼 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2)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개입에 근거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본 연구는 진로결정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이 모두 같은 수준의 진로결정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지 않으며, 유사한 수준의 어려움을 경험하더라도 그 양상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비롯하여, 상담소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진행, 집단에 따른 맞춤형 진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대학생들의 진로교육과 전문적인 진로 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각 대학 등에서는 진로교과목과 같은 체계적인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연구들은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대학에서 진로와 관련된 교과목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대규모 진로 교육 및 집단 프로그램의 확대와 확산에도 불구하고, 진로 교육 구성 내용에 대한 이론적 토대는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기존의 진로교육과 프로그램 구성 내용에 검토가 필요하다는 제기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대규모 진로 교육 및 프로그램에서 대상자를 어떻게 분류할지, 각 집단에 따라 어떠한 프로그램이 생략하고, 어떠한 개입을 추가적으로 투입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3) 연구방법과 측정도구 측면에서 후속연구에 활용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진로상담 관련 내담자 유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군집분석 대신, 잠재집단프로파일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진로관련 척도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보다 확보되는 3세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은 기존의 군집분석에 비해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분류의 정확성이 높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문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정서 요인을 측정하는 도구 선정에 있어, 진로미결정과 결정을 단일차원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1세대 척도들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의 이론적 토대가 분명하고, 실증적인 검증을 확보하여 개발된 도구라고 제언되는 3세대 도구들을 사용하였다. 1세대 측정도구의 대부분이 타당화 절차가 미비하고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진로미결정 연구들은 1세대 도구들을 주로 사용한다. 1세대 척도의 한계점과 3세대 척도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세대 척도를 사용한 연구가 적다는 것은 선행연구들에서 이러한 척도의 유용성이 강조되지 못하였거나, 반복 검증된 신뢰도가 부족한 이유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신뢰로운 연구방법과 척도를 사용한 본 연구와 같은 시도가 지속적으로 확보될수록, 후속연구들의 연구방법과 측정도구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진로결정문제, 잠재집단분류, 대학생, 진로상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