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에 대한 도시관광 이해집단의 의미인식 분석 및 유형화: Q방법론을 활용한 학제적 심층분석을 중심으로
Urban Tourism Stakeholders' Meaning Perception and Typology on Guest House(Urban-Home Stay for Foreign Tourists) : Focused on Q Methodological Analy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3439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2 년 (2015년 05월 01일 ~ 2017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오정근
연구수행기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여행자의 욕구의 다양화와 개성화된 여행을 추구하려는 여행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른 여행 트렌드 변화에 힘입어 기존에 선호하던 패키지 단체여행(Package Tour)에서 개별자유여행(FIT, Free Independent Travel)으로 주류 여행행태가 변화하고 있다. 개별여행자들의 증가에 따른 여행행태 변화는 그들이 선호하는 관광숙박시설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대량 패키지 단체여행에서 선호되었던 숙박시설인 호텔(Hotel)에서 게스트하우스(Guest House), 호스텔(Hostel) 등의 중저가 숙박시설(Budget Accommodation)로 선호하는 숙박행태도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개별여행이 먼저 정착되고 다양한 중저가 숙박시설이 발달한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서구 유럽 지역에서는 게스트하우스 뿐만 아니라 유사한 도시민박으로 B&B(Bed & Breakfast), Chambres d'hotes, Privatzimmer 등 다양한 형태의 도시민박이 활성화 되어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중저가 숙박시설에서 도시민박업 형태의 게스트하우스가 도입된 지 얼마 안되는 초기 단계라 법적⋅제도적 측면, 사회적 인식 등에서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관광환경 변화와 방한 외래관광객 증가에 따른 시대적 조류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2011년 12월 30일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을 관광편의시설업으로 추가한 관광진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공표․시행하였으나 게스트하우스의 사업장의 최대 연면적을 230㎡까지만 제한하는 등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정책으로 법․제도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며,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를 둘러싼 이해집단 간의 갈등도 초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관련 다양한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게스트하우스 관련 선행연구들 자체도 부족하고,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Stakeholders) 관련 연구,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의 인식, 게스트하우스 인식에 따른 정책방향 등에 관한 연구들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게스트하우스 관련 해외 선행연구에서는 Cohen(1973, 1995), Riley(1988), Poon(2003), Howard(2005, 2007), Nash, Thyne & Davies(2006) 등의 연구로 현대인의 관광철학 및 관광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게스트하우스 및 호스텔의 등장, 선호 및 증대, 밀집지역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고,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박준석(2009), 정지영(2012), 이승연(2013), 김상욱(2014) 등 건축학적 시각에서 게스트하우스의 공간적 특성, 입지분석, 디자인 계획 관련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룰 뿐,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이해집단들의 게스트하우스의 의미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와 인식에 따른 유형화 관련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스트하우스는 문화를 매개로한 관광숙박산업으로써 다양한 이해집단들이 관여되기 때문에 국가 및 지자체에서의 정책적 시각과 전략적 활용방안에서 검토되어야할 숙박문화공간으로 도시관광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소홀히 되었던 게스트하우스의 이해집단들이 게스트하우스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어떤 방안으로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대한 발전구상 로드맵을 그릴 수 있는 밑바탕이 되는 기초토대 연구가 요구되는 바, 본 연구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정치적, 심리적 등 다양한 융복합적(Convergence)인 시각에서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연구자의 관점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관점(Subjectivity)에서 분석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등 연구주제 및 접근방법에 있어서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창의적인 연구로서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의 의미인식 및 유형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로는 첫째,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서의 게스트하우스와 이해집단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기초 관련학문인 관광학, 호텔경영학에서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를 통해 게스트하우스를 포함한 중저가숙박시설에 대한 체계적 분류 및 개념적 정의 등을 통해 기초 개념을 공고히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게스트하우스의 다양한 기능적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인식 분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광학 및 호텔경영학과 바탕에 사회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경영학, 심리학 등에 기반한 학제적 연구를 접목함으로써 관광학 및 호텔경영학과의 간학문(間學文)간 융복합적 학문 탐구의 기틀을 마련하고 숙박산업의 인식전환과 연계되는 관광학 응용학습의 기초 토대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도시관광의 관광매개체인 게스트하우스 연구를 통해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들의 정책적⋅전략적 활성화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학 및 마케팅 분야(도시마케팅, 장소마케팅 등)의 심층적 접근을 통해 관광숙박문화공간의 학문적 외연확대가 가능해질 것이다.

    2) 연구의 실용적 기여도

    본 연구의 실용적 기여도로는 사회문화적 기여도, 산업적・경제적 기여도, 교육과의 연계 활용 기여도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사회문화적 기여도로는 우리사회에 부정적 인식이 팽배했던 모텔, 여관, 여인숙 등의 중저가숙박시설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는 신개념 중저가 숙박문화공간인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에 대한 연구로 외래개별관광객 유치의 첨병 역할이자 문화교류공간으로서 우리사회 건전한 숙박문화공간의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즉, FIT 관광객 증가와 현대관광객들의 소비욕구 다양화와 맞물려 여행 트렌드에 맞게 새롭게 등장한 게스트하우스는 향후 외래관광객 수용태세 확립을 위해 한국문화 전파 공간 등 도시관광 활용차원에서 구심체 역할 가능성을 타진하는 연구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산업적・경제적 기여도로서 본 게스트하우스에 관한 인식 연구가 추진됨에 따라 과거 30년 이상 우리나라 외국인 관광객들의 주요 숙박시설이었던 호텔의 획일적인 숙박행태에서 벗어나 중저가 숙박시설이지만 문화향유도 가능한 문화복합공간으로서의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경제적 의미인식을 파악하여 경제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연구로 추동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인 정부, 지자체 등에서 관광산업 정책 추진에 있어서 게스트하우스를 활용할 것이며, 고용창출 부문에서도 호텔관광분야 전공자 및 관련자들에게 창업 및 취업 활로 확대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게스트하우스와 관련된 관광산업인 테마파크산업, 레포츠산업, 관광상품개발산업, 한류산업 등과 연계 방안을 검토하여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관광융복합산업으로서의 실용연구에 기여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교육과의 연계 활용 기여도로서 그동안 한국의 관광교육에서 숙박시설에 대한 연구가 호텔관광학 분야에서는 주로 경영/경제적 의미로만 파악이 되었으며, 호텔관광학과 교과과정에서도 경영/경제적 의미 및 활용과 관련된 과목들로 주로 편성이 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를 계기도 게스트하우스라는 숙박문화공간에 대한 연구지평의 확대로 호텔숙박산업 관련 교과목에서 문화와 숙박공간이 접목된 과목 설정이 가능해지며 문화기반의 서비스인력 양성을 위한 관광숙박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의 이해집단들의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의미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이해집단 간 이상적 거버넌스(Governance)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게스트하우스의 국내외 문헌고찰, 사례연구, 국내외 현지조사를 통한 이해집단들의 게스트하우스 의미인식 분석내용을 종합하여 게스트하우스의 학제적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셋째, Q방법론적 접근에 의해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들의 관점에서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다양한 갈등과 문제점들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국내 게스트하우스의 현실적인 법적․제도적 문제점과 현안들을 개선하는 정책 방안과 전략적 육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외국인 관광객 수용태세의 강화 및 확립 차원에서 2011년 법적으로 제도권 안으로 편입된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의 본질적 의미와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이해집단들의 인식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여 유형화하고 궁극적으로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이해집단들의 역할과 거버넌스 구성, 게스트하우스 발전을 위한 정책적 및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로는 첫째, 내용적 범위로 게스트하우스의 주요 이해집단들인 공급자, 수요자의 게스트하우스 인식내용이 주가 될 것이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 1차년도에는 주로 문헌연구에 의한 게스트하우스의 학제적 개념정립,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의 사례 및 현황조사 등이 이루어지며, 연구 2차년도에는 해외 게스트하우스 밀집지역 현황파악 및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의 의미인식 현지조사 등이 주로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시간적 범위로는 게스트하우스에 대해 문헌조사, Q방법론적 조사 등이 이루어지는 2015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만 2년간이 될 것이다. 특히, 연구 1차년도인 2015년 5월부터 2016년 4월까지는 국내(서울, 부산, 제주)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을 대상으로 집중조사가 이루어지며, 연구 2차년도인 2016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는 해외(유럽지역, 아시아⋅태평양 지역)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을 대상으로 집중조사가 이루어진다. 셋째, 공간적 범위로는 1차년도 국내연구 경우에는 국내 게스트하우스가 밀집해있는 서울, 부산, 제주 등의 도시가 될 것이며, 2차년도 해외연구 경우에는 해외의 공간적 범위로서 해외 개별여행 및 배낭여행의 메카로 불릴 정도로 많은 FIT를 유입하는 유럽 지역 및 아⋅태 지역이 될 것이다. 특히, 게스트하우스들이 밀집되어 활성화 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즉, 유럽의 이탈리아 로마 떼르미니역(Termini Station) 부근, 터키 이스탄불 술탄아흐멧(Sultanahmet) 악비익(Akbiyik)거리와 아⋅태 지역의 태국 방콕 카오산로드(Khaosan Road), 호주 시드니 킹스크로스(King's cross) 지역 등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단계별 통합연구로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 기초연구로 문헌연구, 2단계 심층연구로 Q방법론적 연구, 3단계 종합분석으로 단계별로 나누어 진행되며 통합적으로 결과를 이끌어낸다. 문헌연구로는 현황분석, 사례분석, 이론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며,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Q방법론적 접근에 의한 조사 및 분석이다. 통합분석방법에서는 1단계(문헌조사), 2단계(Q방법론적 조사)를 통합하여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정책적 ․ 전략적 시사점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단계별로 구체적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1단계 문헌연구로는 국내외 게스트하우스 현황분석, 법제도적 차원의 해외 게스트하우스 활성화 국가 사례조사, 사회학 ․ 행동심리학 ․ 문화인류학 ․ 지리학 ․ 경영학 등의 학제적(學際的) 관점에서 게스트하우스의 기능적 의미에 관한 이론 고찰 등이 포함된다.
    2단계 심층연구에서는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주요 이해집단인 공급자와 수요자 집단을 대상으로 William Stephenson(1953)이 고안한 Q방법론에 의해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의미인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Q방법론적 접근에 의해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의 의미인식 분석과 의미인식 분석에 따라 조사대상 이해집단 구성원들의 특성에 따른 유형화가 가능할 것이다.
    최종 3단계에서는 1단계의 문헌조사와 2단계의 Q방법론적 심층분석을 종합하여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학제적 개념을 완성하고,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의 의미인식에 따른 이해집단의 유형화를 통해 비교분석하여 정부, 지자체의 법제도적 차원 및 전략적 차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상적인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간의 거버넌스(Governance) 구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며, 도시관광 활성화의 매개체로서 게스트하우스의 육성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여행 욕구의 다양화와 개성화된 여행 추구에 따른 여행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개별여행객들을 중심으로 게스트하우스 숙박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2010년대 초반 게스트하우스가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제도화 되었지만 게스트하우스가 법제화 되어 관광숙박시설로서 도입된 지 얼마 안 되는 초기 단계라 법적⋅제도적 측면, 사회적 인식 등에 대한 연구가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불법 운영, 규모의 제한 등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관련 다양한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게스트하우스의 중요성과 제도적 문제점 그리고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관광환경의 변화아래 관광산업 발전과 도시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게스트하우스 인식과 유형화 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표로는 Q 연구조사 방법을 통하여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의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의미인식를 통해 유형화 하는 것이고, 이해집단들의 유형화 비교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게스트하우스의 개념확립과 이해집단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 및 전략적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 영문
  • Lodging in Guesthouse for independent tourist is increasing by travel trend according to travel desire’s diversity and individuation tendency of travel pursuit. Even if guesthouse was institutionalized into Urban-Home Stay for Foreign Tourists early 2010s, studies for the law and regulation dimension regarding to guesthouse is not enough.
    So this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typology of guesthouse is demanded in terms of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and urban tourism’s activation over guesthouse’s importance, regulation problems and tourism environment’s change.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ypology of meaning perception on guesthouse among stakeholders by Q methodology, also, it is arranging establishing concept of guesthouse, politic and strategic countermeasures which bring interest coordination and win-win develop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on the typology of meaning perception on guesthou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전 세계적으로 여행자의 욕구의 다양화와 개성화된 여행을 추구하려는 여행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른 여행 트렌드 변화에 힘입어 기존에 선호하던 패키지 단체여행(Package Tour)에서 개별자유여행(FIT, Free Independent Travel)으로 주류 여행행태가 변화하고 있다. 개별여행자들의 증가에 따른 여행행태 변화는 그들이 선호하는 관광숙박시설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대량 패키지 단체여행에서 선호되었던 숙박시설인 호텔(Hotel)에서 게스트하우스(Guest House), 호스텔(Hostel) 등의 중저가 숙박시설(Budget Accommodation)로 선호하는 숙박행태도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중저가 숙박시설에서 도시민박업 형태의 게스트하우스가 도입된 지 얼마 안 되는 초기 단계라 법적⋅제도적 측면, 사회적 인식 등에서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에서 게스트하우스 공급자와 수요자 등의 주요 이해집단의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인식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의 수요집단(이용자), 공급집단(운영자) 등 이해집단들의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의미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유형화하는 것이다. 둘째, 게스트하우스(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의 국내외 문헌고찰, 사례연구, 국내외 현지조사를 통한 이해집단들의 게스트하우스 의미인식 분석내용을 종합하여 게스트하우스의 학제적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셋째, Q방법론적 접근에 의해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들의 관점에서 게스트하우스를 둘러싼 다양한 갈등과 문제점들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국내 게스트하우스의 현실적인 법적․제도적 문제점과 현안들을 개선하는 정책 방안과 전략적 육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Q 연구조사에 의한 유형화 결과, 첫째, 내국인과 외국인 게스트하우스 이용자(관광객)의 인식분석 결과로 각각 4가지 유형, 둘째, 운영자와 이용자의 인식분석 결과로 운영자 4가지 유형, 이용자 6가지 유형, 셋째, 국내와 해외 게스트하우스 이용자의 인식분석 결과로 국내 이용자 6가지 유형, 해외 이용자 3가지 유형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국내 및 해외에서 수행한 Q 조사분석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국내 연구조사 결과로 한국인 이용자와 외국인 이용자의 게스트하우스 인식분석 결과는 각각 4가지 유형(한국인 이용자-‘정보교류소통공간’, ‘중요특별숙박공간', '대체숙박시설공간', '여행편의공간', 외국인 이용자-‘가치효율공간’, ‘소통교류공간’, ‘외래관광객 대체숙박공간’, ‘흥미로운 문화숙박공간’)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국내 연구조사 결과로 운영자와 이용자의 게스트하우스 인식분석 결과는 운영자 4가지 유형(여행편의성 숙박시설로 의미인식형, 경제활성화 숙박시설로 의미인식형, 소통 및 정보공유 공간으로서 의미인식형, 법적 규제와 육성의 대체숙박시설로의 의미인식형), 이용자 6가지 유형(소통 및 정보교류 공간으로 의미인식형, 외국인관광객 대체숙박시설로서 의미인식형, 문화예술공간으로 의미인식형, 혁신형 관광숙박공간으로 의미인식형, 외국인관광객 대체숙박시설로서 부정적 의미인식형, 효율성 추구 숙박공간으로 의미인식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해외 연구조사 결과로 미국 게스트하우스 이용자의 인식 결과로는 대체숙박가치공간, 문화교류소통공간, 문화자원 육성위한 관리대상 숙박공간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Q조사 유형화에 의한 분석결과를 주요 이해집단별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자면, 첫째, 한국인 이용자와 외국인 이용자의 게스트하우스 인식내용에서 공통적 인식으로는 대체숙박시설과 여행편의효율공간이란 인식이었고, 차별화 된 인식으로는 한국인 관광객은 정보교류나 특별공간 등의 기능적 의미에 대해 중점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외국인 관광객은 소통교류나 문화숙박공간 등의 문화교류적 의미에 대해 중점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운영자와 이용자의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공통인식으로는 편의성과 소통성이었고, 차이인식으로는 운영자는 경제활력성에 대해 이용자는 문화공간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내외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인식 비교분석 결과, 공통인식으로는 대체성, 소통성, 문화성 등이었고, 차이인식으로는 국내 게스트하우스는 혁신성 공간, 해외 게스트하우스는 관리대상성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가지 차원(관광 전략 및 정책 차원, 게스트하우스 이해집단 차원, 국내외 게스트하우스 경쟁력 차원, 학술적 차원 등)에서 연구결과 활용 방안 및 시사점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관광마케팅 및 전략적 차원의 경쟁력 강화 방안과 시사점으로는 한국인 여행객은 정보교류 및 편의 공간으로서 게스트하우스를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외국인 여행객은 문화교류 및 소통 공간으로서 게스트하우스를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러짐에 따라 국내외 시장별 타겟에 따른 적절한 경쟁력 확보 및 마케팅 전략이 요청되고 관광정책적 차원의 경쟁력 강화 방안과 시사점으로는 게스트하우스 밀집지역 개발 계획, 불법 게스트하우스 관리 및 양성화 방안, 세재 혜택 등의 구체적 지원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게스트하우스 수요집단 및 공급집단 차원의 활용방안과 제언으로는 정부와 지자체, 관광 및 숙박 관련 사업체 등 게스트하우스 관련 이해관계자 집단들은 게스트하우스 공급 및 수요집단의 유형화 분석에 따른 편의성 및 소통성의 공간과 같은 공통분모의 특성을 유지해 나가면서 경제활력성 및 문화공간성의 차별화된 특성을 보완하여 제도권 안에서 한국형 게스트하우스 모델을 육성해 나가는 정책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국내 게스트하우스와 해외 게스트하우스의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해외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것처럼 게스트하우스는 문화성 공간이자 제도적 관리대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을 우리나라 게스트하우스의 육성 방향에도 적용하여 문화교류공간이자 제도권 안에서 보호 및 관리해야 할 대표적 숙박문화공간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게스트하우스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게스트하우스를 대표적 중저가 숙박문화시설로서 활용해야 한다. 넷째, 학술적 차원에서 활용방안 및 시사점으로는 본 연구는 방법론적 차원에서도 의미를 갖는데, 즉, FIT 개별관광객의 게스트하우스라는 숙박시설의 소비선택과 행동에 따른 인식분석을 인간의 관념이나 신념과 같은 주관적 영역을 관광객의 행위자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조사 및 분석을 하였는데, 향후 관광학 분야에서 Q방법론의 적용은 향후 관광객 행동 등의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부문까지 심층적 연구가 요구되는 관광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관광학 전반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게스트하우스,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이해집단, 인식분석, 유형화, Q방법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