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현대적 공간디자인을 위한 전통원림(園林)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garden for modern spatial desig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3605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2 년 (2015년 05월 01일 ~ 2017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민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공간디자인 분야에 있어‘전통’이란 키워드는 지금껏 적지 않은 비중과 가치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생활방식과 양식, 그리고 일체의 사고와 밀접히 맞닿아 있기 때문에 시공(時空)의 축적으로 형성된 전통과의 관계를 간과할 수 없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의 현대 공간의 정체성(Identity)을 발현하기 위해 콘텐츠(Contents)에 대한 탐구, 두터운 층의 담론과 해석, 그리고 전통 공간의 맥락을 이해한 현대적 공간으로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해 전통 원림(園林)을 대상으로 삼아 현대적 공간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왜 원림(園林)을 대상으로 삼았는가? 사회적 위계를 반영하는 다른 유형의 건축물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바로 개인을 중심에 둔 맞춤형으로 주어진 조건 아래 최상의 공간을 표현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실생활을 영위했던 역사의 현장으로써 단순히 바라보는 대상 이상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기술에 앞서 예술적 의취(意趣)가 원림의 가치와 수준을 평가하는 잣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원림에 표현된 지역 문화와 당시의 예술적 성향 및 학문적 특질, 그리고 거주자 개인의 취향 등을 분석함으로써 원림을 조성하는 조원(造園)에 관한 관념과 특성을 풍부하게 해석해낼 수 있다. 도출된 특성들은 다변화되는 사회 속에서 한국의 현대 공간의 맥을 이어가는 하나의 단초로 활용되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원림에 대한 정량적 연구 자체가 현저히 부족하고, 형상 위주의 표피적 특성만으로 원림을 언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본질적 속성을 이해한 깊이 있는 접근이 쉽지 않았다. 이제 그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현대의 삶 속에서 공간적으로 전승할 사고(思考)와 방안으로서의 원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생활방식과 양식을 반영한 생활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콘텐츠로서의 원림에 집중하여 현재 한국인의 생활 문화를 반영하고, 한국 특유의 공간적 정체성을 이어가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전통 공간의 현대적 활용화 방안에 대해 구체적 대상인 원림을 설정하고, 집중적으로 생활상을 근거로 확인하기 때문에 일정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교육과 실무 영역에 있어서도 원림이라는 영역을 소개하여 미시적 차원의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한국의 공간 문화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한 지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곧바로 전통 공간의 현대화, 전통 공간의 생활상이라는 측면에서 공간을 다루는 영역 내에서도 주거론, 주거 디자인, 교육과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다.
    <사회적 측면>
    - 현대 공간적 문제 해결을 위한 미시적 차원의 방안 자료로 활용
    - 생활 문화 기반의 공간 해석으로 주거론, 생활 환경론, 주거 디자인에 적용
    - 전통의 현대화에 대한 방법적 접근 사례로 활용하여 한국 공간성 제고에 기여
    <학문적 측면>
    - 원림 공간성에 대한 다학문적 융합 연구의 기틀 마련
    - 한국의 독자적 공간성 제시를 통한 대외 학술 교류에서 독자적 입지 구축
    - 학술 발표와 세미나를 통한 학계의 공감대 형성
    <인력양성·교육적 측면>
    - 전통 교육의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는 사례로 활용
    - 융합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서의 입지 구축
    - 한국 문화에 대한 소양 있는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
  • 연구요약
  • 현대 공간을 조성함에 있어 전통에 대한 왜곡된 표현을 최소화하고, 지역 문화의 전통에 대한 성숙된 이해로 공간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에 일조하기 위한 연구이다. 전통의 주요 대상으로 원림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원림은 문화적 영향이 지대한 분야이다. 그 결과상 보이지 않지만, 과정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드러내어 본질을 이해해야 보다 풍부한 공간 어휘와 콘텐츠의 추출이 가능하다.
    이를 진행하기 위해 총 4단계로 연구 전체의 과정을 구성한다. 우선, 1단계에서는 원림 원형(原形)을 연구하고, 2단계에서는 전통성 기반 연구 – 한국 전통 원림과 생활 방식과 문화에 관한 내용을 전개한다. 3단계에서는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최종적으로 현대적 활용성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중심이 되는 내용은 원림에서의 생활방식과 문화이다. 원림이라는 대상 자체가 시대적 정황 및 인문적 소양을 토대로 이해하고서야 그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생활 방식과 문화는 단편적으로 다룰 수 있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원림학이나 건축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환경학, 생태학, 주거학, 철학, 인문학, 지리학, 민속학, 예술학, 고고학과도 연계하여 자료의 다양성과 다각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여 공간적 양상을 구체화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 보면, 한국적 공간성을 도출하는 과정에서는 중국과의 사례 비교를 통해 한국적 공간성 도출의 전반을 점검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어 현지 답사와 자료 수집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창의성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원림은 실생활을 영위했던 곳이기 때문에 사람(인물)에 집중하여 생활방식이 반영된 환경으로서의 원림과 그 가치를 제시한다. 둘째, 원림(園林)에 대한 연구를 통해 궁, 사찰, 고택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전통 공간 연구 영역을 확장한다. 셋째, 전통과 현대의 관계에 있어 동양적 사고-관(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해석하여, 기존의 형상 중심 관계의 대상 분석 방식과 차별화한다. 넷째, 전통 연구 대상을 과거의 전통 자체에 집중하는 단계를 넘어, 현대의 삶과 공간에 수용,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전통’이란 키워드는 세계화가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사회 전반에서 아이덴티티(Identity)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왔다. 특히, 그 근간이 되는 독자적 문화 콘텐츠(Contents)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공간은 생활방식과 양식, 그리고 일체의 사고와 밀접히 맞닿아 있기 때문에 시공(時空)의 축적으로 형성된 전통과의 관계를 간과할 수 없다. 그 한 과정에서 시작된 지역 중심적 사고는 공간의 차별성을 지역 문화로부터 발견하고 해석하여 작품에 적용하는 성공적 사례가 적지 않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해 전통 원림(園林)을 대상으로 삼아 현대적 공간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원림이 갖는 특유의 조원관(造園觀)과 표현 특질을 파악하고, 그 속에서 현대 공간에 적용 가능한 특성을 도출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공간관(空間觀) 확장을 위하여 원림의 학술적 맥이 비교적 잘 이어온 중국과 비교 연구 및 사례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세계적 수준의 공간을 선보이고 많은 작가들을 배출한 일본의 사례를 확인함으로서,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성을 담는 공간을 형성하는 근원과 방법, 그리고 결과적 표현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 영문
  •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keyword ‘tradition’ in the field of space design has been deemed significant. In particular, since space design is closely connected with lifestyles, manners and all kinds of thou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design and tradition, created by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space, cannot be ignored. In order for modern spaces in South Korea to reveal a clear ident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t is expected to develop modern spaces into a space that reflects the outcomes of exploration and in-depth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of various contents, and reflects full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traditional space. Considering this expect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esign method that uses modern space while using traditional gardens as its subject in order to extract differentiated contents.

    Then, why did this study use gardens as its subject? It is because garden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buildings reflecting social hierarchy. A garden is a customized space that aims to deliver the most pleasant environment under given condition, and is a space that not only provides aesthetic beauty but is a historical site where people led their life. In addition, as artistic intention and disposition ahead of technology serve as a standard to evaluate the value and level of a garden, the ideas and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garden-making process by which a garden is created, can be abundantly interpreted by analyzing local culture, artistic inclination of the time, and academic property expressed in the garden. Found characteristics are valuable enough to serve as a clue to maintain the contexts of Korea’s modern spaces in the changing society. Nevertheless, quantitative research on gardens has never been sufficiently conducted, and gardens have been mentioned to indicate their superficial characteristics alone focusing on their shape. This has made it extremely difficult to produce an in-depth approach to understanding its essential attribut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garden that reflects thoughts and ways to be spatially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modern life in order to tide over those limi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전통원림을 주대상으로 하여 현대 공간을 조성함에 있어 전통에 대한 왜곡된 표현을 최소화하고, 지역 문화의 전통에 대한 성숙된 이해로 지역문화에 따른 공간적 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원림은 문화적 영향이 지대한 분야이다. 그 결과상 보이지 않지만, 과정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드러내어 본질을 이해해야 보다 풍부한 공간 어휘와 콘텐츠의 추출이 가능하다. 이를 진행하기 위해 총 4단계로 연구 전체의 과정을 구성한다. 우선, 1단계에서는 원림 원형(原形)을 연구하고, 2단계에서는 전통성 기반 연구 – 한국 전통 원림과 생활 방식과 문화에 관한 내용을 전개한다. 3단계에서는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최종적으로 현대적 활용성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중심이 되는 내용은 원림에서의 생활방식과 문화이다. 원림이라는 대상 자체가 시대적 정황 및 인문적 소양을 토대로 이해하고서야 그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생활 방식과 문화는 단편적으로 다룰 수 있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원림과 관계된 여러 분야를 종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 보면, 공간성을 도출하는 과정에서는 중국과 일본과의 사례 비교를 통해 공간성 도출의 전반을 점검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어 현지 답사와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창의성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원림은 실생활을 영위했던 곳이기 때문에 사람(인물)에 집중하여 생활방식이 반영된 환경으로서의 원림과 그 가치를 제시한다. 둘째, 원림(園林)에 대한 연구를 통해 궁, 사찰, 고택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전통 공간 연구 영역을 확장한다. 셋째, 전통과 현대의 관계에 있어 동양적 사고-관(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넷째, 전통 연구 대상을 과거의 전통 자체에 집중하는 단계를 넘어, 현대의 삶과 공간에 수용,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단계에 의해 원림이라는 대상의 현대적 활용성에 대한 고민을 하기에 앞서, 한국의 문화적 원형성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방법을 취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공간들이 현대적으로 적용된 사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의 한계와 부족부분에 대한 보강을 위해 2차 년도에는 현대적 활용 방법의 사례가 비교적 활발하게 전개되어 있는 일본의 원림공간 해석에 주목하여 그 방법을 탐구하였다. 일본이 일본적 공간 성격을 명확하게 드러내어 공간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우수한 표현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는 만큼, 전통원림에 대한 이해와 현대 생활 속 활용에 대한 이해가 일본의 사례를 통해 확인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두 차례의 전통원림과 현대공간의 집중적 답사를 실시하였고,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첫째, 전통원림에 대한 이해를 표현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사이클, 또는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었다. 원림에서의 생활 양태를 현재 삶에서 녹아내려는 바가 담겨있었다. 원림은 실제 조성자의 의미와 가치, 취향과 기호에 따라 하나의 잣대로 평가하기 어려움이 있는 대상이다. 현재 일본 동경의 가장 중심지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을 보면, 원림에서의 생활 방식과 사고를 녹여낸 듯한 공간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고, 그 각자의 다름이 모여진 곳들에 그린 요소를 공간 조건에 맞게 끌어들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둘째, 전통원림의 형태와 표현방식 그대로를 정원 요소로 끌어와 관람의 방식으로 해소하고 있었다. 이는 전형적인 관상방식으로 호텔, 미술관/박물관, 식음공간, 상업공간 등 그 범위와 대상에 제한이 없고 규모의 차이로 나타나 있었다. 이상의 탐구와 숙고의 과정을 한국-중국-일본을 오가며 차이와 공통점을 확인하는 과정 속에서 현재 본문에 제시한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방향을 갖고 있으며, 이 중 2편 이상을 등재지 기준의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전통 원림, 생활 방식, 현대, 공간 디자인, 해석, 적용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