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별 화용 정보 구축 연구
Study on establishing pragmatic descriptions of grammatical item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6997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2 년 (2015년 05월 01일 ~ 2017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준호
연구수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이 의사소통적 교수법에서 말하는 실제 언어 사용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문법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고 문법 교육의 제시 내용이 형태와 의미 정부에 머물지 않도록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의 화용 정보의 기술 내용을 개발하고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현재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는 형태와 의미 정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화용 정보에 대한 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국어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하여 각 단계의 교육 문법 항목마다 해당 항목의 화용 정보를 개발하고 구축하는 것을 주요 연구 문제로 삼을 것이다. 나아가서는 이 연구의 결과를 교재 개발자, 지침서 개발자, 교육용 사전 개발자들이 앞으로의 교육 자료 개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한국어 교사들이 쉽게 본 연구의 결과를 찾아 활용하게 함으로써 한국어 문법 교육이 형태, 의미 중심 교육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본격적인 의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도구 교육의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일종의 교육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 사전 구축과 같은 성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구축될 교육적 정보는 그 정보의 양이 방대할 것이라는 장점 외에도 연구 결과의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가 초중고급 어느 한 급의 문법 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대표성이 큰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기술을 진행하므로 대다수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담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대부분의 교육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아래와 같은 활용방안이 기대된다.

    1) 한국어 교육 현장과의 연계 및 현장에서의 활용방안
    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어 문법 교육 시에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기존에 부족했던 화용 정보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의사소통성과 실제성을 강화하고 한국어 화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모할 수 있다.

    2)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과의 연계 및 자료 개발자의 활용 방안
    한국어 문법 사전 편찬자, 한국어 교재 및 지침서 개발자 등이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양질의 문법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게 한다. 현재 형태 정보나 의미 정보의 경우와 달리 화용 정보를 집대성한 자료가 없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교재와 교육 자료의 수준을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다.

    3) 한국어 교육 학계와의 연계 및 연구 인력의 활용 방안
    한국어 연구자, 논문을 작성하는 한국어 교육계의 후학 등이 본 연구의 연구 결과 및 연구 방법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기타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기술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한국어 문법 교육의 연구 동향을 형태, 의미 정보 중심에 그치지 않고 화용 정보 중심으로까지 연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하나의 문법 항목이 교육되기 위해서는 형태, 의미, 화용 정보가 모두 전달되어야 하며 이것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각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이 가지는 이 세 정보가 기술되어 있어야 하며, 교사들이 이를 쉽게 참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 교사들이 참고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 교사용 지도서, 혹은 한국어 문법 사전, 한국어 어휘·조사 사전 등에는 대체로 형태와 의미 정보 정도만을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용 정보의 경우, 매우 소략하게만 다루어지거나 아예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화용 정보가 일부 다루어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근거가 불분명하거나 체계가 희박하여 교사에게 혼란을 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약 320개로 예상되는 초·중·고급의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문법 항목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가 구축되어 있는지를 파악한 후, 형태, 의미, 화용 정보 중 공란으로 남아 있는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를 개발하고 기술하여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의 설명과 기술을 완성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이 형태나 의미 정보 중심의 넘어 문법 항목이 내재하고 있는 화용 정보를 중심으로 한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초급 및 중급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문법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당 교육 문법 항목이 가지고 있는 형태·의미·화용 정보를 학습자가 고루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어교육의 경우에도 최근 문법 교육에 있어서 항목별 형태·의미·화용 정보를 규명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데, 화용 정보의 경우, 형태·의미 정보에 비하여 그 연구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성과가 문법서나 문법 관련 연구에 집약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문법을 교육하는 한국어 교사들의 경우, 매 문법 항목마다 따로 화용 정보를 찾아보아야 하고, 찾아보더라도 많은 경우, 해당 항목의 화용 정보가 규명되지 않아 문법 교육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급 및 중급의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필자는 필자가 1차적으로 구축한 화용 정보에 6인의 자문위원들의 의견을 수렴·반영하여 총 77개의 초급 문법 항목 및 총 79개의 중급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구축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scribe pragmatic information for grammatical item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 novice and intermediate level, in order to help L2 Korean learners develop an authentic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out studying grammatical items. The 3 dimensional grammar framework for L2 grammar instruction insi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the morphosyntactic information, semantic information and pragmatic information, so that students can actually use the grammatical items they learn in their language class. However, identifying pragmatic inform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not been fully accomplished and the studies on pragmatic information for Korean grammatical items are relatively less well-progressed than ones on morphosyntactic information or semantic inform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and deduce the representative grammatical items for novice and; intermediate students and identify tentative pragmatic information for each deduced items. Furthermore, as a way to secure objectivity, the result of the tentative pragmatic information will be examined by an advisory panel and their opinions will be reflected to describe final list of pragmatic information. In case of grammartical items for novice learners, 77 itmes have been selected and examined. In case of the intermediate, 79 itmes have been select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이 형태나 의미 정보 중심의 넘어 문법 항목이 내재하고 있는 화용 정보를 중심으로 한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초급 및 중급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문법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당 교육 문법 항목이 가지고 있는 형태·의미·화용 정보를 학습자가 고루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어교육의 경우에도 최근 문법 교육에 있어서 항목별 형태·의미·화용 정보를 규명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데, 화용 정보의 경우, 형태·의미 정보에 비하여 그 연구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성과가 문법서나 문법 관련 연구에 집약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문법을 교육하는 한국어 교사들의 경우, 매 문법 항목마다 따로 화용 정보를 찾아보아야 하고, 찾아보더라도 많은 경우, 해당 항목의 화용 정보가 규명되지 않아 문법 교육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급 및 중급의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필자는 필자가 1차적으로 구축한 화용 정보에 6인의 자문위원들의 의견을 수렴·반영하여 총 77개의 초급 문법 항목 및 총 79개의 중급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구축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한국어 교육 현장과의 연계 및 현장에서의 활용방안
    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어 문법 교육 시에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기존에 부족했던 화용 정보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의사소통성과 실제성을 강화하고 한국어 화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모할 수 있다.

    2)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과의 연계 및 자료 개발자의 활용 방안
    한국어 문법 사전 편찬자, 한국어 교재 및 지침서 개발자 등이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양질의 문법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게 한다. 현재 형태 정보나 의미 정보의 경우와 달리 화용 정보를 집대성한 자료가 없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교재와 교육 자료의 수준을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다.

    3) 한국어 교육 학계와의 연계 및 연구 인력의 활용 방안
    한국어 연구자, 논문을 작성하는 한국어 교육계의 후학 등이 본 연구의 연구 결과 및 연구 방법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기타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기술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한국어 문법 교육의 연구 동향을 형태, 의미 정보 중심에 그치지 않고 화용 정보 중심으로까지 연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 색인어
  • 한국어 문법 교육, 화용 교육, 문법의 화용 정보, 초급 중급 문법 교육, 형태·의미·화용 정보, 문법 교육의 내용, 문법 교육의 내용 체계 구성 요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