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본 고대 유대교 문헌과 근현대 예술에 나타난 창세기 22장의 이삭 번제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mage of the Sacrifice of Isaac in Genesis 22 in the Early Jewish Literature and Modern and Contemporary Art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Theolog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7428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오성호
연구수행기관 총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창세기 22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이삭 번제 이야기는 구약과 신약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건이다. 이 이야기는 아브라함의 인생에 있어서 결정적인 사건으로 그의 인간적 고민, 신앙과 인생의 의미를 잘 드러내고 있으며, 구약신학과 신구약 성경신학적 관점에서도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이루어가시는 구원사적 흐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기독교 자체의 형성을 위해서와 기독교인들의 삶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구약에서 흥미 있는 이 이야기는 구약을 공유하는 유대교(와 심지어 이슬람교)에서도 많이 사랑받는 이야기이다. 유대 문헌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삭 번제 이야기를 언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이삭번제 이야기는 일반 문화 속에서도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면 이 이삭번제의 이야기는 구약과 신약에서 어떤 의미가 있으며, 이것은 또한 기독교 이외의 영역, 특히 유대교와 일반 문화에서 어떻게 영향을 끼쳐 왔는가? 고대 유대교와 일반 문화에서는 이삭 번제 이야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고 적용해 왔는가? 이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구약과 신약에서 이삭 번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밝히고 나서, 고대 유대교 문헌 내에서의 이삭 번제 이야기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이해되었는지를 연구하고, 그 후에 특별히 근현대 문화에서 이삭 번제 이야기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특히 예술 작품의 이미지로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었는지를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특히 렘브란트, 카라바지오(미켈란젤로), 샤갈, 티치아노 등의 화가와 기베르티와 브루넬레스키 등의 조각가의 작품들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다른 화가 및 예술가들의 작품들도 개괄적으로 다루어진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를 통하여 구약 성경에 나타난 이삭 번제 이야기가 기독교의 신약 성경은 물론 타종교인 고대 유대교적 문헌에서와 근현대 일반 문화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함으로써 구약의 이야기가 유대교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영향을 끼쳤는지와 그 번제 이야기가 일반 문화 특히 예술에 끼친 영향 및 문화적인 상호관계 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기독교의 성경 신학과 일반문화에 관한 예술 비평 사이의 대화와 융합을 위한 중요한 밑받침이 되므로 일반적인 인문학적 토양을 배양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창세기 22장의 이삭 번제 사건이 고대 유대교 문헌에서와 근현대 문화 속의 예술 작품(이미지)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한다. 먼저 본 연구는 이삭 번제 사건이 창세기의 아브라함 사이클 속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삭 번제 사건 자체가 아브라함에게 뿐만 아니라 구약의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이삭번제 이야기가 신약에서 어떻게 인용 및 암시 되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신약은 이삭 번제 사건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이어서 본 연구는 고대 유대교 문헌 내에서 이삭 번제에 관한 이야기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쥬빌리, 위-쥬빌리, 필로, 제4 마카비서, 요세푸스, 위-필로, 탈굼 및 미드라쉬 등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뿐만 아니라 근현대 문화 속에 나타난 이삭 번제의 이미지를 렘브란트, 카라바지오, 샤갈, 티치아노 등 특히 중요한 화가/예술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그리하여 그런 이삭 번제의 이미지들이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이 연구는 성경신학과 예술 비평 방법의 융합과 대화를 한걸음 더 이루게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창세기 22장의 이삭 번제 사건이 신구약 정경 안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와 근현대 문화 속의 예술 작품(이미지)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이삭 번제 사건은 아브라함 사이클 속에서 하나님의 약속과 성취의 주제 및 아브라함의 믿음과 순종을 강조한다. 보다 넓게는 원시 복음과 관련되면서 타락 후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는 구속사의 맥을 형성한다. 신약은 이러한 구약적 이해를 유지하며, 아브라함을 독생자를 내어주는 하나님에 대한 모형으로, 순종하는 이삭을 순종하는 그리스도의 예표로, 이삭 대신에 번제로 드려진 숫양을 십자가 사건에서의 그리스도의 예표로 본다. 구출 받은 이삭은 구원받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예표이다. 또한 신약은 아브라함을 믿음 및 순종과 부활신앙의 모델로 삼는다. 이삭 번제 사건을 회화화한 작품들 가운데 카라바조는 이삭의 내면적 고통과 공포에 초점을 맞추며, 이삭을 그리스도의 예표로 이해한다. 그는 세상의 가장 속된 것들 가운데서 하나님의 거룩과 구원이 나타남을 형상화한다. 렘브란트는 화풍과 그림에서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삭을 이상화하여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묘사한다. 유대인 화가 샤갈은 번제로 드려지는 이삭 및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를 통해 유대인들이 당했던 고난과 핍박을 표현한다. 카라바조와 렘브란트조차 신구약 성경의 다면적 모형론이라는 세밀한 신학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샤갈은 성경신학적 이해와는 더욱 거리감을 갖는다.
  • 영문
  • This project studies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of Isaac in Genesis 22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as well a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hristian art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Theology. The sacrifice of Isaac emphasizes the theme of divine promise and fulfillment in the Abraham cycle as well as Abraham’s faith and obedience. In the wider context, it relates to Protoevangelism and is in line with salvation history which fulfills divine plan of salvation. The New Testament follows this understanding of the sacrifice of Isaac in the OT and understands Abraham as the type of God who lavishes His only Son, the obedient Isaac as the type of obedient Christ, the ram, which is offered as the burnt offering instead of Isaac, as the type of Christ in the Cross event. Delivered Isaac is the type of Christians who are saved. And the NT considers Abraham as a model of faith, obedience, and resurrection faith. Of the outstanding Christian artists who draw the sacrifice of Isaac, Caravaggio focuses on the internal pain and horror of man who confronts with his death, and understands Isaac as the type of Christ. He concretizes the holiness and salvation of God in the most secular things of the world. Rembrandt is influenced by Caravaggio in drawing style and themes of art, and idealizes Isaac to describe him as the type of Christ. Chagall a Jewish painter represents the suffering and oppression of his fellow Jews in the portraits of Isaac who is offered as a burnt offering and Christ who carries the Cross. Even Caravaggio and Rembrandt have limits in representation of precise theology of multifaceted typology of the sacrifice of Isaac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and Chagall is even more far from the Biblic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acrifice of Isaa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창세기 22장의 이삭 번제 사건이 신구약 정경 안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와 근현대 문화 속의 예술 작품(이미지)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이삭 번제 사건은 아브라함 사이클 속에서 하나님의 약속과 성취의 주제 및 아브라함의 믿음과 순종을 강조한다. 보다 넓게는 원시 복음과 관련되면서 타락 후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는 구속사의 맥을 형성한다. 신약은 이러한 구약적 이해를 유지하며, 아브라함을 독생자를 내어주는 하나님에 대한 모형으로, 순종하는 이삭을 순종하는 그리스도의 예표로, 이삭 대신에 번제로 드려진 숫양을 십자가 사건에서의 그리스도의 예표로 본다. 구출 받은 이삭은 구원받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예표이다. 또한 신약은 아브라함을 믿음 및 순종과 부활신앙의 모델로 삼는다. 이삭 번제 사건을 회화화한 작품들 가운데 카라바조는 이삭의 내면적 고통과 공포에 초점을 맞추며, 이삭을 그리스도의 예표로 이해한다. 그는 세상의 가장 속된 것들 가운데서 하나님의 거룩과 구원이 나타남을 형상화한다. 렘브란트는 화풍과 그림에서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삭을 이상화하여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묘사한다. 유대인 화가 샤갈은 번제로 드려지는 이삭 및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를 통해 유대인들이 당했던 고난과 핍박을 표현한다. 카라바조와 렘브란트조차 신구약 성경의 다면적 모형론이라는 세밀한 신학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샤갈은 성경신학적 이해와는 더욱 거리감을 갖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창세기 22장의 이삭 번제에 대해 구약과 신약의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근현대 예술 속에서 나타난 이삭 번제의 이미지 속에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구약 성경에 나타난 이삭 번제 이야기에 대한 신약의 견해를 알게 될 뿐만 아니라 일반 문화 예술 작품속에서 그 이야기가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이삭 번제 이야기의 문화적인 상호관계 등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또한 이 연구는 기독교의 성경 신학과 일반 문화에 관한 예술 비평 사이의 대화와 융합을 위한 중요한 밑받침이 되므로 일반적인 인문학적 토양을 배양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전주대학교 캠퍼스에서 실시한 2016 기독교학문학회 춘계학술대회(2016년 5월 28일(토)) 학술회의에 발표하였으며 동 연구회의 학술지인 신앙과 학문에 게재(2016년 9월호)하여 공유함으로써 학계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고 학술 활동을 조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의 학과세미나에 발표할 예정이며, 구약 및 기독교 예술 관련 교양 교과목의 교수에 활용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일간지나 잡지, 인터넷 등에 투고하여 일반인들의 인문학적 관심을 충족 및 확장시키도록 할 것이다.
  • 색인어
  • 이삭 번제, 아케다, 창세기 22장, 이미지, 기독교 미술, 고대 유대교 문헌, 근현대 예술, 예술 비평, 성경 신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