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예술 강사 우수사례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ing Artists' Excellent Classes to Increase Dance Literac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1016066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7월 01일 ~ 2016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수진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실천가인 예술 강사들의 우수수업 관찰을 통해 교육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 실천과정과 교육효과를 모색하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목표인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첫째, 문헌적, 경험적 자료를 근거로 댄스 리터러시에 대한 모호한 개념을 분명하게 하고 둘째, “댄스 리터러시 계발”이라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교육목표를 성취해낼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 실천적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무용 분야의 교육현상과 원리의 메커니즘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밝힘으로써 21세기 무용교육 및 무용교육학의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효과는 네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리터러시 교육학에서 파생되고 세분화된 댄스 리터러시 개념의 명료화와 이론화에 기여한다. 댄스 리터러시는 20세기 이후 도래한 현대적 리터러시의 한 분야로, 무용을 하고, 보고, 만들고, 즐기는 모든 과정 속에서 형성되는 자질 또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댄스 리터러시를 통해 삶과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생기고 이 안목을 통해 삶을 바라보는 통찰력이 생기는데, 이러한 무용의 교육적 의미를 한 단어로 함축하고 있는 것이 바로 댄스 리터러시다. 이처럼 댄스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는 명시적으로 개념화되어 있지 않은 무용현상과 무용의 교육적 의미를 명료화하게 해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 교육목표의 의미를 분명하게 밝힘으로써 무용교육학이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천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이 2005년 이래 시행‧확장되어 온 것에 비해 ‘댄스 리터러시 계발’이라는 목표는 차후 2013년에 제시된 것으로, ‘댄스 리터러시’라는 용어는 예술 강사들에게 조차 생소하고 그 의미 또한 모호하다. 이 연구를 통해 댄스 리터러시의 모호한 개념과 의미를 명료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 목표가 실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무용을 통해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배우는지를 명료화함으로써 무용교육학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 줌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시행되는 데 있어서 철학적, 이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 무용교육에 대한 담론에서는 전문무용 영역과 일반무용 영역의 목표, 내용, 방법이 혼재되어 논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연구는 일반무용 영역인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표를 명료하게 밝히고 그것이 무엇으로 이루어져있고 어떻게 가르쳐질 수 있는지를 탐색하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표가 철학적, 이론적으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는데 기여한다.
    넷째, 무용교육의 간 학문적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 및 융합교육을 위한 내용과 방법론 발전에 기여한다. 댄스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 무용 수업은 교수자의 학제 간 설명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토론 참여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능 중심의 무용수업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러한 무용 수업의 변화는 이론과 실기가 통합적으로 균형 잡힌 무용 수업을 가능하게 하고 통합적 프로그램과 매뉴얼 등 교육 내용과 방법론 향상을 도모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적, 경험적 자료를 근거로 댄스 리터러시에 대한 모호한 개념을 명확히 밝히고,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목표인 “댄스 리터러시 계발”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우수 무용 수업에서 댄스 리터러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둘째, 우수 무용 수업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댄스 리터러시가 함양되는지 셋째, 댄스 리터러시의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운영 방안들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학문적 차원에서 발전해 온 것이 아니라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이래 정책적 차원에서 발전해왔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은 2005년부터 시행되었지만 “댄스 리터러시 계발”이라는 교육목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무용교육표준(2013)을 통해 비교적 최근에 제시‧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댄스 리터러시”는 현장 실천가인 예술 강사에게 조차 그 의미가 명백하게 인식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예술 강사들은 “댄스 리터러시 계발”이라는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실천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댄스 리터러시의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파악하여, 우리 삶을 잘 살아내기 위한 인간의 자질 함양을 도모할 수 있는 무용 교육방법을 체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전체 수업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사례 연구의 논리와 기법에 기반을 두고 2015년 7월 1일부터 2016년 6월까지 이루어질 것이다. 전체 연구과정은 세 단계를 거쳐 진행될 것이다. 제1단계는 댄스 리터러시 수업 우수 사례 선정 단계로, 연구 초기 3개월간 전문가 협의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례 분석을 통해서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 수업을 운용하고 있는 6인의 예술 강사를 선별하고 이들의 수업을 각 2회씩 관찰하는 사전 연구(pilot study)를 시행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준거적 선택(criterion-based selection)에 따라 3인의 예술 강사 우수 사례를 최종 결정‧선정할 것이다. 제2단계는 댄스 리터러시 교육내용 및 방법 탐색단계로, 최종 선정된 3인의 예술 강사 수업을 6개월 간 각 3회씩 총 9회의 관찰과 사전‧사후 심층면담 총18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선정된 학습자는 6인을 대상으로 2회의 사후 심층면담을 실시할 것이다. 이외에 문헌분석, 현장일지, 현지 문서 수집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제3단계는 자료 분석 및 해석단계로, 수집된 자료를 사례 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면밀하게 분석하고 해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실천가인 예술 강사들의 우수 수업 사례를 관찰하여 교육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 실천과정과 교육효과를 모색하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목표인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해 사례 연구(case study)의 연구 논리와 기법에 기반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는 질적 연구 접근의 하나로서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통해 특정 현상을 그 맥락 안에서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Creswell, 2010). 본 연구에서는 스크리닝 절차를 걸쳐 6인의 예술 강사 중 준거적 선택(criterion-based selection)(Goetz & LeCompte, 1984)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 목표인 댄스 리터러시를 교육적으로 잘 가르치고 있는 세 명의 예술 강사를 최종 선정하여 각각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문헌분석,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현지문서 수집, 현장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우수 사례 수업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A 예술강사와 B 예술강사의 두 우수 사례 운영 현황(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과 우수 사례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두 가지 관점에서 도출되었다. A 예술강사 수업 전문성의 특징은 교안 재구성하기, 친숙한 인사 먼저 건네기, 세부목표와 지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칭찬이 선행된 지적하기, 집중을 위한 신호로 “3번 박수치기” 등의 교수 방법론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났다. 또한 교육내용에 있어서 댄스 리터러시의 신체성, 인지성, 감수성, 사회성, 정신성 중 신체성과 인지성, 그리고 사회성에 중점을 두고 무용수업을 구성하고 진행하였다. A 예술강사의 이러한 전문적인 특징들은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는 예술강사들에게 좋은 실천 사례가 될 것이다.
    B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수 능력은 ‘예측불가능한 수업내용의 구성’과 ‘불예측성의 교육방법’으로 드러났다. 첫째, 학생들의 예상과 다른 수업을 진행하는 B 예술강사의 ‘예측불가능한 수업내용’으로 속도조절을 활용한 상황제시 수업을 학생들은 일명 “롤로코스터”라고 창의적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B 예술강사의 수업은 ‘불예측성의 교육방법’을 사용한다. B 예술강사는 무용 수업시간 내내 학생들이 의견을 말하도록 유도하고, 학생들의 언급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소통하고 있었다.
    무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다양하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신체적 측면의 효과는 제외하였다. 무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뻣뻣한 몸이 유연해지고, 체중이 감량되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 등의 신체적 효과에 대한 무수한 답은 차치하고, “움직임” 자체가 춤이라는 생각하게 되는 학생들의 사고의 변화, 인식의 변화, 태도의 변화에 방점을 두고 설명하였다.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수업에서는 수업주제보다는 교수자의 수업내용과 교수방법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보다 더 중요한 선제조건은 교수자가 지향하는 교육목표이다. 교수자의 교육목표가 확고해야 수업의 세부목표에 따른 교육내용과 방법이 교육학적 측면에서 바르게 확립되고 체계적인 수업이 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두 예술강사의 우수 사례 수업을 바탕으로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수업의 실천 방법을 탐색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수자, 즉 예술강사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며,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영문
  •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ing Artists’ Excellent Classes to Increase Dance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ass of Dance Literacy from excellent cases, analyzing the connectivity among the educational aims, contents, methods in a class. Following constructivism study paradigm, this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a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ly 2015 to June 2016 for a total of 1 year. Dat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field-notes and analyzed inductivel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are unique and professional features – 1) rebuilding a typical lesson plan, 2) saying hello to students first, 3) suggesting specific objectives of each class, 4) using a sign for concentration, 5) utilizing unexpected contents and methods - on teaching artist from excellent ca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as follows. First, a practical research to recognize the concept of dance as a human movement, not just dancing. Second,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Dance Literacy is needed. Third, a study on detaile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foster Dance Literacy is needed.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Dance Litera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실천가인 예술 강사들의 우수 수업 사례를 관찰하여 교육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 실천과정과 교육효과를 모색하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목표인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해 사례 연구(case study)의 연구 논리와 기법에 기반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 연구는 질적 연구 접근의 하나로서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통해 특정 현상을 그 맥락 안에서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Creswell, 2010). 본 연구에서는 스크리닝 절차를 걸쳐 6인의 예술 강사 중 준거적 선택(criterion-based selection)(Goetz & LeCompte, 1984)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핵심 목표인 댄스 리터러시를 교육적으로 잘 가르치고 있는 세 명의 예술 강사를 최종 선정하여 각각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문헌분석,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현지문서 수집, 현장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우수 사례 수업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A 예술강사와 B 예술강사의 두 우수 사례 운영 현황(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과 우수 사례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두 가지 관점에서 도출되었다. A 예술강사 수업 전문성의 특징은 교안 재구성하기, 친숙한 인사 먼저 건네기, 세부목표와 지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칭찬이 선행된 지적하기, 집중을 위한 신호로 “3번 박수치기” 등의 교수 방법론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났다. 또한 교육내용에 있어서 댄스 리터러시의 신체성, 인지성, 감수성, 사회성, 정신성 중 신체성과 인지성, 그리고 사회성에 중점을 두고 무용수업을 구성하고 진행하였다. A 예술강사의 이러한 전문적인 특징들은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는 예술강사들에게 좋은 실천 사례가 될 것이다.
    B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수 능력은 ‘예측불가능한 수업내용의 구성’과 ‘불예측성의 교육방법’으로 드러났다. 첫째, 학생들의 예상과 다른 수업을 진행하는 B 예술강사의 ‘예측불가능한 수업내용’으로 속도조절을 활용한 상황제시 수업을 학생들은 일명 “롤로코스터”라고 창의적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B 예술강사의 수업은 ‘불예측성의 교육방법’을 사용한다. B 예술강사는 무용 수업시간 내내 학생들이 의견을 말하도록 유도하고, 학생들의 언급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소통하고 있었다.
    무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다양하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신체적 측면의 효과는 제외하였다. 무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뻣뻣한 몸이 유연해지고, 체중이 감량되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 등의 신체적 효과에 대한 무수한 답은 차치하고, “움직임” 자체가 춤이라는 생각하게 되는 학생들의 사고의 변화, 인식의 변화, 태도의 변화에 방점을 두고 설명하였다.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수업에서는 수업주제보다는 교수자의 수업내용과 교수방법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보다 더 중요한 선제조건은 교수자가 지향하는 교육목표이다. 교수자의 교육목표가 확고해야 수업의 세부목표에 따른 교육내용과 방법이 교육학적 측면에서 바르게 확립되고 체계적인 수업이 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두 예술강사의 우수 사례 수업을 바탕으로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수업의 실천 방법을 탐색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수자, 즉 예술강사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며,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예술강사의 우수사례를 질적 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1단계에서 선정된 6명의 예술 강사 중 댄스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신체성, 인지성, 감수성, 사회성, 정신성)를 반영하고 실천하는 강사 2명을 우수 사례로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A 예술강사와 B 예술강사의 두 우수 사례 운영 현황(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과 우수 사례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두 가지 관점으로 도출하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무용교육을 위한 교안에서는 저학년은 창작위주의 활동을, 고학년은 레파토리 위주의 활동을 권장한다. 하지만 A 예술강사의 경우, 6년간의 교육 경험을 토대로 자신만의 교수 방법론을 형성하였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한다. 따라서 A 예술강사의 전문성은 교수방법에 중점을 두고 평가하였다. 그 특징은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레파토리를 먼저 가르치고 창작은 그 후에 가르친다. 이러한 수업구성은 학생들이 기존의 배웠던 레파토리를 활용할 수 있고 그러한 과정과 경험을 통해서 무용을 창작하는 능력이 더 향상된다는 것을 6년간의 교수경험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연구자가 관찰한 A 예술강사의 수업을 평가하자면, 진흥원의 교안과는 다르게 학년에 상관없이 레파토리를 먼저 배우고, 배운 동작을 응용하여 새로운 움직임을 창작하는 것은 무용이 낯선 아이들에게 움직임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동작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두 번째, A 예술강사는 수업 전 학생들이 모여들기 시작할 때, 먼저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인사와 안부를 나눈다. “점심 맛있게 먹었니?”, “한 주 동안 잘 지냈니?”, “○○야~ 이제 몸은 괜찮니?” 등의 인사와 안무를 먼저 건넨다. 연구자가 수업을 관찰한 결과, 학생들은 예술강사가 건네는 인사와 안부에 웃음을 지으며, 적극적인 태도로 강사에게 다가가기 시작한다. 이것은 곧 아이들이 수업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세 번째, 세부 수업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지시사항을 면밀하게 표현한다. 당일 수업에서 학생들이 실현해야 하는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동기를 부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목표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당일의 목표의 성취는 교수자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도 만족감과 성취감을 부여한다.
    네 번째, A 예술강사는 수업에서 집중을 위한 “3번 박수치기” 신호를 사용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인 2학년 학생들이 수업시간 내내 집중하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교실이 아닌 공간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흥분한다. 교실 밖의 아이들은 목소리가 커지고, 웃고, 떠들며, 장난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성질들이 잠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담임교사가 아닌 예술 강사와 함께, 교실이 아닌 다른 공간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 아닌 몸을 움직인다는 것은 어린 학생들에게 “자유”이자 “해방”이다. 이러한 ‘어린 자유로운 영혼들’을 데리고 무용수업을 하는 것은 교수자의 엄청난 인내심이 필요하고 훌륭한 노하우를 갖고 아이들을 잘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고삐 풀린 망아지’들처럼 신난 아이들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수업 시간 내 어수선함과 혼란 속에서 그들을 집중시킬 수 있는 교수자만의 “무엇”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바로 “신호”이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을 통제하기 위한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무언의 약속이 있어야 한다. 그 무언의 약속이 신호인데, 말 그대로 ‘무언(無言)’이 중요하다. “애들아, 조용히 하자.”, “애들아, 선생님한테 집중하자” 식의 언어적 통제보다 효과적인 것이 무언의 통제이다. 마치 체육교사가 운동장에서 호루라기를 사용해서 학생들에게 모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처럼 무언의 통제가 필요하다. A 예술강사의 경우는 수업 중 혼란 속의 아이들을 통제하기 위해 “3번 박수치기”를 활용한다. 이것은 아이들의 주의집중을 높이기 위한 방법론으로 예술강사가 “애들아, 3번 박수치기” 하면 아이들은 일제히 박수 세 번을 “짝짝짝” 치고 모두 함구하면서 예술강사에게 집중한다.
    이와 같이 A 예술강사 전문성의 특징은 교안 재구성하기, 친숙한 인사 먼저 건네기, 세부목표와 지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칭찬이 선행된 지적하기, 집중을 위한 신호로 “3번 박수치기” 등의 교수 방법론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난다. 또한 교육내용에 있어서 댄스 리터러시의 신체성, 인지성, 감수성, 사회성, 정신성 중 신체성과 인지성, 그리고 사회성에 중점을 두고 무용수업을 구성하고 진행하였다. A 예술강사의 이러한 전문적인 특징들은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는 예술강사들에게 좋은 실천 사례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댄스 리터러시, 연계성,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