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코퍼스에 기반한 교육용 한자․한자계 어휘 위계화 연구
A study of using various corpus on set grade Basic Han-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for Korean learn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1012686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2 년 (2015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허철
연구수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수는 다양한 언어자료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자계 어휘 습득을 위한 어휘의 선정과 그 어휘의 기초가 되는 한자를 선정하고, 이를 다시 학습 단계별로 위계화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로 구성된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의 문제와 더불어 교재의 편찬과 관련된다. 한편 ‘무엇을’의 문제는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문제이다. 이 내용의 선정과 조직은 교육과정을 통해 구체화되고, 교재를 통해 구현된다.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은 학교 현장에 투입되는 교재를 통해 위계화가 구현되고, 이를 학습자와 피학습자가 다양한 교수-학습을 통하여 습득하고, 이 선정되고 조직화된 내용의 습득 정도를 여러 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하게 된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교육에서 “왜 학습해야 하는가”라는 존재적 질문을 제외하면, 교육 목적에 부합한 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연수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한자계 어휘 습득에 초점이 있으므로, 한자의 선정 또한 한자계 어휘 학습과 활용에 기초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이것이 한문과에서 말하는 교육용 한자 선정과 다른 점이다. 한편 이 선정은 우리말을 기초로 사용하는 모든 학문의 기초 학습 영역으로, 범교과적 기본 어휘의 습득과 연관된다. 따라서 본 연수 과제는 범교과적 특성에서 출발한다. 또한, 한자계 어휘는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해당 국가 언어의 근간을 이룬다는 것은 곧 한자계 어휘의 학습이 ‘도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곧 한자계 어휘의 학습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언어를 학습하는데 매우 중요한 키워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어휘 구성에 있어서 同而不同의 현상도 나타나며, 그 발음도 형태 또한 다양하다. 그러나 문자가 시각적 언어 전달의 도구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해당 언어 학습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곧 한자와 한자계 어휘의 습득이 한국어라는 개별 언어를 뛰어넘어 한자문화권 언어학습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한자문화권 언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경우에도 같다고 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수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다양한 코퍼스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제시이다. 둘째, 본 연수의 가장 큰 특징은 개별 교육 한자계 어휘와 기초한자 목록이 작성됨으로써 직접적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는 다음의 여러 연구 성과를 포함하게 된다. ①한자의 상용도와 활용도 검증을 통해 한자 교육의 기본적인 자량, 자종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②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자교육에 있어서 자량과 자종 선정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③상용도와 활용도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한문교육용 한자 뿐 아니라, 한자어 교육용 한자 선정이나 혹은 향후 개발될 새로운 한자 입력법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④향후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를 새롭게 조정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그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⑤이 연구의 결과를 중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기존, 혹은 새롭게 한자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한자 사용에 있어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검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활용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통해 도출된 한자계 어휘 목록은 향후 한문과 한자교재 제작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기초한자목록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재선정과 조직, 한자급수시험의 재조정 등에 객관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기초 자소목록은 한문교수학습 방법의 실질적인 적용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재의 제작과 편찬, 실질적인 학교 현장에서의 응용 등에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어떤 어휘의 경우 그 사용 빈도가 현저히 떨어지거나 한자의 학습이 어휘의 의미 파악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견된다. 학습자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한자계 어휘에 대한 내용 선정과 위계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자계 어휘 학습이 우리가 목표하는 어휘의 습득과 활용 능력 배양에 초점이 있다면, 이 목적에 부합하는 어휘의 선정과 아울러 어휘를 조직하는 한자를 선별해야 할 필요성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곧 어휘의 선정이 우선되고, 그 어휘에 해당하는 한자를 급간별로 구분해야 하는 연구 과정을 거쳐야 한다. 字로 접근하는 방식이 아닌 辭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다양한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여 곧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제작한다. 여기서 말하는 “종합분석한자·어휘표”란 특정 한자군을 이용하여 추출된 어휘를 각 단계에 맞도록 재조직 구성하여 목록화함을 말한다. 둘째, 이 분석된 어휘표를 대상으로 빈도의 구분, 투명도의 구분, 일반어휘와 전문용어의 구분, 인지 어휘와 정의 어휘의 구분과 함께 한자어의 상용도와 활용도를 밝힌다. 셋째, 개별 코퍼스 자료와 추출된 어휘표를 대상으로 한자표를 구성한다. 넷째, 자소를 이용하여 한자를 분리, 기초가 되는 한자를 선정하고, 한자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힌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교육용 한자계 어휘와 한자를 추출하고, 각 등급에 따라 위계화를 시도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수는 교육용 어휘가 포함된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어휘를 선정하는 기준은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으나 Richard(1970)에서 언급한 빈도(frequency), 분포범위(range), 언어의 필요(language needs), 이용도 및 친숙도(availability and familiarity), 적용 범위(coverage), 규칙성(regularity), 학습용이도 및 학습 부담(ease of learning or learningburden)등을 연구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곧, 다양한 언어자료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자계 어휘 습득을 위한 어휘의 선정과 그 어휘의 기초가 되는 한자를 선정하고, 이를 다시 학습 단계별로 위계화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수는 코퍼스 대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여러 절차를 설계하고 시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다양한 코퍼스를 분석한 결과 기초한자 2700여자와 어휘 3732개를 추출하였다.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의 연구 결과를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다양한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여 곧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제작한다. “종합분석한자·어휘표”란 특정 한자군을 이용하여 추출된 어휘를 각 단계에 맞도록 재조직 구성하여 목록화함을 말한다.
    둘째, 이 분석된 어휘표를 대상으로 빈도의 구분, 투명도의 구분, 일반어휘와 전문용어의 구분, 인지 어휘와 정의 어휘의 구분과 함께 한자어의 상용도와 활용도를 밝힌다.
    셋째, 개별 코퍼스 자료와 추출된 어휘표를 대상으로 한자표를 구성한다.
    넷째, 자소를 이용하여 한자를 분리, 기초가 되는 한자를 선정하고, 한자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힌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교육용 한자계 어휘와 한자를 추출하고, 각 등급에 따라 위계화를 시도한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a basic study to select a " comprehensive analyst and vocabulary table " that includes essectial vocabulary for education. The criteria for selecting words vary among researchers but referred to in Richard (1970) for frequency, range and coverage, and need of language, usage, and availability. Using the various language corupus materials,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o select the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vocabulary and to rank the vocabulary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on each learning stage. To achieve this goal, the training focuses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mber of procedures for gathering, analysing corporate-targeting data. As a result of various corpuss analyses, the 2700 basic Chinese character and 3732 vocabulary words were selected.
    Using on this basic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ing study results can be extracted.
    First, " Comprehensive Analysts and Vocabulary Tables " is produced immediately using various corpuss data. " Comprehensive analysis table of words and words " shall mean the reordering and listing of words extracted using a specified group of Korean characters, to fit each stage.
    Second, the usage and utilization of Chinese words are explained with the distinctions of frequency, transparency, general vocabulary and terminology, and recognition vocabulary and definition vocabulary.
    Third, Chinese character tables are constructed based on individual corporates data and extracted vocabulary tables.
    Fourth, separate Chinese characters using a self-association, select the Chinese characters on which they form the basis, and establish correlation between them.
    Fifth, the school eventually extracts Korean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and tries to organize them according to their clas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수는 교육용 어휘가 포함된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어휘를 선정하는 기준은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으나 Richard(1970)에서 언급한 빈도(frequency), 분포범위(range), 언어의 필요(language needs), 이용도 및 친숙도(availability and familiarity), 적용 범위(coverage), 규칙성(regularity), 학습용이도 및 학습 부담(ease of learning or learningburden)등을 연구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곧, 다양한 언어자료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자계 어휘 습득을 위한 어휘의 선정과 그 어휘의 기초가 되는 한자를 선정하고, 이를 다시 학습 단계별로 위계화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수는 코퍼스 대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여러 절차를 설계하고 시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다양한 코퍼스를 분석한 결과 기초한자 2700여자와 어휘 3732개를 추출하였다. 기초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의 연구 결과를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다양한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여 곧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제작한다. “종합분석한자·어휘표”란 특정 한자군을 이용하여 추출된 어휘를 각 단계에 맞도록 재조직 구성하여 목록화함을 말한다.
    둘째, 이 분석된 어휘표를 대상으로 빈도의 구분, 투명도의 구분, 일반어휘와 전문용어의 구분, 인지 어휘와 정의 어휘의 구분과 함께 한자어의 상용도와 활용도를 밝힌다.
    셋째, 개별 코퍼스 자료와 추출된 어휘표를 대상으로 한자표를 구성한다.
    넷째, 자소를 이용하여 한자를 분리, 기초가 되는 한자를 선정하고, 한자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힌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교육용 한자계 어휘와 한자를 추출하고, 각 등급에 따라 위계화를 시도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수를 통해 기초한자 2700여자와 어휘 3732개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다시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 결과물로 제출하려고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다양한 코퍼스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제시이다.
    둘째, 본 연수의 가장 큰 특징은 개별 교육 한자계 어휘와 기초한자 목록이 작성됨으로써 직접적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는 다음의 여러 연구 성과를 포함하게 된다.

    ①한자의 상용도와 활용도 검증을 통해 한자 교육의 기본적인 자량, 자종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②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자교육에 있어서 자량과 자종 선정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③상용도와 활용도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한문교육용 한자 뿐 아니라, 한자어 교육용 한자 선정이나 혹은 향후 개발될 새로운 한자 입력법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④향후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를 새롭게 조정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그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⑤이 연구의 결과를 중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기존, 혹은 새롭게 한자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한자 사용에 있어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검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첫 번째, “종합분석한자·어휘표”를 통해 도출된 한자계 어휘 목록은 향후 한문과 한자교재 제작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기초한자목록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재선정과 조직, 한자급수시험의 재조정 등에 객관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기초 자소목록은 한문교수학습 방법의 실질적인 적용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재의 제작과 편찬, 실질적인 학교 현장에서의 응용 등에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코퍼스, 한자어, 한자, 상용어휘, 빈도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