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일 보조동사의 대조연구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를 중심으로-
Contrast research of Korean and Japanese auxiliary verb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2344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성지현
연구수행기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일본어교육에서 보조동사는 초급 단계에서부터 등장하는 매우 비중 있는 학습 내용 중 하나이다. 일본어 보조동사는 「している」「してある」「しておく」「してしまう」「していく」「してくる」「してあげる」「してもらう」「してくれる」「してやる」「してみる」「してみせる」등과 같이 동사의 연결형(「て」형)에 또 하나의 동사가 접속하여 만들어진다. 의미상으로는 연결형으로 표시된 본동사의 의미에「いる」「ある」「おく」「しまう」「いく」「くる」「あげる」「もらう」「くれる」「やる」「みる」「みせる」등 후방에 연결된 동사의 문법화 된 의미가 더해져 새로운 복합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일본어 교육에 있어 보조동사는 형태적인 면에 있어서는 연결형을 숙지한 학습자라면 비교적 간단히 다양한 보조동사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조동사의 종류가 십 수개에 이르고, 각각의 의미가 기본적인 의미에서 문법화정도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게 되어, 실제 사용에 있어서 혼돈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어에도 「하고 있다」「해 있다」「해 버리다」「해 가다」「해 오다」「해 주다」「해 보다」등의 보조동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점은 일본어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 감각으로 일본어 보조동사를 사용하게 하는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오고시(生越1991:13)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많이 보이는 오용으로 「してみる」의 다음과 같은 예를 제시하며 본래는 「してみる」가 들어가지 말아야 할 곳에 들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예)特に、今度新しくいらっしゃった金先生の科目は、今まで受けてみなかった授業方法だから、私を一層あわてさせる。【生越(1991:13)の例】
    (특별히,이번에 새로 오시는 김 선생님 과목은 지금까지 수강해 본 적이 없는 수업방법이라 나를 한층 당황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일본어 보조동사를 접할 때 형태만 숙지하고 한국어 감각으로 사용해 버리는 오류를 없애고, 십수개에 이르는 다양한 보조동사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대조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양국의 보조동사의 쓰임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일본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로 일컬어지는 「してやる」「してみせる」「してしまう」「してみる」「しておく」에 관하여 의미, 용법, 기능상 이동(異同)을 밝혀냄으로써 다수에 이르는 보조동사의 체계를 확립하고,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한 대조연구를 통해 일본어학, 대조언어학과 같은 학문적인 관점에서 뿐 아니라, 한국어와 일본어 교육의 기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학문적 관점
    문법화는 언어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단순히 언어자체만이 아니라 언어현상과 관련된 모든 것을 고려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언어를 더욱 거시적인 안목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수에서 본동사와 보조동사의 의미・용법을 각각 고찰하고, 본동사와 보조동사가 어휘적, 형태적, 구문적, 그리고 문맥적으로 어떠한 공통점과 상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동일한 관점에서 비교하는 것은 양 언어의 문법화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더 나아가서는 언어유형론적인 측면에서의 문법고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하여, 한・일 양국의 소설, 산문, 신문 등에서 발췌한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대조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대조연구를 통한 기술언어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나.교육적 관점
    일본어의 보조동사와 한국어의 보조동사는 유사한 점도 많이 있지만, 언어체계가 다른 만큼 상이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지 각각의 형식에 대응하는 표현이 있는지 여부에 초점이 맞추어진 종래의 연구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구문적으로 공통점을 가지는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어휘, 형태, 구문, 문맥 면에서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번역양상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한국어와 일본어 교육의 기반 연구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의미・용법 및 번역양상을 고찰하여 보조동사 간의 이동(異同)을 명확히 하고 보조동사체계를 확립하고, 외국어로서의 일본어 교육에 기여할 것을 목표로 다음 세 가지 사항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가.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의 상호 보완성 고찰
    선행연구에서 「もくろみ動詞」로 분류되는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본동사가 의지동사인 경우와 무의지동사인 경우, 보조동사의 형태(서술형, 명령형, 원망형 등) 및, 구문 등의 문법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고찰함으로써, 보조동사의 의미・용법을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의 본동사에 무의지적인 운동을 나타내는 동사가 사용됨으로써 발생하는 의미의 파생에도 주목하여 고찰하는 한편,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してみせる」「してやる」「してやる」「してしまう」「しておく」의 각 형식이 어떤 양상을 띄며, 보조동사 상호간에 교체 가능한 형식, 조건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집중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표현의도를 파악하고, 보조동사에 사용되어져 있는 동사의 어휘적 특징, 보조동사가 취하고 있는 형태적 특징, 문장 내에서의 구문적 특징, 문맥 내에서의 문맥적 특징 등도 포함시켜 종합적으로 고찰하도록 한다.

    나. 대조연구를 통한 다양한 번역양상 고찰
    「してみせる」「してやる」「してやる」「してしまう」「しておく」의 의미・용법의 고찰을 토대로 각각의 형식에 대응하는 한국어와의 대조를 통해 다양한 번역양상을 고찰한다.
    번역물을 대상으로 하는 대조연구의 경우의 다양한 실태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에 있어서도 각 형식이 한국어로 번역이 되는 경우, 안 되는 경우, 다른 형식으로 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언어양상을 상세히 고찰하는 것이 대조연구의 기본임을 직시하고 연구에 임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의도를 나타내는 일본어 보조동사를 대상으로 각 보조동사의 한국어 대응형식을 고찰하는 한편, 한국작품을 일본어로 번역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에 해당하는 형식들을 조사해 양방향의 고찰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してみせる」는「~해 보이다」뿐만 아니라 「~해 내다」「~하고 말테다」「~하고 말다」「~해 내다」「~해 버리다」로 해석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어떠한 대응형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지 실증적으로 밝혀 내고자 한다. 또한, 「してやる」「してしまう」의 경우 양 형식 모두「~하고 말테다」「~하고 말다」「~해 내다」「~해 버리다」등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는데, 어떠한 어휘적, 문법적인 조건을 근거로 하고 있는지 번역 실태를 토대로 상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다. 소설과 신문 코퍼스를 구분한 객관적인 고찰
    한・일 보조동사의 대조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코퍼스를 통한 실증적인 고찰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보조동사의 개별적인 고찰에 있어서 한・일의 다양한 코퍼스를 사용하는 한편, 대조연구에 있어서는 일본어 코퍼스의 번역과 함께『다락원 일한 대역문고』(초급, 중급, 상급 각10권),『일본문학 日韓대역문고(20권)』및 『도마뱀』『1파운드의 슬픔』『박사가 사랑한 수식』등 최근의 일본문학 번역작품(20권), 『가시고기』『엄마를 부탁해』등 한국문학 번역작품(20권)을 선별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또한 문어체 데이터 중에서도 문학작품에 한정하지 않고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조사하도록 한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일본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신문기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일양 언어가 어떻게 번역되어 있는지 고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학작품의 일・한대역은 일본어를 기반으로 한국어로 번역한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신문기사의 경우도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와 같은 한국신문의 일한 대역을 사용함에 있어 한국어를 기반으로 일본어를 고찰함으로써 양 방향의 언어고찰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로 일컬어지는 「してやる」「してみせる」「してしまう」「してみる」「しておく」가 비의도적으로 쓰였을 때의 의미, 용법, 어휘, 문법적 특징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각 형식들의 번역양상을 실제 문학작품을 토대로 파악하여 한・일 양국의 보조동사의 쓰임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 영문
  • In this study, the meanings, usage, vocabulary, and grammatical features of the auxiliary verb indicating intention;"site-yaru", "site-miseru", "site-simau", "site-miru" and "site-oku" . In addition, the translation patterns of each form were grasped on the basis of actual literary works, and the use of auxiliary verbs in both Korea and Japan was examined empirical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스즈키(鈴木 1969, 1972)에서는 동사의「て」형에 보조동사가 접속되어 있는 형식 중 그 동작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もくろみ動詞(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라 하여 「してみる」「してみせる」「しておく」를 가리킨다. 다카하시(高橋 1969)에도「もくろみ動詞」에 관한 언급이 있는데, 다카하시는「してみる」「してみせる」「しておく」이외에「してやる」「してしまう」도 의도를 나타내는 형식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렇듯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 본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의도적으로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동사는 의지동사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본동사로 의지동사만을 취하는 「しておく」를 제외하면, 「してみる」「してみせる」「してやる」「してしまう」모두 의지동사는 물론 무의지동사가 본동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용법과 문법적 요소들의 아이러니한 현상을 파악하고자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에 무의지 동사가 사용되는 경우에 주목하여 그 문법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보조동사에 사용되어진 동사를 의지동사와 무의지동사로 구분하고, 각 보조동사가 취하는 형태적인 특징(과거형, 비과거형), 주어의 인칭 등의 통사적 특징을 고려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각 보조동사의 한・일 대조연구를 통해서 한국어 번역양상 조사를 함으로써 의도를 나타내는 보조동사 간의 이동(異同)을 파악하고, 각각의 보조동사가 특정한 형식으로 번역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번역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방대한 코퍼스를 토대로 실행한 고찰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미・용법의 나열에 머무르지 않고, 실용적인 일본어 교육문법의 기반을 확립하여, 효과적인 실라버스 작성, 교재 및 교수법의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별 일본어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구축하고, 기존 교재에서의 문법항목 도입의 시기, 적절한 용례의 제시여부, 문맥파악의 용이성, 의미・용법 간 설명의 타당성, 타 형식과의 관계 파악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실라버스 작성 및 교수법을 제안에 활용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대조연구, 보조동사, 의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