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만족 속성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이: Matzler & Sauerwein의 삼(三) 요인 만족 모델의 적용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Attributes of Catering Food Service on Overall Satisfaction Among Foreign Workers: An Application of Matzler and Sauerwein’s Three-Factors Satisfaction Model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38578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효실
연구수행기관 순천향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외국인의 국내 거주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15세 이상이 125만 6천명으로 그 중 취업자는 85만 2천명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5).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는 주로 한국의 노동시장 내에서 생산직과 제조업, 도소매 및 숙박·음식점업 분야의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체 현장에서 함께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한국인 식성에 맞춰진 급식을 제공받으면서 느끼는 문화적 차이나 애로사항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외국인 근로자들의 산업현장에서 제공받는 급식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고객의 급식만족 구조를 대칭적 혹은 일원적으로만 파악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제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 Kano(1984)의 모델을 근거로 제안된 삼요인 만족 모델(TFMS)을 적용하여 급식만족 속성과 전반적인 급식만족도 관계에서 대칭적 관계와 비대칭적 관계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이론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는 점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만족도 연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만족 속성 항목들을 도출하고 속성별 요인으로 분류한다. 둘째, 삼요인 만족 모델(TFMS, Three factor model of satisfaction)을 적용하여 급식만족 속성의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다. 셋째,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만족 속성에서 도출된 삼요인과 급식의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만족도를 조사하여 산업체 근로자의 소수를 차지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일반적 현황 및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인의 기호에 맞추어진 급식 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애로사항 및 급식만족 속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들의 급식만족도에 대한 삼요인 만족 모델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기본요인, 실행요인, 감동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들 중 급식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대칭적 영향 결과뿐만 아니라 비대칭적 영향 관계를 함께 도출하여 외국인 근로자들이 급식에서 원하는 바를 회사식당 운영자 및 급식 제공 관련 업체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급식을 담당하는 회사식당과 급식업체관리자에게 외국인 근로자를 배려한 급식의 메뉴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급식서비스를 제공하는 급식업체 직원들의 교육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방안이 급식업체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매뉴얼 개발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증가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급식문화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 연구에서는 한국인 근로자와 비교 연구 및 외국인 근로자 중 각 나라별 급식 만족 비교 연구를 수행하여 급식문화에 대한 세분화된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도 수행해 볼 것을 권유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산업체에서 제공받는 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산업체에서 단체급식을 받는 외국인 근로자들이며 연구의 표본은 경기도 지역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로 선정한다. 경기도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를 선정한 이유는 우리나라 전국 등록 외국인 거주지 중 외국인 근로자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적 특색 때문이다. 설문구성 및 조사는 2016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수행예정이며, 설문대상이 외국인 근로자인 관계로 구성된 설문지는 외국인 근로자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5개국 언어(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로 번역하여 설문지를 완성한다. 상기한 5개국 언어는 2015년 통계청의 외국인 고용조사 현황에 근거하여 현재 우리나라 거주 외국인의 나라별 거주 상위권에 있는 나라로 선정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번역된 설문지는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위하여 역 번역을 실시할 것이며, 재수정된 설문지를 최종 설문지를 최종 완성본으로 한다. 회수된 설문지는 우선 기술통계를 통하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각 구성 개념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다. 집단 간의 차이분석과 가설 검증을 위하여 ANOVA와 이분화된 더미변수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만족도 구조에 있어 대칭적 영향과 비대칭적 영향관계를 함께 분석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업체의 외국인 근로자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급식제공업체와 회사식당 운영자들에게 이들의 급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급식만족 속성과 이러한 속성들이 급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세 요인 만족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존의 급식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대칭적 관계를 연구하였다면 본 연구는 급식만족도에 대한 비대칭 관계를 연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시화 반월공단 내 외국인 근로자(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태국, 중국)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기본요인은 고객에게 당연히 제공되어야 하는 급식제공업자의 최소요구조건에 해당되는 요인으로 ‘음식의 맛’, ‘음식의 신선도’, ‘식당과 근무지와의 거리’ 로 분류되었다. 감동요인은 고객에게 제공되었을 경우 큰 고객만족을 일으키지만 제공되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족을 일으키지 않는 요인으로 ‘개별요구사항 청취 및 응대’, ‘식탁·의자의 청결’, ‘식기·식수대등의 비품청결’ 로 분류되었다. 실행요인은 고객의 필요한 요구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제공 사업자가 가장 시급하게 실행해야할 요인으로 ‘음식의 간’, ‘식당분위기의 쾌적성’, ‘식당의 냉난방 시설’로 분류되었다. 실행요인으로 분류된 속성들은 급식제공업체가 시급히 처리해야 할 요인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기본요인, 감동요인보다 앞서 고객만족을 완성하여 전반적인 급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를 제안한다.
  • 영문
  • In this study, the three-factor satisfaction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attributes of food service among foreign workers and the effects of these attributes on food servi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studying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of food service satisfaction, while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symmetrical relationship. This study targets 170 foreign workers (from Indonesia, Vietnam,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China) working in the Banwol-Sihwa Industrial Complex, Gyeonggi-do.
    The analysis finding showed that basic factors were the minimum requirements of food service providers for customers and ‘taste of food’, ‘freshness of food’ and distance between the restaurant and the working place’ belonged to basic factors. ‘Listening to and responding to individual requirements’, ‘clean tables and chairs’ and ‘clean dishes and water drinking facilities’ belonged to excitement factors, which give big satisfaction when provided to customers, but do not cause dissatisfac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provided. ‘Seasoning of food’, ‘pleasant restaurant environment’ and ‘cooling and heating facility of restaurant’ belonged to performance factor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needs of customers and the most pressing factors that food service providers for foreign workers should implemen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excitement factors should be improved urgently by food service providers and can make a bigger contribution to improvement in overall food service satisfaction than basic factors and excitement factors, by satisfying custom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급식만족 속성과 이러한 속성들이 급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세 요인 만족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존의 급식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대칭적 관계를 연구하였다면 본 연구는 급식만족도에 대한 비대칭 관계를 연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시화 반월공단 내 외국인 근로자(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태국, 중국)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기본요인은 고객에게 당연히 제공되어야 하는 급식제공업자의 최소요구조건에 해당되는 요인으로 ‘음식의 맛’, ‘음식의 신선도’, ‘식당과 근무지와의 거리’ 로 분류되었다. 감동요인은 고객에게 제공되었을 경우 큰 고객만족을 일으키지만 제공되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족을 일으키지 않는 요인으로 ‘개별요구사항 청취 및 응대’, ‘식탁·의자의 청결’, ‘식기·식수대등의 비품청결’ 로 분류되었다. 실행요인은 고객의 필요한 요구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제공 사업자가 가장 시급하게 실행해야할 요인으로 ‘음식의 간’, ‘식당분위기의 쾌적성’, ‘식당의 냉난방 시설’로 분류되었다. 실행요인으로 분류된 속성들은 급식제공업체가 시급히 처리해야 할 요인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기본요인, 감동요인보다 앞서 고객만족을 완성하여 전반적인 급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를 제안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세 요인 만족모델에 근거한 급식만족 속성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기본요인은 세 개의 속성으로 ‘음식의 맛’, ‘음식의 신선도’, ‘식당과 근무지와의 거리’ 로 분류되었다. 앞서 기술한바와 같이 기본요인은 고객에게 당연히 제공되어야 하는 급식제공업자의 최소요구조건에 해당되는 요인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져야 하는 요인이다. 감동요인은 4개의 속성으로 ‘개별요구사항 청취 및 응대’, ‘식탁·의자의 청결’, ‘식기·식수대등의 비품청결’ 로 분류되었으며, 고객에게 제공되었을 경우 큰 고객만족을 일으키지만 제공되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족을 일으키지 않는 요인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급식만족의 감동을 위해서는 급식업체가 제공해야할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실행요인은 세 개의 속성으로 ‘음식의 간’, ‘식당분위기의 쾌적성’, ‘식당의 냉난방 시설’로 분류되었으며, 세 요인 모델 중 특히 실행요인은 고객의 필요한 요구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급식제공 사업자가 가장 시급하게 실행해야할 요인으로 한국인 근로자 위주의 식단구성에 있어서 음식의 간과 식당분위기 및 냉난방시설의 보충은 시급히 고려될 사항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첫째, 음식의 맛과 신선도, 식당과 근무지와의 거리는 기본요인으로 분류된 것으로 볼 때 외국인 근로자들은 음식의 맛과 신선도 및 식당과의 거리는 그들이 당연히 제공받아야 하는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급식제공업체는 그들의 원활한 경영을 위해 음식의 맛과 재료의 신선함을 유지할 필요가 있겠으며,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무지와 식당과의 거리의 접근성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둘째, 외국인 근로자의 개별 요구사항에 대한 원활한 처리와 청결에 해당되는 식기, 식탁, 비품 등의 청결에 해당되는 속성들은 외국인 근로자에게 커다란 만족과 감동을 주는 감동요인으로 분류된 것으로 볼 때 급식제공업체가 타 급식업소와의 차별화되고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속성으로써 급식제공업자가 유지해야할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급식업체의 청결성은 그들에게 큰 고객 만족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라도 급식제공업체가 지속적으로 잘 관리하여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셋째, 외국인 근로자들이 회사에서 제공받는 음식의 간과 식당분위기의 쾌적한 조건 및 냉난방시설은 실행요인으로 분류된 것으로 볼 때 외국인 근로자들의 급식만족을 위해 급식제공업체는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행요인은 고객의 필요한 요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사항으로 급식제공업체의 주의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외국인 근로자들의 국적이 동남아시아인과 중국인임을 감안하여 볼 때 음식 간을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선호하는 맛뿐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들의 입맛을 고려한 메뉴제공도 바람직하겠다. 특히 동남 아시아인이 싫어하는 자극적인 맛과 중국인들이 선호하지 않는 매운 맛을 피하는 차별화된 메뉴 개발도 제안해본다. 이와 더불어 음식의 간을 맞추기 위한 짠맛 이외의 단맛, 신맛, 장류의 양념류 및 향신료 등의 다국적 근로자의 식사에 맞는 테이블 세팅도 고려해볼만한 방안이라 생각된다. 또한 식당분위기의 쾌적성과 냉난방시설이 실행요인으로 분류된 것을 볼 때 급식제공업체 식당분위기의 쾌적성을 위한 음악, 조명 등의 시설의 관리가 요구되며, 특히 원활한 냉난방시설을 완비하고 식사 공간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해야겠다.
    상기한 결과를 바탕으로 급식제공업체는 세 요인 모델 이론에서 분류된 기본요인, 감동요인의 각 속성들을 급식의 질을 개선과 불필요하게 투입된 요인을 인지하고 기본요인에 분류된 속성은 급식에 대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임을 감안하여 기본적으로 유지시켜야할 필요가 있겠으며, 감동요인에 해당되는 속성은 외국인 근로자의 필요조건보다도 충분조건에 해당됨으로 이를 바탕으로 급식제공업체나 회사담당자는 급식업무의 전반에 대한 평가 및 피드백을 통하여 급식서비스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평가, 개선하는데 활용되어지길 제안한다. 특히 실행요인으로 분류된 속성들은 급식제공업체가 시급히 처리해야 할 요인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기본요인, 감동요인보다 앞서 고객만족을 완성하여 전반적인 급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를 제안한다.
  • 색인어
  • 세 요인 만족모델, 급식만족속성, 급식만족도, 외국인 근로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