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新개인제조 시대의 디자인 생태계 변화에 관한 연구
The Implications of Digital Personal Fabrication on the Creative Design Eco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
연구과제번호 2015S1A5B8036983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재경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원복(이화여자대학교)
곽소나(이화여자대학교)
김효정(이화여자대학교)
최혜경(이화여자대학교)
이보람
박성연(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3D-프린터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개인도 저렴하게 맞춤형 제조가 가능해지면서, 이제 개인들도 공장의 힘을 빌리지 않고 제품을 생산·유통하는 新개인제조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자본을 가진 소수가 독점한 제조 수단이 개인들에게 넘어오는 현상은 대형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밀어내고 개인용 컴퓨터(PC)가 그 자리를 차지했을 때와 유사하게 커다란 사회적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미국의 Obama 대통령은 新개인제조가 중국 등에 주도권을 빼앗긴 미국 제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면서, 新개인제조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축제인 Maker Faire를 백악관 정원에서 직접 개최하며 新개인제조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1 창작과 제조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新개인제조의 확산이 개인의 디자인 창작활동을 진흥하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 디자인 생태계의 활성화, 다양화 및 성장을 유도하도록 만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여기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 기여 디지털 기반 新개인제조 환경 내 디자인 행위 분석을 통해 디지털 기반 新개인제조 환경에서 디자이너가 보다 효과적으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 요소를 발견 추출한 디자인 행위 요소를 기초로 디자인 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online fabrication service 모델 제시. 또한, 추출한 디자인 행위 요소를 기초로 디자인 창작의 활동성 지표(design activity index)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디자이너의 창작 행위를 분석할 수 있고 디자이너의 창작 행위를 보호할 수 있는 학문적 기저 마련 사회경제적 기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확장된 online fabrication service 모델을 통해, 新개인제조 기반 디자이너들의 창작 행위 및 창작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안정적인 新개인제조 기반 디자인 산업 구축 가능 인력양성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하여 디지털 기반 新개인제조를 하는 1인 창조기업가로서의 전문디자이너, 디자인 창작의 활동성 지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디자인연구자, 디지털 기반 新개인제조 환경 내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권리 보호에 대한 인식 및 보호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상담 전문가들이 배출될 것이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 연구책임자가 소속한 학부 내 부설 기관으로 설립된 이화여대 메이크존 팹랩 (MakeZone FabLab)과 연계한 디지털 기반 新개인제조 환경 내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권리 보호에 대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online fabrication service에 대한 활용방법 (디지털 제작 주문, 3D 모델링 파일의 데이터 공유 및 거래, 디자인 권리 보호 방법 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연구요약
  • 디자이너들의 新개인제조 활용 형태 조사 新개인제조와 같은 디자인 창작 지원 시스템을 통해, 디자이너의 창작 활동과 창작 결과물에 대한 관찰 및 평가를 수행하고 디자인 창작 지원 시스템이 창작자들의 창작 과정 및 창작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Online Fabrication Platform Pilot 개발 본 연구소와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미국의 Shapeways와 유사한 online fabrication service의 pilot 프로그램을 디자인.dl 시도는 국내에서 처음 실험되는 online fabrication service 가 될 것이며, 전기·전자 부품의 추가 없이 3D-프린팅 만으로 바로 완성되는 형태의 디자인 창작물의 거래활동을 분석하는 기반이 될 것임 新개인제조 시대를 맞는 디자이너들의 인식 조사 국내에서 디자인 창작의 권리화라든가 자산화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배경에 과연 디자이너들의 인식이라는 내부적 요소가 얼마나 작용하고 있는지를 가늠하고, 新개인제조로 가능해질 디자인 창작 권리화의 기반이 얼마나 공고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新개인제조 시대를 맞이하는 디자이너들의 인식 조사 新개인제조의 확산이 가져올 디자인 창작물 소유 구조의 변화 新개인제조를 통하여 형상을 가진 제품에 자신의 디자인을 직접 투영시킬 경우 디자이너가 자신의 지식재산권적 권리를 어떻게 강화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 행동(action) 측면에 중점을 둔 스마트 제품이나 사물인터넷 제품 등 무형 디자인이 新개인제조를 통하여 그 지식재산권적 권리를 어떻게 더 강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지 연구 디자이너가 본인의 창작물 내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의 범위와 보호받고자 하는 정보의 범위를 온라인 기반으로 쉽게 지정하고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