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씨에스 루이스의『나니아 연대기』에 재현된 런던 이스트엔드의 환상적 공간화와 여성화된 아일랜드성
The Spectral Spatialization of London’s East End and Gendered Irishness in C. S. Lewis’s The Chronicles of Narni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3505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진성은
연구수행기관 숭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아동문학은 정통 문학의 범주에서 제외된 경향이 있었는데 근래에 들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아동”이라는 단어가 “문학”에 대한 강조보다는 작은 문학, 교화적인 언어에 치중한 도식적인 장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흥미로운 부분은 아동문학이라고 분류되는 장르가 아동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성인 작가들에 의해 집필되었다는 것이다. 기득권 계층의식을 밑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기저에 깔려있는 장르문학이라는 관점에서 아동문학은 보통의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비실재적인 요소로 기술되어 현실세계에서 유리되어 기존의 사회억압구조를 단순히 강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개인의 삶과 사회적 구조를 작품 속에 비현실적인 것처럼 기술하는 듯 하면서도 실재적인 부분, 특히 사회의 역사를 반동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을 본 연구는 주목한다.
    비현실적인 환상적 공간인 나니아(Narnia)라는 유토피아 속에서 본 연구는 영국사회 속에 주목받지 못했던 아일랜드인들의 이민역사를 영국 런던의 이스트엔드(The East End) 지역의 이민 특수성과 관련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영국사회에서 영국성(Englishness)과 아일랜드성(Irishness)은 오랫동안 대치되거나 상반된 관념으로 간주되어 왔다. 아일랜드를 식미지하에 두고 아일랜드인들을 피부색깔과 관계없이 열등민족으로 규정지어 왔던 역사의식이 이러한 관점을 반영한다고 본다. 아일랜드인들의 이민 역사는 4세기를 넘어선다. 특히 19세기 중반의 감자대기근(The Great Potato Famine)은 아일랜드인들을 영국과 미국 등 외국으로 이주하게 하는 지대한 문화적인 영향을 끼쳤다. 상대적으로 영국문학의 역사에서 이민의 역사는 미국문학에 비해 덜 주목받는다. 하지만 런던의 이스트엔드(The East End of London)는 웨스트엔드(The West End)와 비교하여 문화연구에서 중요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영국사회에서 암흑의 지역 또는 지옥과 같은 공간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작가의 출신 배경이 작품속의 환상적 공간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씨에스 루이스의 출생지인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의 벨파스트(Belfast)는 근대 역사에서 영국 친화적인 지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동시에 아일랜드는 영국에 대항하며 때로는 폭력을 수반하는 집단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이중적이며 중간자적인 역할을 하는 루이스의 개인적 배경이 영국성과 아일랜드성을 섬세하게 문화적으로 섞어놓은 공간이 루이스가 유토피아로 재창조한 나니아라고 본 연구에서는 특징지으며 이상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아일랜드 이주민들과 관련된 역사와 계급의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근래에 이르러 아동문학에 대한 관심사가 굉장히 커졌다. 애니메이션, 동화 산업과 관련한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왔는데 한국의 영문학, 영화 관련시장에서는 대표적으로는 톨킨(J. R. R. Tolkien)의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조앤 롤링(Joanne Rowling) 『해리포터』(Harry Potter), 씨에스 루이스(C. S. Lewis)의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로알드 달(Roald Dahl)의 『찰리와 초콜릿 공장』(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등이 그동안 아동문학이라고 간주되었던 작품들을 영화화하기 시작하면서 아동문학을 비롯하여 그와 관련된 시장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판타지 문학, 아동문학이라 하면 현실회피라는 인식이 비평가들에 의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상이라는 매개를 통해 더 진보적이고 적극적인 목소리들을 작품과 영화 속에서 표현할 수 있다. “아동”이라는 분야는 작고 한정된 분야가 아닌 현실 속의 제한된 언어를 뛰어넘어 더욱 현실비판에 대한 더 적극적인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문학과 문화에서 타자성(otherness)에 대한 연구는 나와 타인을 구분하는 개인적, 사회적 연결이 수평적 관계가 아닌 수직적인 관계로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억압구조는 인간사회의 구조와 식민역사의 변천사를 이해하는 틀이 될 수 있다. 흥미롭게도 문학의 여러 분야 중 아동문학은 이러한 불평등한 사회적 구조의 틀을 이해하는 장르에서 제외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아동문학이 사회구조를 이해하고 소외계층에 대한 기득권층의 의식세계를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 연구요약
  • 기존의 연구에서는 인종연구라 하면 백인과 흑인의 대립적 측면에서 이분법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다. 백인간의 차별이라는 관점은 절대적 우위에 존재하는 그룹이기 때문에 인종과 관련된 의미있는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여겼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에서 영국사회에서 주변인 그룹으로서 자리잡아온 아일랜드인들의 인종구분에 대한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일랜드인들은 피부색깔과 관계없이 “언제나” 영국사회에서 외부인, 즉 유생인종의 위치를 오랫동안 부여받아왔다.
    백인성(Whiteness)은 흥미롭게도 모든 백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국성(Englishness)만을 상징하며 아일랜드인들은 이 범주에서 제외되어왔다. 연결선상에서 이스트엔드(The East End) 지역은 백인성과 관련하여 백인간의 차이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다. 가난(poverty)과 질병(poor health)은 아일랜드인들이 거주했던 이스트엔드의 대표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다루어져 오지 않았던 백인성에 대해 영국성과 아일랜드성을 구분지어 환상적 공간으로 재창조된 나니아를 런던의 이스트엔드 속에 거주했던 비참했던 아일랜드인들의 환상적 탈출공간이라 간주한다.
    특히 『나니아 연대기』에서 하얀 마녀(The White Witch)는 백인 간에도 다른 층위의 인종으로 구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며 동시에 나니아에서 최하층민이 왕과 왕비로 자격을 부여받는 부분은 루이스의 영국사회 내에서의 역사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인과 아일랜드인 사이의 중간자적인 출생의 배경을 가진 씨에스 루이스가 나니아라는 상상적 유토피아에서 아일랜드인들의 오랜 이민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정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존의 연구에서는 인종연구라 하면 백인과 흑인의 대립적 측면에서 이분법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다. 백인간의 차별이라는 관점은 절대적 우위에 존재하는 그룹이기 때문에 인종과 관련된 의미있는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여겼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에서 영국사회에서 주변인 그룹으로서 자리잡아온 아일랜드인들의 인종구분에 대한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일랜드인들은 피부색깔과 관계없이 “언제나” 영국사회에서 외부인, 즉 유생인종의 위치를 오랫동안 부여받아왔다.
    백인성(Whiteness)은 흥미롭게도 모든 백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국성(Englishness)만을 상징하며 아일랜드인들은 이 범주에서 제외되어왔다. 연결선상에서 이스트엔드(The East End) 지역은 백인성과 관련하여 백인간의 차이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다. 가난(poverty)과 질병(poor health)은 아일랜드인들이 거주했던 이스트엔드의 대표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다루어져 오지 않았던 백인성에 대해 영국성과 아일랜드성을 구분지어 환상적 공간으로 재창조된 나니아를 런던의 이스트엔드 속에 거주했던 비참했던 아일랜드인들의 환상적 탈출공간이라 간주한다.
    특히 『나니아 연대기』에서 하얀 마녀(The White Witch)는 백인 간에도 다른 층위의 인종으로 구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며 동시에 나니아에서 최하층민이 왕과 왕비로 자격을 부여받는 부분은 루이스의 영국사회 내에서의 역사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인과 아일랜드인 사이의 중간자적인 출생의 배경을 가진 씨에스 루이스가 나니아라는 상상적 유토피아에서 아일랜드인들의 오랜 이민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정한다.
  • 영문
  • The mythical aspects in C. S. Lewis’s Chronicles of Narnia have mainly attracted critics to discuss Lewis’s view of theology. Nevertheless, his birth origin of Anglican Irish seems to complicate the sense of masculinity and nobleness in Narnia in relation to Englishness and gender. Hitherto, many critics have asserted that whiteness in Narnia reinforces the lost power of Christianity in England. Yet Englishness in Narnia still calls into question many cultural reflections of nationhood, class, and gender. More specifically,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gendered notion of Irishness and veiled references to excluded locality of East End of London in The Chronicles of Narnia. Social mobility of the urban poor and neglected female positions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site of East End in London and occupational changes among Irish women during the World Wars. Thus, Lewis’s background of Northern Ireland unveils his backward or nostalgic portrayals of a utopian world in Narnia. I suggest that otherness and gendered roles further to display the long history of exclusion of Irish people and evolving values of class and gender in English society by reading Lewis’s The Magician’s Nephew and The Lion, the Witch and the Wardrob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아동문학은 정통 문학의 범주에서 제외된 경향이 있었는데 근래에 들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아동”이라는 단어가 “문학”에 대한 강조보다는 작은 문학, 교화적인 언어에 치중한 도식적인 장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흥미로운 부분은 아동문학이라고 분류되는 장르가 아동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성인 작가들에 의해 집필되었다는 것이다. 기득권 계층의식을 밑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기저에 깔려있는 장르문학이라는 관점에서 아동문학은 보통의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비실재적인 요소로 기술되어 현실세계에서 유리되어 기존의 사회억압구조를 단순히 강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개인의 삶과 사회적 구조를 작품 속에 비현실적인 것처럼 기술하는 듯 하면서도 실재적인 부분, 특히 사회의 역사를 반동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을 본 연구는 주목한다.
    비현실적인 환상적 공간인 나니아(Narnia)라는 유토피아 속에서 본 연구는 영국사회 속에 주목받지 못했던 아일랜드인들의 이민역사를 영국 런던의 이스트엔드(The East End) 지역의 이민 특수성과 관련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영국사회에서 영국성(Englishness)과 아일랜드성(Irishness)은 오랫동안 대치되거나 상반된 관념으로 간주되어 왔다. 아일랜드를 식미지하에 두고 아일랜드인들을 피부색깔과 관계없이 열등민족으로 규정지어 왔던 역사의식이 이러한 관점을 반영한다고 본다. 아일랜드인들의 이민 역사는 4세기를 넘어선다. 특히 19세기 중반의 감자대기근(The Great Potato Famine)은 아일랜드인들을 영국과 미국 등 외국으로 이주하게 하는 지대한 문화적인 영향을 끼쳤다. 상대적으로 영국문학의 역사에서 이민의 역사는 미국문학에 비해 덜 주목받는다. 하지만 런던의 이스트엔드(The East End of London)는 웨스트엔드(The West End)와 비교하여 문화연구에서 중요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영국사회에서 암흑의 지역 또는 지옥과 같은 공간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작가의 출신 배경이 작품속의 환상적 공간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씨에스 루이스의 출생지인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의 벨파스트(Belfast)는 근대 역사에서 영국 친화적인 지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동시에 아일랜드는 영국에 대항하며 때로는 폭력을 수반하는 집단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이중적이며 중간자적인 역할을 하는 루이스의 개인적 배경이 영국성과 아일랜드성을 섬세하게 문화적으로 섞어놓은 공간이 루이스가 유토피아로 재창조한 나니아라고 본 연구에서는 특징지으며 이상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아일랜드 이주민들과 관련된 역사와 계급의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근래에 이르러 아동문학에 대한 관심사가 굉장히 커졌다. 애니메이션, 동화 산업과 관련한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왔는데 한국의 영문학, 영화 관련시장에서는 대표적으로는 톨킨(J. R. R. Tolkien)의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조앤 롤링(Joanne Rowling) 『해리포터』(Harry Potter), 씨에스 루이스(C. S. Lewis)의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로알드 달(Roald Dahl)의 『찰리와 초콜릿 공장』(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등이 그동안 아동문학이라고 간주되었던 작품들을 영화화하기 시작하면서 아동문학을 비롯하여 그와 관련된 시장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판타지 문학, 아동문학이라 하면 현실회피라는 인식이 비평가들에 의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상이라는 매개를 통해 더 진보적이고 적극적인 목소리들을 작품과 영화 속에서 표현할 수 있다. “아동”이라는 분야는 작고 한정된 분야가 아닌 현실 속의 제한된 언어를 뛰어넘어 더욱 현실비판에 대한 더 적극적인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문학과 문화에서 타자성(otherness)에 대한 연구는 나와 타인을 구분하는 개인적, 사회적 연결이 수평적 관계가 아닌 수직적인 관계로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억압구조는 인간사회의 구조와 식민역사의 변천사를 이해하는 틀이 될 수 있다. 흥미롭게도 문학의 여러 분야 중 아동문학은 이러한 불평등한 사회적 구조의 틀을 이해하는 장르에서 제외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아동문학이 사회구조를 이해하고 소외계층에 대한 기득권층의 의식세계를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 색인어
  • 『나니아 연대기』, 씨에스 루이스, 런던 이스트엔드 지역, 도시 하층민, 백인성, 아일랜드성, 영국성, 나니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