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대화체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러시아어 응답어인 да와 нет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바탕으로 사용양상 및 화용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응답어는 주로 선행 발화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의 응답어로 사용되는 대화 중심의 어휘이기 때문에 그 ...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대화체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러시아어 응답어인 да와 нет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바탕으로 사용양상 및 화용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응답어는 주로 선행 발화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의 응답어로 사용되는 대화 중심의 어휘이기 때문에 그 기능에 대한 고찰을 대화와 결코 분리해서 논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담화문법에 의한 설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또한 러시아어학계에서는 긍정소사와 부정소사로 분류되어 있는 да와 нет를 자연스러운 대화체에서의 기능을 분석한다면 보다 세부적인 분류와 기능적 측면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대효과
러시아어 응답어의 체계의 분석을 통해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응답어 да와 нет의 담화기능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
러시아어 응답어의 체계의 분석을 통해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응답어 да와 нет의 담화기능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적용을 통한 유형론적 연구의 기초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다른 언어자료들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응답어 분석인 대화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да, нет가 구어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분포, 그리고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이다. 일반적인 가치판단에 관한 질문이나 제의 또는 요청과 같은 선행발화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답변, 동의 ...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응답어 분석인 대화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да, нет가 구어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분포, 그리고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이다. 일반적인 가치판단에 관한 질문이나 제의 또는 요청과 같은 선행발화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답변, 동의/반대나 수락/거절의 표시를 의미하는 응답어는 대화체 담화에서 상황에 따른 대화의 적절성이 담화규칙을 활용하게 만들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행위와 비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어 응답어 да와 нет의 담화기능 분류원칙을 문장 구성, 문장 유형과 어조, 문장에서의 위치로 삼아 다양한 담화적 기능을 살펴볼 것이다. 대화 인접쌍에 나타나는 화자의 담화 기능으로는 주기능인 응답표지 외에 청자 반응 표지, 자신의 발화나 상대방 발화에 대한 ‘실수’에 대한 교정표지, 끼어들기 표지, 화제 전화 표지와 같이 다양한 반응표지 등이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응답어 분석인 대화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да, нет 가 구어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분포, 그리고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이다. 일반적인 가치판단에 관한 질문이나 제의 또는 요청과 같은 선행발화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답변, 동 ...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응답어 분석인 대화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да, нет 가 구어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분포, 그리고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이다. 일반적인 가치판단에 관한 질문이나 제의 또는 요청과 같은 선행발화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답변, 동의/반대나 수락/거절의 표시를 의미하는 응답어는 대화체 담화에서 상황에 따른 대화의 적절성이 담화규칙을 활용하게 만들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행위와 비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어 응답어 да와 нет 담화기능의 분류원칙을 문장 구성, 문장 유형과 어조, 문장에서의 위치로 삼아 다양한 담화적 기능을 살펴볼 것이다. 대화 인접쌍에 나타나는 화자의 담화 기능으로는 주기능인 응답표지 외에 청자 반응 표지, 자신의 발화나 상대방 발화에 대한 ‘실수’에 대한 교정표지, 끼어들기 표지, 화제 전화 표지와 같이 다양한 반응표지 등이다.
영문
In this article we analyze Russian responsive words, da and net, which we frequently use in our daily conversation. These words can be used also as discourse markers, so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se discourse m ...
In this article we analyze Russian responsive words, da and net, which we frequently use in our daily conversation. These words can be used also as discourse markers, so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se discourse markers. Each of these discourse markers plays multiple functions as a unit of a linguistic form. They can become different discourse markers, such as a backchannelling marker, a reformulation and correction marker, an interruption marker, a topic changing marker, a question marker, and an echo question marker, which depend on the position in the sentence and the type of sentenc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응답어 분석인 대화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да, нет 가 구어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분포, 그리고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이다. 일반적인 가치판단에 관한 질문이나 제의 또는 요청과 같은 선행발화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답변, 동 ...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응답어 분석인 대화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да, нет 가 구어체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분포, 그리고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이다. 일반적인 가치판단에 관한 질문이나 제의 또는 요청과 같은 선행발화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답변, 동의/반대나 수락/거절의 표시를 의미하는 응답어는 대화체 담화에서 상황에 따른 대화의 적절성이 담화규칙을 활용하게 만들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행위와 비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어 응답어 да와 нет 담화기능의 분류원칙을 문장 구성, 문장 유형과 어조, 문장에서의 위치로 삼아 다양한 담화적 기능을 살펴볼 것이다. 대화 인접쌍에 나타나는 화자의 담화 기능으로는 주기능인 응답표지 외에 청자 반응 표지, 자신의 발화나 상대방 발화에 대한 ‘실수’에 대한 교정표지, 끼어들기 표지, 화제 전화 표지와 같이 다양한 반응표지 등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러시아어 응답어의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응답어 да와 нет의 담화기능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
러시아어 응답어의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응답어 да와 нет의 담화기능들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적용을 통한 유형론적 연구의 기초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다른 언어자료들을 보다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색인어
응답어, да, нет, 담화문법, 소사, 응답표지, 청자반응표지, 실수교정표지, 끼어들기, 화제전화표지, 의문표지, 되묻기 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