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스마트기기의 활성화로 웹 상의 정보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웹 상의 빅데이터(big data)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학문적, 사회적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웹 상의 과도한 정보를 필터링하여 ...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스마트기기의 활성화로 웹 상의 정보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웹 상의 빅데이터(big data)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학문적, 사회적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웹 상의 과도한 정보를 필터링하여 개인화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추천시스템의 기반 기술인 추천 알고리즘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물은 기존 추천시스템의 추천 성능을 향상시켜 실무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정보를 고려한 새로운 개념의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추천시스템은 오피니언마이닝, 사회연결망분석, 감정반응분석 등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적 정보를 추천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추천결과를 생성하고 나면 거기서 모든 구동이 멈추도록 설계된 기존의 추천시스템과 달리, 본 연구의 제안시스템은 추천결과를 생성한 뒤, 해당 추천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천결과가 전달되는 이른바 진실의 순간(MoT, Moment of Truth)에 사용자가 어떤 상황(감정상태)에 처해 있는지를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진화, 발전된 추천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기존 연구와 비교해 크게 진일보한 학문적, 사회적 의의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발전 동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추천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는 다년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발전추세에 연구모형을 맞추어 갈 계획이다. 본 연구의 응용분야는 상황인지 추천을 필요로 하는 마케팅, CRM, 통신서비스 분야 등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모든 추천시스템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상품, 광고 등을 제공하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사용자의 감성적 기호를 고려한 자동화된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기업, 이동통신을 이용한 광고업체, 사회연결망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등에서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술적으로는 오피니언마이닝, 사회연결망분석, 감정반응분석 등 최근 학술적으로 매우 관심이 많은 연구분야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 제안과 사용자의 감성적 기호를 추천에 반영하는 통합모형을 제안한다는 공헌이 있다. 지금껏 상황인지 추천시스템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사용자의 감성적 기호를 반영할 수 있도록 사회연결망 정보, 오피니언마이닝 정보, 감정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추천시스템에 관한 선행연구는 유례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비자의 감성정보를 추천시스템에 통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추천시스템을 최초로 제안하였다는 공헌이 있다.